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모든 문화 현상의 기원을 ‘놀이’에 두고 예술사와 종교사 등 인류 문명에 관한 다양한 학문을 도입하여 인류의 문화를 놀이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있다. 인간의 존재와 행위 양식의 본질을 파헤치면서 놀이가 오늘날의 문화에 어떤 기여를 했는지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있다. 책에 따르면 놀이는 문화의 한 요소가 아니라 문화 그 자체가 놀이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 책의 저자 하위징아는 모든 형태의 문화는 그 기원에서 놀이의 요소가 발견되고 인간의 공동셍활 그 자체가 놀이형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철학, 시, 예술 등에도 놀이의 성격이 존재한다고 밝히고 있다.
즐거움과 흥겨움을 동반하는 가장 자유롭고 해방된 활동, 삶의 재미를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활동인 놀이가 법률, 문학, 예술, 종교, 철학을 탄생시키는 데 깊은 영향을 끼쳤다고 보는 저자는 현대에 이르러서 일과 놀이가 분리되고, 단순히 놀기 위한 놀이는 퇴폐적인 것으로 변질되었다며 고대의 신성하고 삶이 충만한 ‘놀이 정신’의 회복을 바란다. 그는 놀이에 따르고, 놀이에 승복하며, 놀이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인간 문명을 빛나게 한다고 말한다.
'READ 1825 1기(13.3~18.2)'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의 추천도서(1790) 호밀밭의 파수꾼 -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 (0) | 2018.01.24 |
---|---|
1월의 추천도서(1789) 호모 노마드 유목하는 인간 - 자크 아탈리 (0) | 2018.01.23 |
1월의 추천도서(1787) 호르두발 - 카렐 차페크 (0) | 2018.01.21 |
1월의 추천도서(1786) 리처드 도킨스 자서전1, 2 - 리처드 도킨스 (0) | 2018.01.20 |
1월의 추천도서(1785) 호두 껍질 속의 우주 - 스티븐 호킹 (0) | 2018.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