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추천도서(23.3~24.2)/2023-11 썸네일형 리스트형 11월의 추천도서 (3915) 야생 붓꽃 1. 책소개 ★ 노벨문학상 · 퓰리처상 ★ 노벨문학상 작가 루이즈 글릭 대표 시집 “꾸밈없는 아름다움을 갖춘 시적 목소리로 개인의 실존을 보편적으로 나타낸 작가” _ 한림원 출처:본문중에서 2. 저자 저자 : 루이즈 글릭 (Louise Glück) 미국의 시인이자 수필가이다. 1943년에 태어났다. 1968년 시집 《맏이》로 등단했고, 1993년 시집 《야생 붓꽃》으로 퓰리처상과 전미도서상을 받았다. 2003년부터 다음 해까지 미국 계관 시인이었다. 그동안 시집 열네 권을 발표했고 에세이와 시론을 담은 책 두 권을 지었다. 2020년 노벨문학상, 2015년 국가인문학메달, 1993년 《야생 붓꽃》으로 퓰리처상, 2014년 《신실하고 고결한 밤》으로 전미도서상, 1985년 《아킬레우스의 승리》로 전미비평가.. 더보기 11월의 추천도서 (3914) 장기려 평전 1. 책소개 이 책은 아무런 정치적 고려 없이 있는 그대로의 장기려를 서술했다. 이전의 연구나 전기들이 지나쳤거나 외면했던 문제를 정면으로 다뤘고, 사안에 따라서 그의 선택이나 결정을 문제 삼았다. 그의 유족, 의사 제자, 그의 이름이나 아호를 앞세운 유관 단체의 일관되지 못한 행태 비판했고, 우리나라 의학사나 기독교 현대사의 장기려 서술에 이의를 제기했다. 장기려 타계 이후 28년만에 전면 개정을 했기에 그 동안 우리 사회에서 중요하게 제기된 ‘의료보험의 아버지가 박정희다, 아니 민중이다, 민중도 박정희도 아니고 장기려이다’는 논란, 과도한 이념과 세대 갈등, 코로나 사태 이후 일부 개신교가 보여 준 독선적 행태를 소개하거나 의식하며 장기려에게서 대안을 모색했다. 출처:본문중에서 2. 저자 저자 : 지.. 더보기 11월의 추천도서 (3913) 위험한 과잉의료 1. 책소개 “과잉의료는 개인에게 신체적, 정신적, 재정적 타격을 줄 뿐만 아니라, 보건 시스템에도 재정적, 구조적 부담이 된다.” 『위험한 제약회사』의 저자이자 근거중심의학의 세계적 석학인 피터 괴체 교수가 자신의 경험과 함께 제시하는 과잉의료의 원인과 해법 의사는 왜 불필요한 검사와 처방과 시술로 환자에게 해를 입히는가? 환자는 왜 신중한 확인도 없이 의료인에게 자신의 건강을 쉽게 내맡기는가? 국가는 왜 의료를 정치에 남용하면서 안전 규제를 제대로 하지 않는가? 현재 우리나라의 의료는 인구의 감소와 대도시 편중, 정치의 의료 포퓰리즘과 과잉의료 조장, 상급 의료기관의 대형화와 상업화, 의료전달체계의 역피라미드화, 질병 장사를 하는 제약회사들의 기만적인 의약품 개발과 불법 영업 행위, 거짓이거나 부정확.. 더보기 11월의 추천도서 (3912) 루나의 전세역전 1. 책소개 출처:본문중에서 2. 저자 저자 : 홍인혜 광고회사 TBWA에서 카피라이터로 일했고, 홈페이지 루나파크를 만들어 만화를 그려왔고, 2018년 시인으로 등단했다. 지금은 회사를 떠나 다양한 분야의 창의노동자로 살아가고 있다. 전세 사기라는 환난을 겪고 극복하는 과정을 인스타그램과 블로그에 만화로 연재했다. 지은 책으로 『우리의 노래는 이미』 『고르고 고른 말』 『지금이 아니면 안 될 것 같아서』 『루나파크』 등이 있다. 출처:본문중에서 3. 목차 프롤로그 이제야 할 수 있는 이야기 전세, 기울기 시작하다 꼼꼼함은 나의 힘 시작은 순한 맛으로 어른 1인분의 몫 인생을 뒤흔든 문서 상식의 붕괴, 신뢰의 붕괴 가장 사적인 고통 마음의 침몰 나는 나의 전사 그 사람의 한마디 엔딩은 내 손으로 낯선 길.. 더보기 11월의 추천도서 (3911) 조슈 이야기 1. 책소개 대중을 위한 일본 근대사! 이 책은 일반 대중이, 한국과 얽힌 일본근대의 역사를 알기 쉽게 씌어진 것이다. 저자는 엄밀히 학문적 근거와 동북아 역사에 대한 깊은 연민을 담아 저술했다. 한국과 일본에서 서로 아주 가까운 ‘조슈’라는 곳에 초점을 맞추어 스토리텔링으로 재미있게 풀어 설명하고 있다. 조슈라는 렌즈로 바라본 일본 근대사! 저자는 한일 두 나라 사이의 복잡한 은원관계를 역사적인 맥락에 따라 살펴보고 있다. 그 과정에서 일본은 왜 한국을 싫어하게 되었는지(혐한), 또 한국은 왜 일본을 반대하게 되었는지(반일), 그 뿌리 깊은 역사를 알기 쉽게 풀어낸다. 일본인 처지에서 보면, 참으로 가슴 벅찬 영광의 시대(메이지 시대), 아시아의 변방이 언제 서구 열강의 식민지가 될지 모르던 상황에서 ..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