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5월의 추천도서 (3726) 감정 문해력 수업 1. 책소개 2. 저자 저자 : 유승민 언어와 사람, 마음과 문화의 연결고리를 늘 고민하며 살아간다. 도쿄 아오야마가쿠인대학원에서 인지언어학을 공부하고 국제커뮤니케이션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동양 문화권 특유의 고맥락 문화가 말 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두고, 한국과 일본의 미묘한 문화가 언어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했다. 현재는 JTBC 보도국에서 르포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다. 이 책은 눈치, 침묵, 암묵지 등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이 대화의 맥락, 상황, 뉘앙스를 해석하는 쓸모 있는 도구라고 말한다. 진짜 속마음은 겉으로 드러내지 않는 화법 때문에 대화할 때 어려움을 겪어 본 적 있다면, 이 책이 남에게 상처받지 않고 나를 보호하는 단단하고 다정한 힘을 기르게 해줄 것이다. 출처:본문중.. 더보기 5월의 추천도서 (3725) 괴롭힘은 어떻게 뇌를 망가뜨리는가 1. 책소개 2. 저자 저자 : 제니퍼 프레이저 (Jennifer Fraser) 괴롭힘 및 학대 치유 전문가,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교사. 토론토대학에서 비교 문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5년에 발표한 세 번째 저서 《괴롭히는 교사Teaching Bullies》에서 아들이 다니는 사립학교에서 발생한 교사의 학대를 고발했다. 이를 계기로 괴롭힘이 피해자의 뇌에 남긴 트라우마를 연구하고 이에 관한 글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프레이저의 글은 괴롭힘, 왕따, 학대가 미치는 영향을 뇌 과학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각계의 전문가로부터 격찬을 받았다. 이후 여러 기관과 매체에 ‘괴롭힘의 패러다임’에 관한 글을 기고하며, ‘상처받은 뇌bulliedbrain.com’를 설립해 괴롭힘과.. 더보기 5월의 추천도서 (3724) 언어의 무게 1. 책소개 2. 저자 저자 : 파스칼 메르시어(Pascal Mercier) 본명은 페터 비에리(Peter Bieri)로, 1944년 스위스 베른에서 태어났다. 베른 고등학교에서 라틴어와 그리스어, 히브리어를 배웠고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 철학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1983년부터 2007년까지 빌레펠트 대학, 하이델베르크 대학, 마르부르크 대학, 베를린 자유 대학 등에서 철학 교수로 재직했으나 자본주의 논리가 지배하는 대학에 회의를 느껴 은퇴를 결정했다. 2014년 독일 최고의 철학 에세이에 수여하는 트락타투스상을 받은 《삶의 격》을 비롯해 《자기 결정》 《자유의 기술》 등 철학서를 저술하는 한편, 1995년부터 파스칼 메르시어라는 필명으로 섬세한 사유가 돋보이는 소설을 발표해왔다. 2004년.. 더보기 5월의 추천도서 (3723) 우리는 왜 숫자에 속을까 1. 책소개 2. 저자 저자 : 게르트 기거렌처 저명한 심리학자로 시카고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막스 플랑크 인간개발 연구소 명예 소장이자 포츠담 대학교의 위험 관리 능력 강화를 위한 하딩 센터 소장으로 있다. 1991년 미국과학진흥협회상을, 2002년 독일과학서적저술상을 수상했다. 저자 : 발터 크래머 도르트문트 공과대학교의 경제 및 사회통계학 명예교수. 독일 학술진흥재단의 통계학 분과 자문위원으로도 일한 바 있다. 통계학, 사회학, 경제학, 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출처:본문중에서 3. 목차 들어가는 말_숫자맹은 정신적 전염병이다 1부_데이터를 근거로 생각하라 1장_통계적 사고의 도구들 기본 원칙 1: 세상에 확실한 것은 없다 기본 원칙 2: 무엇에 대한 .. 더보기 5월의 추천도서 (3722) 초(超)기업 1. 책소개 2. 저자 저자 : 마이클 프렌티스 (Michael Prentice) 인류학자(언어·문화인류학). 미국 브라운대학교를 졸업한 뒤 미시간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브랜다이스대학교에서 인류학을 강의했고, 하버드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국제교류재단 박사 후 연구 펠로우십을 거친 뒤 영국으로 건너가 맨체스터대학교 기업 조직 디지털 보안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현재 한국학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뤄지는 영국 셰필드대학교 동아시아학부 한국학 교수로서 ‘한국의 이해’, ‘동아시아 대중문화와 디지털 사회’, ‘동아시아 젠더와 정체성’ 과목을 맡아 강의하고 있다. 프렌티스 교수는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한국 기업 대상 인류학 연구를 시작했는데, 단순한 탁상 연구가 아닌 실제로 한국 기업 .. 더보기 이전 1 ··· 171 172 173 174 175 176 177 ··· 9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