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3월의 추천 도서 (752)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북한 현대사-김성보


 

1. 책소개

이 책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건국과 주체사상 등 북한 현대사의 시작부터 고난의 행군, 개성공단 건립과 금강산 관광, 김정은 집권에 이르는 북한의 최신 동향까지를 알기 쉽게 정리했다. 300여 컷이 넘는 사진과 그림 자료, 흥미로운 읽을거리들은 북한의 어제와 오늘을 풍부하고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2. 저자소개

 

김성보

저자 김성보는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사편찬위원회, 충북대학교를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있으며, 국학연구원 부원장, 역사문제연구소 이사, 남북역사학자협의회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남북한 경제구조의 기원과 전개』, 『북한의 역사1』 등이 있다.

저자 : 기광서
저자 기광서는 연세대학교 사회사업학과를 졸업하고, 러시아연방 과학원 동방학연구소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이자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위원이다. 저서로는 『북한 정치의 이해』(공저), 『해방전후사 사료 연구Ⅱ』(공저) 등이 있다.

저자 : 이신철
저자 이신철은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연구교수이며 역사문제연구소 부소장,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전문위원으로 있다. 저서로는 『화해와 반성을 위한 동아시아 역사인식』(공저), 『한국사 교과서의 희망을 찾아서』(공저) 등이 있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3. 목차

 

1부 1945 ~194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세우다
101 건국의 중심이 된 인민위원회
102 돌아온 공산주의자들
103 변화의 바람을 몰고 온 토지개혁
104 대립, 협상, 그리고 두 개의 정부
105 사회주의 개혁의 시작
史+
북한에 머문 소련 세력이 원한 것_ 소련은 처음부터 한반도의 분단을 계획했나?
김일성과 보천보전투_ 김일성의 이름을 알린 국내 진공작전
여성 해방과 사회주의적 슈퍼우먼_ 여성 혁신 노동자의 등장과 고충
조선민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기와 국화_ 인공기와 목란의 내력
식민 잔재 청산의 빛과 그림자_ 북한은 어떻게 친일파를 청산했나
2부 1949 ~1953 참혹한 전쟁, 민족의 비극
201 평화와 전쟁의 갈림길
202 1950년 6월 25일
203 죽음의 땅, 상처뿐인 휴전
204 권력 구조가 바뀌다
205 전쟁과 사회주의 생활양식
史+
혁명가인가 범죄자인가_ 최초의 빨치산 남도부와 최후의 빨치산 정순덕
중국은 왜 참전했을까_ 참전과 혈맹의 정치학
서해 NLL의 어제와 오늘_ 바다 위의 복잡한 뇌관
이제는 다시 바라보아야 할 월북의 진실_ 북으로 간 사람들
북한의 낯선 지명들_ 사람 이름과 순우리말 이름이 붙은 지역
표준어와 문화어_ 달라지는 남북의 말과 글


3부 1953 ~1960 폐허 위에 세운 사회주의
301 폐허의 땅에 사회주의를 건설하다
302 땅도 공장도 집단 소유로
303 수령의 권력에 도전하다
304 천리마를 탄 기세로
305 수도 평양의 재건과 전후 복구 시기의 문화
+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와 북한의 전후 복구_ 여러 얼굴의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로력영웅_ 노동자 영웅 만들기
8월 전원회의사건의 시작과 끝_ 김일성 1인 독재와 자주노선의 시작
구호의 나라 북한_ 인민에게 호소하는 여러 가지 구호
최승희 탄생 100주년_ 북으로 간 한국 최초의 무용가

