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12월의 추천도서(1737) 한국 도학파의 의리사상 - 오석원


1. 책 소개


한국 도학파의 의리사상을 고찰한 책. 저자가 1992년 <19세기 한국도학파의 의리사상에 관한 연구>라는 주제로 발표한 박사학위 논문과 그 뒤에 발표한 여러 논문들 중에서 의리사상과 관련된 것들을 선별하여 엮은 것이다. 제1부에서는 의리사상의 본질과 실천성을, 제2부에서는 한국 도학파의 의리사상을, 제3부에서는 현대사회와 유교의 역할을 살펴본다.



2. 저자


저자 오석원은 1949년 경기도 화성 출신이며,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유학과와 대학원 동양철학과를 졸업하였다. 안동대학교 윤리교육과와 동양철학과 조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성균관대학교 유학동양학부(유교철학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만 정치대학교 교환교수, 뉴욕 주립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하였다. 성균관 유교신보사 편집인 겸 주간, 동양철학연구회장 등을 맡았으며, 현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 학술원 유교문화 연구소장, 유학동양학부장, 유학 대학원장, 한국 유교학회장 등을 맡고 있다.


엮어낸 책으로는 공저로 『조선조 유학사상의 탐구』『안동의 선비문화』『조선조 성리철학의 구조적 탐구』『동국 18현』『현대인의 유교읽기』등이 있으며, 주요논문으로는 「19세기 한국도학파의 의리사상에 관한 연구」「화서학파의 심설논쟁에 대한 고찰」「사계 김장생의 경학사상」「휴암 백인걸의 교육사상」「유교의 효사상과 현대사회」등이 있다.



3. 목차


제1부 의리사상의 본질과 실천성 
1.의리사상의 본질과 가치 
2.춘추의 화이사상과 민족의식 
3.유교의 역사의식 
4.'심경'과 도학파의 수양론 
5.의리실천의 상도와 권도 

제2부 한국 도학파의 의리사상 
1.송대의 도학사상과 한국 도학파 
2.한국의 선비정신과 출처의리 
3.역동 우탁의 충간과 의리사상 
4.퇴계 이황의 성학과 의리사상 
5.남명 조식의 경의사상과 의리사상 
6.중봉 조헌의 의병운동과 의리사상 
7.선원 김상용의 항몽정신과 의리사상 
8.화서 이항로의 척사위정과 의리사상 
9.면암 최익현의 항일의병과 의리사상 
10.19세기 척사위정사상과 개화사상의 역사적 기능 

제3부 현대사회와 유교의 역할 
1.유교사상과 현대사회의 가치관 
2.유교의 대동사회와 평화정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