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5월의 추천 도서 (1524) 법정 스님의 내가 사랑한 책들 - 문학의숲 편집부 1. 책소개 법정 스님의 진리와 구도의 길에 함께해 온 책들, 모두 잠든 밤 홀로 깨어 오두막을 불 밝혀 온 책들은 무엇인가. 법정 스님이 추천하는 이 시대에 꼭 읽어야 할 책 50권 강원도 산중 오두막 생활에서 가장 행복한 때를 꼽으라면 읽고 싶은 책을 아무 방해도 받지 않고 읽고 있을 때, 즉 독서삼매에 몰입할 때라고 법정 스님은 말한 적이 있다. 그때 “내 영혼은 투명할 대로 투명해지며” “책의 기상이 나를 받쳐 준다.”고. 그렇다면 법정 스님의 구도와 진리의 길에 함께해 온 책들은 무엇일까? 모두가 잠든 밤 홀로 깨어 산중 오두막을 불 밝혀 온 책은? 스님이 스스로를 거울처럼 비춰 보던 책은 무엇이며, 늘 곁에 두고 스승으로 삼은 구도의 책과 경전에는 무엇이 있을까? 스님이 즐겨 읽은 고전에는 무.. 더보기
5월의 추천 도서 (1523) 중국명시감상 - 이석호, 이원규 1. 책소개 역대 중국의 주옥같은 시편들과 그 탄생에 얽힌 이야기 한문학 권위자인 이석호 연세대 명예교수가 제자인 이원규 교수와 함께 214편의 중국 명시를 소개하는 책이다. 10년간 심혈을 기울여 집필한 이 책은 고대에서부터 당, 송, 원, 명, 청대에 이르기까지 주옥같은 중국의 한시들을 모아 엮었다. 이백, 두보, 맹호연 같은 유명한 시인들의 작품은 물론 항우, 유방, 제갈량 등의 위인들과 초야에 묻혀 살던 이름 없는 선비들의 작품 등 다양한 작가의 작품들을 소개한다. 이 책은 시대별로 중국의 유명시를 총망라하였다. 시의 원문 및 우리말 번역은 물론, 상세한 주석을 함께 수록함으로써 그 작품이 쓰여진 시대상에 대한 이해와 감상을 도와준다. 시의 해석에 필요한 핵심설명과 그 시에 관련된 역사까지 다루고.. 더보기
5월의 추천 도서 (1522) 교양을 읽다 - 대구교육대학교 1. 책소개 복잡한 현대를 살아가는 리더가 되고자하는 젊은이들에게 교양서 100권 속에 담긴 삶의 의미와 지혜를 선사한다. 이 책을 통해 100권의 책 속 지식들을 경험해가면서 자신의 참된 자아를 발견하고, 타인을 더 많이 사랑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인간과 교육에 대한 고민과 사색을 통해 새로운 비전을 창출하고 실천해가는 교육 리더로서 성장해 나갈 수 있는 자양분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은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장場이다. 인간과 인간이 만나 서로 공감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인간과 사회, 인간과 자연과의 소통을 만들어내는 상호텍스트적인 공간이다. 이 책은 그런 교육의 본질과 가치를 담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다. 그런 목적 아래, 모두가 함께 공유해야 할 인간에 대한 깊은 .. 더보기
4월의 추천 도서 (1521) 중론 - 용수 1. 책소개 2. 저자소개 용수 원래의 이름은 나가르주나(Nagarjuna)이며, 용수(龍樹)는 산스크리트어로 용(龍)을 뜻하는 나가(naga)와 나무[樹]를 뜻하는 아가르주나(agarjuna)를 한자로 옮겨 표기한 것이다. 한국ㆍ중국ㆍ일본 등 동북아시아 지역에서는 모두 용수라는 이름으로 나타내며, 존칭(尊稱)으로 용수보살(龍樹菩薩)이나 용수대사(龍樹大士)라고 부르기도 한다. 밀교(密教)에서는 ‘용맹(龍猛)’이라고 나타내기도 한다. 인도 중부 데칸고원(Deccan)에 있는 비다르바(vidarbha)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 처음에는 브라만교(Brahmanism)의 교리를 공부하였으며, 카시미르(Kashmir)와 인도 북부 지역을 두루 여행하며 소승불교의 경전도 깊게 공부하였다. 그리고 ≪반야경(般若經)≫ .. 더보기
4월의 추천 도서 (1520) 중국철학 우화393 - 김태완 1. 책 소개 중국철학사에서 가치를 발하는 우화를 모아 옮기고 해설한 책. 중국철학의 우화를 담았으나, 우리가 살고 있는 오늘의 현실을 비추고 있다. 우리가 처한 일상의 사회 현실은 물론, 정치, 외교 등과 같이 좀 더 큰 테두리의 다양한 세계도 다룬다. 이 책은 우화를 통해 철학이란 꼭 어렵거나 논리적이 아니더라도, 모든 이가 느끼는 원초적 이해에서 출발할 수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2. 저자소개 김태완 경북 봉화에서 태어나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보내고, 그곳에 있는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서울로 올라와 숭실대학교에서 학부와 대학원을 졸업, 율곡 이이의 책문을 텍스트로 삼아 실리사상을 연구하여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숭실대학교, 경원대학교, 성결대학교, 호남신학대학교 등에서 교양철학과 동양철학, 한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