4부 1961 ~1970 주체의 시대
401 인민의 열성을 바탕으로 발전을 모색하다
402 자주노선의 선택과 주체사상의 탄생
403 모든 것을 수령 중심으로
404 격랑 속의 남북관계와 북미관계
405 전면적인 사회주의 건설기의 사회문화
+
주체사상의 형성과 변화_ 항일민족운동의 정신에서 체제 정당화까지
노동자의 하루_ 학습과 생활총화도 노동의 일부
가계도로 보는 김일성 일가_ 수령의 가족관계
북으로 간 재일교포의 삶_ ‘째포’와 ‘켄짱’ 사이의 간극
평양을 대표하는 건축물_ 건축으로 구현된 주체의 이념

5부 1970 ~1990 모습을 드러낸 우리식 사회주의
501 수령이 다스리는 사회
502 후계자에 이르는 길
503 한계에 부딪친 자력갱생의 꿈
504 가식과 대결로 얼룩진 남북관계
505 집단주의 생활양식과 문화
+
북한에서 개인 재산이란_ 사회주의 속에서 개인도 재산을 가질 수 있을까?
김일성과 김정일의 통치 방식_ 개방형과 은둔형의 상반된 이미지
단군릉 이야기_ 민족사의 근간을 수정하다?
남북정상회담 추진 비사_ 내외부의 압력 속에 어렵게 시작된 만남
북한의 혁명가극_ 혁명을 그린 극작품들

6부 1991 ~ 위기의 지속과 새로운 선택의 기로
601 현실 사회주의 몰락과 북한
602 김정일의 권력 승계와 ‘고난의 행군’, 그리고 선군정치
603 남과 북, 화해와 갈등의 순환
604 고립을 극복하기 위한 대강대국 외교
605 생존과 발전을 위한 변화 모색
606 김정은 시대의 개막
+
북한의 대서방 대외교섭사_ 오랜 고립을 탈피하려는 노력
북한 인권 이야기_ ‘우리식 인권’의 의미와 한계
북한의 민속명절_ 같지만 또 다른 북녘의 명절 쇠기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_ 통일을 모색하는 남북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_ 남북관계를 잇는 협력의 현장
북중관계 돌아보기_ 중국과 북한, 혈맹 혹은 순망치한
수령제는 어떻게 유지되는가_ 사회주의 대가정의 어버이, 그 작동 원리
정보화 시대의 북한_ 북조선, 네트워크의 세계로 들어오다

 

출처- 알라딘

 

 

4. 출판사 서평

 

21세기의 북한을 보여주는 단 한 권의 책!
1945년 북한 정부 수립부터 김정은 집권까지
그 시작부터 가장 최근의 모습까지 망라한 ‘북한 교과서’

■ 책 소개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북한 현대사』는 10년 만에 선보이는 개정증보판에서 10·4남북공동선언 이후부터 김정은 집권까지의 내용을 추가했다. 이 책은 소수의 전문가들만 접할 수 있었던 북한 정보를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서술한 국내 최초의 북한 통사다. 2004년 처음 출간되어 10년 동안 가장 믿을 만한 ‘북한 교과서’로 자리 잡았다.
이 책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건국과 주체사상 등 북한 현대사의 시작부터 고난의 행군, 개성공단 건립과 금강산 관광, 김정은 집권에 이르는 북한의 최신 동향까지를 알기 쉽게 정리했다. 300여 컷이 넘는 사진과 그림 자료, 흥미로운 읽을거리들은 북한의 어제와 오늘을 풍부하고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한 민족인 동시에 적대국이라는 특별한 관계를 반세기가 넘도록 유지해 온 나라, 북한. 분단 이후 남북이 겪어온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숨 가쁜 변화 속에서 북한을 제대로 이해하기란 늘 어려운 일이었다. 같은 언어와 전통을 공유하지만 우리 사회와는 너무도 다른 모습이 낯설기만 한 이 나라에 대해 이해하게 될 것이다.

