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소개
복잡한 현대를 살아가는 리더가 되고자하는 젊은이들에게 교양서 100권 속에 담긴 삶의 의미와 지혜를 선사한다. 이 책을 통해 100권의 책 속 지식들을 경험해가면서 자신의 참된 자아를 발견하고, 타인을 더 많이 사랑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인간과 교육에 대한 고민과 사색을 통해 새로운 비전을 창출하고 실천해가는 교육 리더로서 성장해 나갈 수 있는 자양분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은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장場이다. 인간과 인간이 만나 서로 공감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인간과 사회, 인간과 자연과의 소통을 만들어내는 상호텍스트적인 공간이다. 이 책은 그런 교육의 본질과 가치를 담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다. 그런 목적 아래, 모두가 함께 공유해야 할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 교육에 대한 의미 있는 사색들을 두루 포괄하고 있는 글들을 중심으로 서평집의 내용을 구성했다. 참된 앎은 언제나 아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모토 아래, 교사양성기관 혹은 학교 현장에서 오랜 기간 동안 활동해 온 교육자들이 교육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탐색하는 과정에서 만난 귀한 경험과 반성을 담은 통찰의 기록들을 한데 모으려고 애썼다.
이 책은 원래 대구교육대학교 개교 6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본교가 지향하는 참된 예비교사 교육을 위해 미래의 교육리더들에게 교양도서 읽기를 권당하기 위해서 이런 형식의 서평집 발간을 추진하게 된 것이다. 책읽기를 통해 본 대학의 학생들이 자기를 성찰하고, 타인에 대한 이해와 사랑을 키우고, 희망과 열정을 가지고 미래에 대한 긍정의 힘과 비전을 키워가는 창조적이고 자기주도적인 교육자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였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미래의 리더가 되고자 하는 모든 젊은이를 위한 필독서이기도 하다. 복잡한 현대를 살아가는 젊은이들이 백 권의 책 속에 감겨 있는 삶의 의미와 지혜를 경험하면서 자신의 참된 자아를 발견하고, 타인을 더 많이 사랑하고 배려하기를 우리는 원하다. 아울러 인간과 교육에 대한 고민과 사색을 통해 새로운 비전을 창출하고 실천해가는 교육리더로서 성장해가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이 책의 마지막 부분인 백 번째 서평은 독자 여러분의 몫으로 남겨 둔다. 여러분이 배 번재 책읽기를 완성해 가는 기쁨을 주리고 스스로 서평을 써보길 바란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촉박한 일정에도 불구하고 기꺼이 서평 작업에 참여해 주신 교수님과 선생님들, 원고 수합과 교정 작업을 맡아 애쓰신 도서관 직원 선생님, 출판을 맡아주신 양서원 출판사 임직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2010년 10월 대구교육대학교 서평집 간행위원회
2. 저자소개
대구교육대학교
1950년에 대구사범학교로 시작하여 유구한 역사와 찬란한 전통이 있는 대구교육대학교는 슬기·보람·사랑을 바탕으로 초등교육 발전과 인류복지에 이바지 할 참된 스승을 기른다는 대학이념 아래 유능하고 사명감 있는 초등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초등교육학과에 12개의 심화과정(학부)과 20개의 전공(교육대학원)이 있으며, 2천여 명의 학생들이 참된 스승이 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졸업한 선배들은 초등학교 선생님으로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고 있다. 대구교육대학교는 참 스승이 되기 위한 여정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모인 소중한 배움터이다.
학교 전신은 1950년에 설립된 국립대구사범학교이다. 광복 후 도내 몇몇 일반계 고등학교에 사범과를 병설하여 초등교원을 양성하도록 하다가, 교사교육의 일원화 방침에 따라 이미 병설한 사범과를 폐지하고 초등교원양성소를 설치하였다. 1950년 3월 이 양성소의 학생 180명을 강습과로 흡수, 개편하면서 대구사범학교를 개교하였으며, 초대 교장 김영기(金永驥)가 취임하였다. 3년제 본과와 1년제 강습과·연수과로 편성하여 본과는 중학교 3년 졸업자, 강습과는 고등학교 1년 수료자, 연수과는 고등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953년 6월 현재의 위치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1959년 5월에 대구사범학교 부속국민학교가 개교하였다. 1962년 초등교원의 학력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법」개정에 따라 고등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2년제 경북대학교 병설 교육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초대 학장에 김위석(金渭錫)이 취임하였다.
이듬해인 1963년 3월에 경북대학교에서 분리되어 대구교육대학으로 개편하고, 초등교원연수원을 설치하였다. 1966년 초등교원양성소와 1968년 교원교육원을 부설하고, 1972년 한국방송통신대학 초등교육과의 협력대학으로 위촉되었다.
