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월의 추천도서(2529) 배움의 발견 1. 책소개 교육을 거부한 아버지의 세계를 떠나 자신만의 삶을 살아간 한 소녀의 이야기! 세상의 종말이 임박했다고 믿는 모르몬교 근본주의자였고, 공교육에 대한 불신 때문에 자녀들을 학교에 보내지 않았던 아버지로 인해 16년간 학교에 다니지 못하고 기초 교육 과정을 모두 건너뛴 채로 대입자격시험(ACT)을 치렀고, 17세에 대학에 합격하면서 기적과 같은 배움의 여정을 시작하게 된 타라 웨스트오버의 첫 저술이자 회고록 『배움의 발견』. 1986년 미국 아이다호에서 7남매 중 막내딸로 태어난 저자가 아이다호주 벅스피크의 유년 시절부터 케임브리지에서 역사학으로 박사 학위를 얻기까지 남다른 배움을 여정을 이야기한다. 저자의 일곱 남매 중 네 명은 출생증명서가 없었다. 가정 분만으로 태어나서 한 번도 의사나 간호사.. 더보기
2월의 추천도서(2528) 도래할 책 1. 책소개 예술, 작품, 문학의 본질을 묻는 블랑쇼의 새로운 문학 이론! 은둔의 철학자, 근대성의 조종을 울린 사제로 불리면서 푸코·들뢰즈·데리다로부터 낭시·라쿠-라바르트·아감벤에 이르기까지 당대 최고의 철학자들에게 끊임없는 영감의 원천이 되어 왔던 모리스 블랑쇼의 선집 「블랑쇼 선집」제 3권. 『도래할 책』은 20세기 이후 서구 문학에 대해 가장 탁월한 분석이라고 평가받는 블랑쇼의 역작이다. 문학이 우리에게 무엇인지, 문학은 과연 가능한지를 물어 왔던 저자는 이 책에서 다양한 작가와 작품들, 바깥, 황야, 죽음과 같은 그만의 개념을 통해 더욱 철학적이고 근본적인 수준으로 문학과 예술을 바라본다. 특히 세이렌과 오디세우스의 신화를 문학적 체험의 전면에 내세움으로써, 문학이야말로 이질적인 것의 수용이며,.. 더보기
1월의 추천도서(2527) 노키아의 변신 1. 책소개 “우리는 새로 태어난 회사다!” “2016년 세모(歲暮)의 노키아는 2012년의 노키아와는 말할 것도 없고, 불과 1년 전의 노키아와도 근본적으로 달라진 회사였다. 내가 노키아의 회장이 되었을 때, 우리는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치는 일개 휴대폰 제조업체였다. 우리는 2016년을 주로 모바일 네트워크와 특허 라이선싱 회사로서 출발했다. 그런데 무선, 유선, 케이블, 라우팅, 광케이블, 자립형 소프트웨어, 서비스, 디지털 헬스케어, 가상 현실, 여기에 특허, 브랜드 테크놀로지 등의 라이선싱 작업을 아우르는 완벽한 포트폴리오를 갖춘 세계 텔레콤 인프라업계의 3대 주요 기업 가운데 하나로서 그해를 마무리했다.” 위의 내용은 18장의 한 단락이다(425쪽). 이 단락을 인용한 것은 우리가 알던 노키아가.. 더보기
1월의 추천도서(2526) 구글의 종말 1. 책소개 이제 구글의 시대는 종말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IT 분야 트렌드 예측 선지자이며, 미국의 유명 경제학자이자 미래학자, 그리고 데이터 시대 3대 사상가 중의 한 명으로 알려진 조지 길더. 《텔레비전 이후의 삶》에서 TV 시대의 종말과 네트워크 시대의 개막을 이야기했던 그의 예언이 현실화된 오늘날, 그가 구글과 실리콘밸리를 뒤흔든 새로운 예언을 들고 다시 나타났다. 『조지 길더 구글의 종말』에서 그는 인터넷 세상이 뒤집어질 대변혁이 다가오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빅데이터의 시대가 조만간 끝나고 새로운 기술, 블록체인이 가상화폐 경제의 새 시대를 열어,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과 경제를 재편할 것이고, 이미 구글과 같은 소수 거인들의 지배를 받아온 실리콘밸리가 오늘날 위대한 해체를 맞이하고 있다고 .. 더보기
1월의 추천도서(2525) 내가 살아온 20세기 문학과 사상 1. 책소개 문학평론가 김윤식 교수의 고희 기념으로 출간된 자전에세이집. 평생동안 문학비평의 길을 걸었던 자신의 인생을 돌아보고 있다. 2002년 1월부터 2004년 8월까지 문예지「문학사상」에 연재했던 원고를 모아 엮은 것이다. 이 책은 저자 개인의 회고록인 동시에, 해방 전후부터 20세기 말까지의 한국 근대문학사의 조감도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비평과 수필이 결합된 에세이를 통해, 문학비평이 담아낼 수 있는 폭이 얼마나 넓고 흥미로워질 수 있는지 보여준다. 출처 : 교보문고 2. 저자 저자 : 김윤식 국 근대문학에서 근대성의 의미를 실증주의 연구 방법으로 밝히는 데 주력하였으며, 특히 1920∼1930년대의 근대문학과 프롤레타리아문학이 가지는 근대상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시·소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