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1월의 추천도서(1787) 호르두발 - 카렐 차페크




책소개

‘로봇’이란 단어를 만들어 낸 체코 작가 카렐 차페크의 작품. 1930년대 무렵, 차페크는 철학의 인식론적인 문제에 집착하고 있었다. 이에 일명 철학 소설 3부작인 ≪호르두발≫(1933), ≪별똥별≫(1934), ≪평범한 인생≫(1934)을 썼는데, 그 첫 번째 작품이다.

출처 : 교보문고


저자 소개

작가파일보기관심작가알림 신청저 : 카렐 차페크

Karel Capek

G.K.체스터턴보다 자유롭고, 조지 오웰보다 낙천적인, 체코의 몽테뉴(「데일리 텔레그래프」). 카프카, 

쿤데라와 함께 체코 문학의 길을 낸 작가이다. 카렐 차페크는 1890년 1월 9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보헤미아 북동부 지역에서 태어났다. 명문 아카데미 김나지움을 전 과목 A의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프라하 카렐 대학 철학과에 입학했다. 대학 시절 베를린과 파리의 대학들을 오가며 수학했고, 

미국 실용주의를 수용, 1915년 25세의 나이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대 초반부터 차페크는 체코 문학과 언론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였다. 1916년 산문집『빛나는 심연(外)』를

 출간한 것을 시작으로 장편 및 단편 소설, 희곡, 에세이, 동화, 번역 작품에 이르기까지 장르를 불문하고

 뛰어난 작품을 발표했다. 작품 활동을 하는 동시에 「나로드니 리스티」, 「리도베 노비니」와 같은 체코의

 유력 일간지의 편집자로 일했고, 체코 민주주의와 반(反)파시즘의 선봉장이자 문화적 선각자의 역할을 

담당했다. 일곱 차례나 노벨 문학상 후보로 거론되었지만, 나치스 독일에 저항하는 정치 성향 때문에

 끝내 수상자가 되지는 못했다. 독일이 프라하를 점령하기 몇... 펼처보기

이 세계에는 진정한 약함보다 무지함이 더 많다. 그러나 그보다 더 많은 것은 공감과 진실, 친절과 선의이기 때문에, 우리는 그릇된 일로 인간 세계를 포기할 수 없다. (……) 나약한 박애주의라고 해도 좋다. 나는 그들이 인간이라는 이유만으로 그들을 사랑한다.

역자 : 권재일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어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카고대학교 슬라브어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체코 마사리크대학교 체코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체코 카렐대학교 극동학과 교환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체코슬로바키아어과 학과장, 동 동유럽대학장, 동 도서관장 등을 지냈다.
역서로 밀란 쿤데라의 ≪농담≫, ≪히치하이킹 게임≫, 저서로 ≪체코어?한국어사전≫, ≪기초 체코어 강독≫, ≪체코어 회화≫ 외 다수가 있다. 논문으로 <카렐 차페크의 소설 ≪호르두발≫의 이미지 체계>, <밀란 쿤데라의 소설 ≪농담≫의 다성성>, <밀란 쿤데라의 초기 소설들의 우스꽝스러운 사랑들>, <야로슬라브 사이페르트의 문학과 노벨 문학상>, <양차 세계대전 사이의 체코 아방가르드 시>, <이르지 볼케르의 시와 체코 프롤레타리아 시> 외 다수가 있다.

출처 : 교보문고

목차

제1부
제2부
제3부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출처 : 본문 중에서


책속으로

피고 슈테판 마냐, 26세, 머슴, 미혼, 개신교.
피고 폴라나 호르두발로바, 처녀 때의 구성(舊姓) 두르콜로바, 미망인, 31세, 그리스 정교.
각각을 크리바 출신의 농부 유라이 호르두발의 살인죄로, 그리고 동(同) 유라이 호르두발의 살인 공범죄로 기소함.
피고들은 기립하시오. 피고들은 기소 내용을 들었습니다. 기소 내용과 관련해 유죄를 인정합니까?
피고 슈테판 마냐는 유죄를 인정하지 않는다. 그는 유라이 호르두발을 살해하지 않았다. 그는 그날 저녁에 리바리의 집에서 잠을 잤다. 들보 뒤에 있었던 돈은 주인어른으로부터 받은 돈이다. 이 돈은 그가 하피에와 결혼하기 위한 지참금이다. 유리칼은 구입하지 않았다. 안주인과는 아무런 은밀한 관계도 없었다. 더 이상 할 이야기가 없다.
피고 폴라나 호르두발로바는 유죄를 인정하지 않는다. 그녀는 아침이 될 때까지 살해에 대해서 아무것도 알지 못했다. 유라이 호르두발이 살해되었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서 그녀는 단지 창문이 깨진 것을 보았기 때문이라고 대답했다. 머슴과는 아무런 관계도 없었다. 유리칼은 수년 전에 남편이 직접 구입했다. 살인자는 창문을 통해서 들어올 수밖에
... 펼처보기 --- p.241~242

