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 소개
한국 미술사학의 거두, 안휘준의 현재를 엿볼 수 있는 책이다. 30년 넘게 강단에서 후학을 기르며 한국 미술사, 특히 회화사를 정립한 그는 2006년 정년 퇴임을 한 후에도 ‘배우는 사람’으로서 끊임없이 새로운 주제를 모색하며 한국 미술사의 빈틈을 메우려 노력해왔다.
이 책에 실린 글 대부분은 2000년대 이후에 발표된 것으로, ‘신라 화가 솔거는 과연 승려였을까’, ‘진경산수화는 조선성리학의 영향으로 나타난 민족정신의 산물일까’ 등, 그간 자료의 부족과 신화 만들기의 열망 때문에 쉽게 건드리지 못했던 주제들에 과감한 질문을 던진다. 추론과 실증을 넘나들며 미술사학의 근본을 되묻는 노작이다.
2. 저자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과를 졸업했고 미국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를 수학했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교 교수 겸 박물관장을 역임했으며 한국정신문화연구위원회 위원을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로 있다. 문화재위원회 위원,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이다. 저서로 '한국회화사', '한국회화의 전통', '한국의 현대미술, 무엇이 문제인가' 등과 공저로 '신판 한국미술사', '안견과 몽유도원도' 등이 있다.
3. 목차
『한국 미술사 연구』를 내며4
I 총론: 한국미술의 특징과 변천
1. 명작들을 통해 본 한국의 전통미술19
1) 머리말19
2) 회화22
가. 고구려의 고분벽화 / 나. 고려의 불교회화 / 다. 조선의 산수화: 안견과 정선 / 라. 조선의 초상화 /
마. 조선의 풍속화 / 바. 조선의 동물화 / 사. 조선의 궁중장식화
3) 불교조각50
4) 금속공예59
5) 도토공예와 도자기70
6) 목칠공예82
7) 석탑85
8) 맺음말92
2. 한국 미술문화의 특성 (1)93
1) 선사시대 미술의 특성95
가. 신석기시대 / 나. 청동기시대
2) 삼국시대 미술의 특성102
가. 고구려 / 나. 백제 / 다. 신라
3) 통일신라시대 미술의 특성113
4) 고려시대 미술의 특성117
5) 조선시대 미술의 특성126
6) 맺음말132
3. 한국 미술문화의 특성 (2)135
1) 한국미술 특징의 정의135
2) 한국미론의 검토136
3) 한국미술의 시대별 특성144
가. 삼국시대 / 나. 남북조시대 / 다. 고려시대 / 라. 조선시대
4) 맺음말149
4. 한국 미술사상(美術史上) 중국미술의 의의151
1) 머리말151
2) 한국 미술사상 중국미술의 의미152
3) 한국 미술사상 중국미술 수용의 제 양상155
4) 청출어람의 경지 창출162
가. 고구려 / 나. 백제 / 다. 신라 및 가야 / 라. 통일신라와 발해 / 마. 고려 / 바. 조선
5) 맺음말180
II 고구려?백제?통일신라의 미술
1. 고구려 미술문화의 특성과 위상 ― 고분벽화를 중심으로185
1) 머리말185
2) 고구려 고분벽화의 역사·문화적 성격187
가. 기록성과 사료성 / 나. 종교사상성 / 다. 과학기술성 / 라. 국제성
3) 고구려 고분벽화의 미적 특성215
가. 역동성 / 나. 멋과 세련성
4) 맺음말223
2. 백제의 회화 ― 고분벽화를 중심으로225
1) 머리말225
2) 백제 회화 형성의 배경226
3) 백제의 고분벽화228
4) 백제의 일반 회화241
가. 산수화 / 나. 인물화 / 다. 기타
5) 일본에서 활약한 백제계의 화가들250
6) 맺음말254
3. 솔거(率居): 그의 신분, 활동연대, 화풍255
1) 머리말255
2) 기록상의 솔거256
가. 『삼국사기』 「열전」 / 나. 기타 기록들
3) 솔거의 국적과 신분267
4) 솔거의 활동연대 및 대표작 노송도의 제작연대271
5) 솔거의 화풍275
6) 솔거의 노송도가 그려진 위치282
7) 맺음말284
III 고려 말~조선 초의 고분벽화
1. 송은(松隱) 박익(朴翊, 1332~1398) 묘의 벽화289
1) 머리말289
2) 벽화의 내용과 구성291
3) 인물풍속화303
가. 동벽과 서벽 / 나. 남벽
4) 묵죽과 묵매314
5) 맺음말320
2. 노회신(盧懷愼, 1415~1465) 묘의 벽화323
Ⅳ 조선왕조의 미술
1. 조선왕조 전반기 미술의 대외교섭341
1) 머리말341
2) 조선 전반기 대외 미술 교섭의 기조342
3) 조선 전반기 대중 외교관계 및 미술 교섭348
가. 대중 외교관계 / 나. 대중 미술 교섭
4) 조선 전반기 대일 외교관계 및 미술 교섭364
가. 대일 외교관계 / 나. 대일 미술 교섭
5) 맺음말380
2. 조선왕조 전반기 화원들의 기여383
1) 머리말383
2) 조선 초기 화원들의 기여387
가. 사의산수화의 격조를 높이고 일파(一派)를 이루다 - 안견 / 나. 금강산도를 그리다 - 배련 / 다. 지도 제작에 기여하다 - 안귀생과 한귀 / 라. 인물화의 위상을 높이다 - 최경과 안귀생 / 마. 문인계회도를 그리다 - 불명(不明)의 화원들 / 바. 범종과 목판화의 제작에 참여하다 - 이장손 외 / 사. 도자기의 문양을 그리다 - 불명(不明)의 화원들 / 아. 화원가문을 이루고 불화도 그리다 - 이상좌
3) 조선 중기 화원들의 기여415
가. 왕손의 후예로 화원이 되어 신구화풍을 어우르다 - 이징 / 나. 개성적 화풍과 선종화로 국위를 떨치다 - 김명국 / 다. 실경산수화 속에 기록화를 담다 - 한시각 / 라. 인물화의 격을 높이다 - 이명욱 / 마. 특유의 기록화와 의궤도를 남기다 - 다수의 화원들
4) 맺음말434
3.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과 그의 진경산수화, 어떻게 볼 것인가437
1) 머리말437
2) 정선의 신분438
가. 화성설 / 나. 사대부화가설 / 다. 화원설 / 라. 직업화가설
3) 정선 진경산수화의 연원452
가. 사상적, 양식적 연원 / 나. 시대적 요인
4) 진경시대론464
5) 맺음말466
4.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 1713~1791)과 18세기의 예단(藝壇)469
1) 강세황과 18세기 예단에서의 위치469
2) 강세황의 인물화475
가. 자화상 / 나. 풍속인물화와 산수인물화
3) 강세황의 산
'READ 1825 1기(13.3~18.2)'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월의 추천도서(1740) 한국 생활사 박물관 - 한국생활사박물관 편찬위원회 (0) | 2017.12.05 |
---|---|
12월의 추천도서(1739) 한국 사람 만들기 1 - 함재봉 (0) | 2017.12.04 |
12월의 추천도서(1737) 한국 도학파의 의리사상 - 오석원 (0) | 2017.12.02 |
12월의 추천도서(1736) 수업중 15분 행복한 책읽기 -도날린 밀러 (0) | 2017.12.01 |
11월의 추천도서(1735) 한국 고대사를 생각한다 - 최태영 (0) | 2017.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