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9월의 추천 도서 (1658) 퇴계의 생애와 학문 - 이상은


 

 

1. 책소개

 

조선시대 한국역사와 사상에 큰 획을 그은 퇴계 이황 의 생애와 인간적 면모, 학문 사상 등을 깊이있으면서도 평이한 어조로 들려주는 책. 퇴계의 수학시기, 출 사와 은퇴, 퇴계 학문의 배경 등 9개 장으로 설명하고<사칠논변과 대설/인설의 의의>를 실었다.

 

이 책은 원래 1973년 문고판으로 처음 나온 책이다. 원래 문고판에는 〈생애와 그 인간〉, 〈학문과 사상〉 두 편만 실렸으나 증보판에는 〈사칠논변과대설·인설의 의의〉가 덧붙여졌다.문고판에 실린 두 편의 글이 인간 퇴계의 일생과 사상의 핵심을 밝힌다면,글쓴이의 대표논문인 〈사칠논변과 대설·인설의 의의〉는 이황과 기대승 사이에 전개된 사단과 칠정, 리발과 기발의 문제에 객관적으로 접근해 현대 한국철학 연구의 물꼬를 튼 논문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증보하면서 지금 독자들을 위해 한문 원문이나 난해한 어투는 고치는 등 적절한 윤문을 가했지만,원문의 숨결은 그대로 유지해 읽는 맛을 살렸다.

 

 

2. 저자

 

이상은
1905년 함경도에서 태어나 중국 북경대학 철학과를 졸업했다. 북경대학 철학과에서 호적, 곽말약등 중국 학술계의 대표적 학자들로부터 학문을 배웠다. 해방 후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임하면서 한국 유학의 현대적 의의를 밝히는 연구에 전념한 한국의 현대신유가 1세대이다. 논문으로는「한국에 있어서의 유교공죄론」,「실학의 형성과 전개」,「유교의 이념과 한국의 근대화 문제」,「중국철학사 강의」,「맹자의 성선설에 대한 연구」,「대학과 중용의 현대적 의의」등외 다수가 있다.

 

 

3. 목차

 

001. <생애와 그 인간> 
002. 서언 
003. 수학 시기 
004. 출사 시기 
005. 은퇴 강학 시기 
006. 퇴계의 종명과 그 후광 
007. <학문과 사상> 
008. 서언 
009. 퇴계 학문의 배경 
010. 퇴계의 학문이 이루어 놓은 것 
011. 퇴계 사상의 결정체 '천명도설' 
012. <사철논변과 대설, 연설의 의미> 

 

4. 책속으로

 

퇴계의 이 글을 전후로 훑어보면 그가 양주의 위아주의가 아닌 도학의 군자학이라고 부르는 위기지학을 하고 있다고 자처하는 것만은 사실이다. 위기지학의 반대는 위인지학이다. 위기지학이란 자기의 학식 인격 덕행의 향상과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요, 위인지학이란 명예나 공리나 관록과 같은 것을 얻기 위해 수단으로 삼는 학문이다. 퇴계 시대에는 경학과 성리학, 심학과 같은 것이 위기지학으로 알았고, 사장지학, 과거지학, 공명지학같은 것을 위인지학으로 알았다. 요즘말로 하면 위기지학이란 인간이 되기 위한 학문이요, 위인지학이란 출세와 밥벌이를 위한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 인터넷 교보문고, 알라딘, 영풍문고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