1982년 초등교원의 자질향상을 위한 정부시책에 따라 4년제 대학으로 승격되어 모집정원을 600명으로 증원하였으며, 1985년부터 야간 및 계절제 수업을 개설·운영하고 있다.
1993년 3월 대구교육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96년 교육대학원이 설치되었다. 1998년 12월에 대구부속초등학교로 이전하였으며, 2003년에는 교육인적자원부 평가 국립대학 자체발전계획 추진실적 우수대학으로 선정되었다.
2006년 11월에 교육인적자원부 주최 제1회 전국 국립대학 혁신경진대회 우수상을 수상하였고, 2007년 2월에는 교육대학교·교대교육대학원 평가 교육대학교 부분 우수대학으로 선정되었다. 2009년 3월에는 다문화교육센터 및 영어교육센터가 설립되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제공
3. 목차
책을 내면서
001 2020 대한민국, 다음 십 년을 상상하라
002 가르칠 수 있는 용기
003 간디의 물레
004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005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006 고단한 삶을 자유롭게 하는 쿠션
007 공부의 발견
008 과학혁명의 구조
009 교사는 어떻게 단련되는가
010 교사의 역할 훈련
011 교사와 학생 사이
012 교양으로 읽는 뇌과학
013 교육과정과 수업지도의 기본원리
014 구별짓기 :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015 국가 : 올바름을 향한 끝없는 대화
016 국가론
017 꾸중을 꾸중답게 칭찬을 칭찬답게
018 나는 사랑의 처형자가 되기 싫다
019 나는 선생님이 좋아요
020 나는 바꾸는 데는 단 하루도 걸리지 않는다
021 나무 의사 큰손 할아버지
022 내몸 사용설명서
023 노인과 바다
024 뇌
025 누가 잠자는 숲 속의 공주를 깨웠는가
026 니체가 눈물을 흘릴 때
027 니코마코스 윤리학
028 다윈 이후 : 다윈주의에 대한 오해와 이해를 말하다
029 다중지능 : 새로운 지평
030 대화학습의 도덕교육
031 도덕경
032 디지털이다
033 레오나르도
034 마음
035 명화 속 신기한 수학 이야기
036 모모
037 몰입 : 인생을 바꾸는 자기 혁명
038 문학의 숲을 거닐다
039 문화의 세계화
040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 한국민주주의의 보수적 기원과 위기
041 박사가 사랑한 수식
042 북녘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043 비폭력 대화
044 빌 게이츠@생각의 속도
045 상추 CEO
046 생각의 탄생
047 설득의 심리학
048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049 속담으로 풀어보는 이야기 경제학
050 손자병법
051 수업의 예술
052 수학 귀신
053 수학사 가볍게 읽기
054 수학의 언어
055 수학학습 심리학
056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057 습관의 심리학
058 시골의사의 아름다운 동행
059 시의 숲에서 세상을 읽다
060 시인 박물관
061 십시일反 : 10인의 만화가가 꿈꾸는 차별 없는 세상
062 아이를 위대한 사람으로 만드는 55가지 원칙
063 아이의 사생활
064 어린이를 위한 마시멜로 이야기
065 언어와 마음
066 에밀
067 에티카
068 오늘의 도전은 내일의 영광
069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070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꽃 백 가지
071 위대한 수업
072 음악은 왜 우리를 사로 잡는가?
073 음악회에 대해 궁금한 몇 가지
074 인간관계의 심리학
075 인생 수업
076 자유 발도르프 학교의 감성 교육
077 자유론
078 장자
079 정보사회이론
080 중국인, 이렇게 생각하고 행동한다
081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082 징비록
083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084 창의성의 즐거움
085 창의적인 독서지도 77가지
086 철학과 굴뚝청소부
087 춘향전
088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089 태백산맥
090 통섭 : 지식의 대통합
091 틱낫한의 평화로움
092 페다고지 : 30주년 기념판
093 핀란드 교육의 성공
094 하버드 리더십 노트
095 한국의 미 특강
096 행복의 조건
097 훌륭한 교사는 이렇게 가르친다
098 Big History
099 New International Version Holy Bible
100 내가 쓰는 서평
'READ 1825 1기(13.3~18.2)'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의 추천 도서 (1524) 법정 스님의 내가 사랑한 책들 - 문학의숲 편집부 (0) | 2017.05.03 |
---|---|
5월의 추천 도서 (1523) 중국명시감상 - 이석호, 이원규 (0) | 2017.05.02 |
4월의 추천 도서 (1521) 중론 - 용수 (2) | 2017.04.30 |
4월의 추천 도서 (1520) 중국철학 우화393 - 김태완 (0) | 2017.04.29 |
4월의 추천 도서 (1519) 중국철학약사 - 주칠성 (0) | 2017.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