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소개
[머리말]
피비린내 나는 종교 주도권 싸움에서는 누구도 영원한 승리자가 될 수 없었다. 정신적으로나 물질적으로나 모두 황폐화되었다. 그들이 생존할 수 있는 길은 오로지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는 길밖에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즉, 관용만이 해결책임을 깨닫게 되었다. 이때부터 관용은 자유주의를 형성하는 한 축으로서 중요한 이념이 되어왔다. 그러므로 자유주의 사상을 최초로 체계화한 로크에게 관용의 문제는 가장 핵심적인 주제가 될 수 밖에 없었다.
2.저자소개
<존 로크>
로크는 영국의 첫 경험론 철학자로 평가를 받지만, 사회계약론도 동등하게 중요한 평가를 받고 있다. 그의 사상들은 인식론과 더불어 정치철학에 매우 큰 영향을 주었다. 그는 가장 영향력있는 계몽주의 사상가이자 자유주의 이론가의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
1632년 영국의 서남쪽 서머싯 주의 링튼에서 시골 변호사이자 중상계층에 청교도였던 부모 밑에서 태어나, 청교도주의의 정결하고도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자라났다. 로크가 10세가 되던 해 1642년에 영국에서는 내란이 일어나 사회가 혼란스러웠으며, 젊은 날의 로크는 이 과정을 옆에서 지켜보면서 정치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1652년 로크는 장학생으로 선정되어 옥스퍼드 대학에서 철학·자연과학·의학 등을 배웠고, 1659년 대학에서 자유로이 연구할 수 있는 항구적 장학연구생이 되었다. 이후 학생 지도교수가 되어 그리스어와 수사학 도덕철학을 가르쳤다. 한편 의학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 결국 1675년에는 의학 특별연구원이 되었는데 그 명성이 상당했다고 한다. 한때 당대 유명한 정치가이며 휘그당의 창시자인 앤서니 애슬리 쿠퍼(샤프츠베리 백작 1세)경과 친교 맺으면서 영국의 정치에도 관여하였다. 그러나 가톨릭 정책과 관련하여 국왕 찰스 2세와 갈등하던 샤프츠베리 백작(애슐리경)이 투옥되면서 1673년 대법관에서 파면당하자 로크도 관직에서 물러나 1683년 네덜란드로 망명하였다.
이후 폐결핵으로 프랑스에서 4년 동안 요양생활을 하며 주로 연구에 집중하였다. 1679년 영국으로 다시 돌아온 로크는 어수선한 정세 속에 다시 네덜란드로 망명을 떠났다. 1688년 명예혁명 이후 영국으로 귀국하였다. 이후의 그의 말년은 평탄했으며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통치론』과 『인간오성론』을 비롯하여 『교육에 관한 서한』, 『기독교의 합리성』 등의 저작물들이 비슷한 시기에 출간했다. 평생을 독신으로 보낸 그는 1704년 경건했던 그의 삶처럼 의자에 앉은 채로 조용히 72년의 생애를 마감했다고 한다.
주요 저서로 『자연법론』 『관용에 관한 서한』 『금리 인하와 화폐 가치의 인상의 결과에 관한 약간의 고찰』 『교육론』 『화폐가치 인상에 관한 재고찰』 『그리스도교 교리의 합리성』 등이 있다.
3. 목차
서문
제1장 존 로크의 생애
1. 존 로크의 타임 라인(Time Line)
2. 생애
제2장 종교적 관용의 역사적 배경과 존 로크 관용론 관용에 관한 편지
제3장 존 로크 관용론의 이론적 기초와 원리
1. 자연법과 자연권
2. 종교와 정치
3. 관용과 기독교
4. 관용과 시민사회의 목표
5. 심리학적-인식론적 조망
6. 관용의 의무, 영역 그리고 한계
'READ 1825 1기(13.3~18.2)'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의 추천도서 (119) 광막한 사르가소 바다 - 진 리스 (0) | 2013.06.27 |
---|---|
6월의 추천도서 (118) 관촌수필 - 이문구 (0) | 2013.06.26 |
6월의 추천도서 (116) 관부연락선(關釜連絡船) - 이병주 (1) | 2013.06.24 |
6월의 추천도서 (115) 관계학(위험한 관계학) - 송형석 (0) | 2013.06.23 |
6월의 추천도서 (114) 독일관념론철학 - 니콜라이 하르트만 (0) | 2013.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