“통일은 대박이다?”
변화하고 있는 북한을 이해하기 위한 첫걸음,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북한 현대사』 10년 만에 개정증보판 출간


2004년 출간한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북한 현대사』는 2000년 6·15남북정상회담과 ‘고난의 행군’ 종결로 마무리되었다. 이번 개정증보판에서는 그 이후의 다양한 북한의 사회개혁과 2013년 김정은의 집권 및 장성택 처형까지의 내용을 추가했다. 저자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시작부터 바로 최근까지를 훑으며, 북한을 무조건 ‘악의 축’으로 여기거나 ‘주체의 나라’로 여기는 양극단의 시각을 경계해야한다고 말한다. 이 책은 서른 세 살의 젊은 항일무장투쟁 지도자가 한 나라를 장악해가는 과정부터 그 아들, 뒤이어 손자가 나라를 물려받기까지 68년간의 일들을 신뢰성이 확보된 자료들을 토대로 객관적으로 서술한다. 책을 읽어가다 보면 그 과정은 결코 김일성이라는 카리스마적 독재자 개인의 힘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한반도를 둘러싸고 강대국들이 펼치는 정치적 자장 속에서 가능한 일이었음을 알 수 있다. 북한 현대사는 북한과 남한이라는 ‘한 민족 두 나라’의 ‘관계’의 역사이자 소련, 미국, 일본, 중국 사이에서 때로는 희생되고 이용되며 분투해 온 한반도사의 잃어버린 반쪽이다. 어떤 상황 속에서 북한이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는지 이해한다면 남북한 현대사 전체에 대한 이해는 물론 동아시아 전반의 정세와 함께 미래를 보는 통찰까지 얻을 수 있을 것이다.


5·1경기장, 류경호텔부터 디지털화된 북한의 모습까지
[+] 특집으로 역사적 이슈와 북한의 생활에 대한 다채로운 읽을거리 제공

이 책은 각 장 말미에 [+]라는 특집을 두어 남북 관계의 쟁점들을 고찰하고 북한의 흥미로운 생활상을 그리는 데 초점을 두었다. 남한에서도 민감한 사안인 친일 청산 문제에 대한 북한의 현실, 분단 전후 월북을 택한 사람들의 사정과 목적, 북행을 택한 재일교포들의 삶, 남한에서 활동한 최초의 빨치산 남도부와 최후의 빨치산 정순덕, 분단 이후 점차 달라진 남북의 언어, 인공기와 북한 국화 ‘목란’의 내력, 업무 전후에 김일성의 저작을 읽고 퇴근 전에는 자아비판 시간을 가지는 평범한 북한 노동자의 하루, 남북 양쪽에서 집중 조명을 받은 한국 최초의 현대 무용가 최승희의 일대기, 5·1경기장과 류경호텔 등 깜짝 놀랄 규모의 북한 건축물, 이제는 태블릿PC과 스마트폰을 만드는 북한의 디지털 시대 등등 총 34개의 특집에 담긴 다채로운 북한의 모습은 시시각각 변해온 이 사회주의 국가의 역사를 읽는 재미를 더한다.


북한의 역사를 눈으로 읽을 수 있는 단 한 권의 책
북한의 사회적 사실주의 미술, 선전 포스터, 권력자의 가계도까지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북한 현대사』는 제목으로 알 수 있듯 시각 자료의 비중이 큰 편으로, 국내 출간된 북한 현대사 중에서는 가장 많은 볼거리를 제공하는 책이다. 남한에서는 일반인이 쉽게 접할 수 없는 북한 사진 자료와 함께 북한 통사를 파악할 수 있는 책이라는 명성을 개정판에서도 이어갈 계획이다. 잘 알려진 자료 외에도, 출간 후 10년의 시간이 흐르면서 새롭게 공개된 시각 자료들을 다채롭게 모았다. 국내 단체와 언론사를 포함하여 외국 매체가 공개하고 있는 북한의 최근 모습과 미국립문서보관청(NARA)에서 공개한 6·25전쟁 사진 등을 엄선하여 소개한다. 곳곳에 배치된 지도와 도표, 인포그래픽 등 생생한 시각 자료는 내용의 정확성을 더해주며 보다 사실성 있고 깊이 있는 이해를 돕는다. 신문기사나 포스터, 삐라 등의 자료는 물론 장과 부의 도입부에서 북한이 자랑하는 회화, 건축, 조각 작품을 소개하여 북한의 사회적 감성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게 했다.

