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썸네일형 리스트형 1월의 추천 도서(681) 분례기(糞禮記) - 방영웅 1. 책 소개 1967년 「창작과비평」에 연재됐던 한국 현대문학의 고전. 변소에서 낳았다 하여 `똥례`로 불리는 여자의 기구한 삶을 그렸다.먼 친척인 용팔이와 함께 나무를 하러 산에 갔다가 겁탈을 당한 데서부터 그의 팔자는 어긋나기 시작한다. 노름꾼인 그의 아버지 석서방은 노름꾼이자 네번이나 혼인한 영철에게 그를 떠넘긴다.영철의 노름을 말리려던 똥례는 오히려 그에게 죽도록 얻어맞고 쫓겨나며,과수원에서 윤간을 당한 뒤 실성해서 집을 떠난다. 소설은 해방 직후를 배경으로 삼고 있지만,그 시기에 대한 사회역사 의식은 두드러지지 않는다.그보다는 분례라는 한 여인의 삶을 질곡으로 몰아넣는 남존여비의 습속과 정조에 관한 강박이 비판의 대상이 된다. 소설은 분례가 대표하는 자연적 본성과,인간들이 만든 규율 및 금기 .. 더보기 1월의 추천 도서(680) 분노(憤怒)의 포도(葡萄) - 존 스타인벡 1.책소개 미국을 대표하는 소설가 존 스타인벡의 작품『분노의 포도』. 대공황 시대 미국의 참혹한 현실을 그린 이 작품으로 존 스타인벡은 퓰리처 상과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며 미국의 대표 작가로 거듭나게 되었다. 정직하게 살아가다 하루 아침에 비참한 이주 노동자로 몰락한 조드 일가를 통해 당시 미국의 현실을 생생하게 포착하였다. 『분노의 포도』는 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산업자본주의가 대두되던 시기의 미국 농촌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3대에 걸친 조드 가족은 가뭄과 모래 한파와 지주들의 횡포에 못 이겨 트럭으로 개조한 중고차를 타고 일자리가 있다는 캘리포니아로 떠난다. 하지만 힘들게 도착한 목적지는 지배계급의 노동력 착취가 만연한 또 다른 고통의 땅이었는데... 가난에 절망하면서도 끝까지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 더보기 1월의 추천 도서(679) 북회귀선 - 헨리 밀러 1.책소개 1934년 파리에서 영어판으로 초간된 헨리 밀러의 작품 은 발표 당시 평단의 극찬을 받았으나, 정작 영미권에서는 판금되었던 문제작이다. 문학세계사는 국내에 처음으로 을 소개했지만, 일본어판 중역이라는 한계를 안고 있었는데, 이번에 원작 출간 70년 만에 원전 완역판으로 을 선보였다. 한국 문단에서 21세기 이방인으로 불리는 정영문이 번역을 맡았다. 헨리 밀러의 연인이자 든든한 후원자였던 애나이스 닌은 '근원적인 현실에의 우리의 취향을 되살려줄 만한 힘이 있는' 소설이 있다면 바로 헨리 밀러의 이라고 말했다. 오랫동안 이 작품을 외설작품이라는 오명을 씌우고, 판금조치시켰던 대담한 성 묘사는 모든 기성의 윤리나 관습, 감정, 질서 등을 동요시키는 역할을 한다. 방종하기까지 한 섹스는 생의 근원적인.. 더보기 1월의 추천 도서(678) 북학의(北學議) - 박제가(朴齊家) 1.책소개 최초의 원문 교감과 역주를 통해 완성된 완역 정본 《북학의》! 완역 정본 『북학의』. 《북학의》는 조선의 경장을 꿈꾼 18세기 후반의 사상가 박제가의 저술이다. 선진적인 중국의 문물을 배워서 부국강병을 이루자는 주장을 담고 있다고 알려진 이 책은, 위기에 봉착한 조선 사회의 현실에 대한 통렬한 분석과 자기부정을 통해 미래를 설계하고자 한 뼈아픈 자각과 통찰의 저작이다. 이번 완역 정본은 20여 종의 사본을 교감하고 주해하는 작업을 거쳐 탄생한, 말 그대로 ‘정본’이다. 이 책의 교감과 번역, 주석 작업을 한 안대회 교수는 국내는 물론 일본과 미국 등에 흩어져 있는 국외의 이본들을 모두 수집하여 교감 과정을 거쳐 정본을 만들고, 완역 작업을 이루었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저자소개 .. 더보기 1월의 추천 도서(677) 부활 - 톨스토이 1.책소개 제정 러시아를 뒤흔든 톨스토이의 문제작! 러시아의 대문호 톨스토이의 마지막 불꽃같은 작품 『부활』 제1권. 신분을 뛰어넘은 사랑을 담은 이야기이자, 제정 러시아의 사회생활과 사회악을 담아낸 정치적 보고이며, 종교에 대한 고민과 답을 담은 철학서이다. 비평가들에게는 비판을, 대중들에게는 가장 큰 사랑을 받은 이 대작을 톨스토이의 문학 세계를 충실히 보여주는 번역으로 선보인다. 작품의 배경과 당시 상황을 고려하여 원작의 표현과 그 안에 담긴 톨스토이의 메시지를 최대한 정확하게 우리말로 옮기고자 했다. 살인 누명을 쓴 창녀 카츄샤의 재판. 과거 그녀는 귀족 네흘류도프와 밀애를 나누다 쫓겨난 후 타락의 길로 접어들었다. 우연히 그녀의 재판에 네흘류도프가 배심원으로 참석하게 되고, 그는 그녀의 운명에 .. 더보기 이전 1 ··· 156 157 158 159 160 161 162 ··· 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