출처 : 본문 중에서

출판사 리뷰

차페크 문학의 최고봉으로 간주되는 ≪호르두발≫, ≪별똥별≫, ≪평범한 인생≫은 완전히 독립적인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세 작품 모두 진실이 무엇인가라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동일 주제의 소설이다. 그리고 이 3부작은 작가의 초기 상대주의 철학에서 후기 절대주의 철학으로의 이행을 예고하는 동시에 헤겔의 정반합 변증법에 바탕을 두고 있는 철학적인 소설이다. 즉 ≪호르두발≫은 테제(These), ≪별똥별≫은 안티테제(Antithese), ≪평범한 인생≫은 진테제(Synthese)가 되는 변증법적인 소설인 것이다.
첫 작품 ≪호르두발≫은 차페크 초기의 상대주의 철학을 잘 대변해 주는 소설이다. 제1부에서는 주인공 호르두발 자신이, 제2부에서는 두 명의 형사가, 제3부에서는 재판부가 각기 다른 입장과 관점에서 호르두발의 진실에 대한 탐구를 시도하지만, 아무도 호르두발에 대한 절대적인 진실의 규명에는 성공하지 못한다. 여기에서 주인공 호르두발의 정체성에 대한 진실은 없다는 테제가 정립되는 것이다.
두 번째 작품 ≪별똥별≫은 비행기 추락과 함께 운명을 같이한, 단지 죽음만을 남겨놓고 있는 의식불명의 한 조종사의 삶을, 간호사 수녀는 꿈을 통해서, 천리안 예언자는 직관을 통해서, 작가는 예술적인 상상력을 통해서 재구성하려 한다는 이야기로, 주인공의 진실에 대한 안티테제를 제공한다. ≪호르두발≫에서 제시된 어느 누구도 주인공의 진실에 접근할 수 없다는 명제가, ≪별똥별≫에서는 누구라도 주인공의 진실에 접근할 수 있다는 반명제에 의해 도전을 받게 되는 것이다. 
첫 번째 소설의 명제에 대한, 두 번째 소설의 반명제 대응에 의해 발전된 합명제를 담고 있는 것이 바로 세 번째 소설 ≪평범한 인생≫이다. 따라서 이 소설은 주인공이 다른 주인공들의 조명을 거치지 아니하고 주인공 자신의 내면에 들어 있는 여러 모습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진실을 확보하게 된다는 이야기다. ≪평범한 인생≫의 주인공 은퇴한 철도 공무원은 자신의 삶을 회고해 보는 과정에서, 현재(顯在)하는 자신 외에도 묻혀 있거나 잠재하는 자신이 있고, 또한 평범한 철도 공무원의 이면에는 출세주의자, 시인, 현학자, 낭만주의자 등의 여러 자신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이리하여 인간은 자신 속에 들어 있는 여러 자신들을 통해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도 알 수 있다는 합명제가 도출되는 것이고, 또한 우리는 이와 같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차페크 문학의 본질인 휴머니즘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호르두발≫은 3부로 구성되는데, 그 가운데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 제1부는 대부분 호르두발 자신의 내적 독백(interior monologue)으로 서술되어 있다. 차페크는 회화체의 도입과 이른바 ‘간접화법’의 사용으로 호르두발의 내적 독백에 효과를 더하면서 주인공의 이야기가 센티멘털리즘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배려를 잊지 않는다. 그리고 호르두발이, 문맹자임에도 불구하고 주변 인물들을 압도할 정도로 기품이 있고 풍부한 감수성의 소유자라는 역설적인 사실이 극적인 효과를 더한다. 

출처 : 지식을 만드는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