북한 연구 최전선에 있는 역사학자 3인의 합동 작업
가장 민감한 역사책을 통해 바른 역사 인식을 권하다


역사학자 강만길은 초판 추천사에서 이 책을 “젊은 역사학자들의 생생한 저작”이라 평했다. 이제 당시의 ‘젊은 역사학자’ 3인은 현재 북한 연구와 역사교과서 논쟁의 최전선에 있는 학자들이다. 이 저자들이 활동 중인 연구 단체이자 웅진지식하우스와 함께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북한 현대사』를 기획한 역사문제연구소는 1986년 설립된 순수 민간 연구단체다. 우리 역사의 중요 문제들을 공동연구하고 그 성과를 도서 출판, 한국사 강의, 역사 기행 등의 방식으로 일반에 보급함으로써 역사발전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작업들을 계속해오고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사회의 민주화와 통일에 기여하는 것을 기본목적으로 한다. 역사 교육·역사 인식과 관련하여 논란이 많은 요즘, 특히 북한과 관계된 역사적 사실들을 다루는 것은 현대사의 가장 민감한 뇌관을 다루는 것과 같다.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북한 현대사』는 신뢰받는 세 역사학자가 함께 심혈을 기울여 이 뇌관을 자세하게 파악해낸 기록이다. 저자들이 소개하는 이 북한 현대사를 객관적으로 읽어낼 수 있다면, 독자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가장 예민하고도 위험한 역사적 사실들을 치우침 없이 짚어낼 수 있는 건강한 역사의식의 기반을 다지게 될 것이다.

 

출처-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5. 책속으로

 

역사는 거짓말을 하지 않습니다. 일시적으로 사실을 감출 수는 있지만 언젠가는 진실이 드러나게 마련입니다. 김일성 등 북한 체제를 만든 사람들이 어떤 인물들인지, 그들이 추구했던 이상과 현실이 어떤 것인지, 그리고 그 체제 아래 살아온 일반 대중의 삶은 어떠했는지를 이해하게 된다면, 우리는 참으로 불가사의하게만 보이던 북한 체제를 좀더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서문’ 중에서

8월 15일 밤, 여운형은 서울에서 제일 먼저 새 조국 건설의 깃발을 내걸었다. ‘조선건국준비위원회’(약칭 건준)가 결성된 것이다. 8월 17일, 이북 지역의 중심인 평양에서는 조만식을 주축으로 하는 사람들이 평남건국준비위원회를 만들어 치안 유지 활동을 개시했다. (…)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당시에 우익 정치인들과 공산주의자들은 서로 대립하기보다 대체로 협력하는 분위기였다는 것이다. 평남건국준비위원회에도 공산주의자들이 들어가 함께 활동하고 있었다. -‘건국의 중심이 된 인민위원회’ 중에서

평양 공설운동장에서 ‘김일성 장군 환영 평양시민대회’가 열린 것이다. 어떤 이는 30만이 넘었다는 증언을 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항일애국장군 김일성’을 보러 몰려들었다. 김일성은 소련 제25군 정치사령관 레베데프 소장과 조만식에 이어 세 번째로 연설했다. 예상보다 훨씬 젊은 나이(당시 33세)로 보이는 김일성의 등장에 일부 사람들이 당황하기도 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지도자 김일성의 등장을 흥미진진하게 지켜보고 있었다. -‘돌아온 공산주의자들’ 중에서

