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1월의 추천 도서 (1417) 창조적 세계화론 - 박세일 1월의 추천 도서 (1417) 창조적 세계화론 - 박세일 1. 책소개 21세기, 초세계화 시대에 우리는 어떤 세계화 전략을 세워야 하는가? ‘세계화’라는 화두를 제시했던 서울대 박세일 교수의 2차 세계화 개혁론을 담고 있다. 국민 통합과 국가 발전의 이념으로 개인의 존엄과 창의와 자유를 기본으로 하되 공동체적 가치와 연대를 중시하는 공동체자유주의를 중심으로 창조국가, 조화사회, 통일한국의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21세기 한반도의 선진화와 통일을 위한 서울 컨센서스 10대 전략을 제시하고 있는 이 책은 사상능력과 리더십능력, 정부능력, 시장능력, 시민사회능력의 국가능력이 향상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동아시아의 평화와 발전을 목표로 통일전략과 동아시아구성, 세계화가 가져올 변화, 대한민국의 선진화.. 더보기
1월의 추천 도서 (1416) 선진통일전략 - 박세일 1월의 추천 도서 (1416) 선진통일전략 - 박세일 1. 책소개 선진 한반도로 가기 위한 창조적 통일론을 말하다! 박세일이 제안하는 선진 통일 패러다임『선진 통일 전략』. 이 책은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이, 한국 사회의 통일 역사 필연성과 현실적 방법론을 담아 ‘총체적 통일론’을 제시하고 있다. 역사적 시각에서 분단의 원인과 그로 인해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부작용을 진단한다. 저자는 통일이라 말야 새로운 선진 한반도를 만드는 신국가창조의 작업이자 동북아시아의 번영과 평화를 이루는것임을 강조하며 통일을 위한 올바른 전략을 제안하고 있다. 저자는 통일론의 철학과 체계, 기본 구상, 통일정책의 전개 과정, 통일정신 고취와 통일준비 활동 계획 등 통일을 위한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 더보기
1월의 추천 도서 (1415) 브란덴부르크 비망록 - 양창석 1. 책소개 이 책에는 동독 주민들의 탈출과 시민 혁명을 시작으로 화폐 통합, 정치적 통합, 국제 사회의 합의를 거쳐 마침내 분단 45년 만에 극적인 통일을 이루어내는 숨 가쁜 과정이 현장 사진 자료와 함께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그 과정에 소금처럼 녹아 있는 독일 정치 지도자들의 눈부신 활약과 외교적 수완을 저자가 전하는 그들의 육성 증언을 통해 엿볼 수 있다. 특히 콜 수상을 비롯한 서독 정치 엘리트들이 어떻게 동독의 급박한 상황에 대처했으며, 미국, 소련, 영국, 프랑스 등 전승국들을 설득하여 1년여 만에 통일 대업을 달성하게 되었는지 생생하게 보여준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저자소개 양창석 저자 : 양창석 저자 양창석 은 경북대 경영학과 졸업, 런던정경대(LSE) 석사, 단국대 정치.. 더보기
1월의 추천 도서 (1414) 통일을 보는 눈 - 이종석 1월이 추천 도서 (1414) 통일을 보는 눈 - 이종석 1. 책소개 실사구시적 북한연구의 결정체 ‘청년세대를 위한 통일론’! 왜 통일을 해야 하느냐고 묻는 이들을 위한 통일론『통일을 보는 눈』. 북한문제와 통일문제에 올곧이 천착해온 학자이자 참여정부 시절 통일부장관을 역임한 저자 이종석이 그간의 연구 성과와 정책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종북’과 ‘반북’을 넘어선 ‘실사구시의 통일론’을 제시하였다. 이 책은 그동안 대학과 시민단체 등에서 한 강연, 학술논문, 각종 인터뷰, 신문 칼럼 등을 통해 내놓은 논리나 주장, 그리고 평소 저자의 속생각을 하나의 틀로 다듬어서 고스란히 담아냈다. 냉전 해체 이후 지난 20여 년간 우리를 둘러싼 세상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분석하여 통일 환경의 변화를 짚어내고, 통일과 .. 더보기
1월의 추천 도서 (1413) 독일통일 한국통일 - 손선홍 1. 책소개 1989년 11월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마침내 독일이 통일된 지 25년을 넘어섰다. 외교관으로 30여 년 동안 주독일 대사관 공사, 주함부르크 총영사, 외교부 본부 대사 등을 역임한 저자는 독일 통일 문제를 현장에서 지켜보았을 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통일 문제 연구에 전념해 왔다. 독일 통일의 전반적인 과정을 보다 올바르게 재조명하고, 이를 통해 한반도 통일의 필연성을 알리며 실질적으로 준비해야 할 문제들을 깊이 있게 다루는 책이다. 독일 통일 과정에 직접 참여했던 최고위층 인사들의 저서와 회고록, 면담 자료를 기반으로 헬무트 콜 총리, 한스-디트리히 겐셔 외무장관, 볼프강 쇼이블레 내무장관, 호르스트 텔칙 총리실 외교안보 보좌관, 테오도어 바이겔 재무장관 등 독일 정치인들의 통일 가능성에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