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8월의 추천 도서 (895) 송명성리학(宋明性理學) - 진래(陳來) 1. 책소개 인물로 보는 송명 성리학사. 송명시대의 대표적 사상 가 22인을 통해 그 시대의 성리학을 재구성한 연구서.주희를 주축으로 하는 성리학의 집대성과 이후의 계승, 극복과정을 보여주고 왕수인을 주축으로한 양명학의확립과 분기과정을 추적했다.[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목차 1. 이끄는 말 2. 송명성리학의 선구 3. 북송성리학의 건립과 발전 4. 남송성리학의 발전 5. 명대 중후기의 리학 6. 끝맺는 말[예스24 제공] 3. 책속으로 당대 중엽에 시작하여 북송때 안정되고 확립된 문화적 전환은, '근세화'과정의 일부분이었다. 이러한 근세화 문화 형태는 중세의 정신과 근대 공업 문명과의 중간 형태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며, 그 기본 정신은 두드러진 세속성, 합리성, 평민성이다. 송명리학 전체에 대한 .. 더보기 8월의 추천 도서 (894) 송강가사(松江歌辭) - 정철 1. 책소개 《관동별곡》, 《성산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장진주사》…. 낯익은 제목이다. 교과서에 빠지지 않고 등장해 우리를 고문(拷問)했던 고문(古文)들. 시험에 쫓겨 막상 제대로 음미하지도 못하고 기계적으로 외웠지만 이들이 두고두고 명문으로 회자되는 데에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송강 정철의 가사를 한데 모았다. 유려한 현대어 풀이는 물론 정확한 원문과 상세한 해제, 전문적인 주석이 함께 있어 간단한 맛보기부터 깊이 있는 연구까지 가능하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저자소개 정철 저자 : 정철 저자 정철[鄭澈, 1536(중종 31)∼1593(선조 26)]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정치가다.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계함(季涵), 호는 송강(松江)이다.서울 장의동(藏義洞, 지금의 종로.. 더보기 이전 1 ··· 1859 1860 1861 1862 1863 1864 1865 ··· 23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