그렇게 물밀듯이 서울을 점령한 인민군은 곧바로 새로운 정책을 실시했다. 서울시 인민위원회를 복구시키고, 형무소의 문을 열어 정치범들을 석방시켰다. 그리고 미처 피난하지 못했거나 서울에 남아 있던 정치 지도자들을 찾아나섰다. 이른바 ‘모시기 공작’이었다. 대상은 주로 임시정부에서 활동한 정치가들이었다. -‘1950년 6월 25일’ 중에서

이처럼 북한의 전후 복구를 둘러싸고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는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한편으로는 아래로부터의 순수한 형제애의 발로였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정부와 당에 의한 인민 통제의 논리였다. 한편으로는 공산 진영의 단결과 종주국으로서의 소련의 지위를 강화하기 위한 명분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소련에 맞서 아시아의 맏형이 되려는 중국의 의욕이 표현된 것이었다. 그리고 북한에게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는 최대한 원조를 얻어내어 경제 자립에 활용하려는 민족주의적 욕구를 형제애의 이름으로 포장해주는 그럴 듯한 명분이었다. - ‘여러 얼굴의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중에서

김일성은 인민대중에게 사회주의 낙원을 약속했지만, 1960년대 중반에 들어 경제성장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었다. (…) 김일성은 1960년대 중반에 처한 국가의 위기를 항일유격대식으로 돌파하기를 원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김일성 자신이 조금의 오류도 없는 신격화한 ‘수령’이 되어야했고, 당과 국가와 사회를 모두 주체사상으로 무장한 일사불란한 체제로 만들어야 했다. 그러나 그것은 결국에는 사회 자체의 역동성을 없애는 체제의 경직화 과정이었다. -‘모든 것을 수령 중심으로’ 중에서

1968년과 1969년은 한반도에 또다시 전쟁의 위기가 다가온 해로 기록된다. 1968년 1월에 1·21 청와대 기습사건이 일어났고, 10월에는 울진·삼척에 무장부대가 침투하여 남북관계가 극도로 험악해졌다. 북미관계도 심각해지게 되는데, 1968년 1월 23일에 미 해군 첩보선 푸에블로호가 북한 해안에서 나포되었고, 다음 해 4월에는 미 해군 정찰기 EC-121기가 격추되었다. 일촉즉발의 위기 상황이었다. - ‘격랑 속의 남북관계와 북미관계’ 중에서

생활총화시간에는 바짝 긴장하지 않을 수 없다. 근무시간의 태도나 사생활에 대해 자아비판과 상호비판을 하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일반 근로자는 그래도 일주일에 한 번 생활총화를 하기 때문에 여유가 있지만, 예술인은 이틀에 한 번, 외국인을 많이 상대하는 직장인은 매일 생활총화를 한다고 한다. 주 생활총화는 월 생활총화, 분기별 생활총화로 이어지며, 연말 생활총화를 치르고 나서야 송년회를 즐기게 된다. -‘학습과 생활총화도 노동의 일부’ 중에서

북한식 개발 전략은 민족적 자립경제의 토대를 구축하고 나름의 성과도 적지 않았으나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갖춘 것은 아니었다. 계획경제의 생산력 제약, 과중한 국방비 부담, 경제 관리의 비효율성, 뒤떨어진 기술수준 등은 이미 드러나고 있던 북한 경제의 심각한 문제점들이었다. 이 때문에 북한 경제는 서방 세계와의 빈곤한 관계 속에서 소련과 동구국가들이 몰락하자 그 허약성을 여지없이 보여주고 말았다. -‘한계에 부딪친 자력갱생의 꿈’ 중에서

2012년 7월 군의 최고 실세인 총참모장 리영호가 전격 해임되고, 게다가 2013년 12월 ‘권력 2인자’로 알려진 고모부 장성택이 ‘국가전복음모죄’에 걸려 전격적으로 숙청·처형된 사건은 ‘새로운 수령’으로서 김정은의 입지 확립에 일정한 난관이 가로놓여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 ‘김정은 시대의 개막’ 중에서 --- 본문 중에서

 

출처 - 예스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