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 소개
로크의 <통치론>을 우리말로 옮긴 책. <통치론>은 시기를 달리하여 쓰인 제1론과 제2론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로크 당대에도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대륙에서는 주로 제2론만이 번역, 출간되었다. 제2론은 "시민정부의 참된 기원, 범위 및 그 목적에 관한 시론"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이 책에서도 로크가 서양의 근대 정치사상에 건설적으로 기여한 바를 담고 있는 제2론만을 우리말로 옮겼다. 역자 해제에서는 로크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도와준다.
2. 저자
영국 최초의 계몽철학자이자 고전적 자유주의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그의 주저인 <통치론>에서 군주의 왕권신수설 사상을 반대하고 자연적 권리(특히 재산권)를 옹호하고, 개인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한 제한적인 헌법적 통치를 주장하였다.
그는 1632년 8월 29일 잉글랜드 브리스톨(Bristol)에서 법조인의 아들로 태어나 웨스트민스터 기숙학교와 옥스퍼드 대학의 크리스트 칼리지에서 수학하는 동안 언억학, 논리학, 윤리학, 수학, 천문학 등을 공부했다.
1658년 대륙을 방문하여 공사(公使)의 비서관이 되어 독일에 체류하던 중 애슐리 경(Lord Ashley)(뒤의 샤프츠베리 백작(Earl of Shaftesbury))을 알게 되어 그의 시의(侍醫) 및 아들의 가정교사 그리고 고문이 되는 등 다양한 경험을 하였다. 백작이 실각되자 같이 반역죄로 몰려 1683년 네덜란드로 망명했다가, 1689년 사면되어 귀국했다.
망명생활 동안 각지를 여행하면서 많은 학자들과 교류하는 동안<인간 오성론(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의 개요를 발표하고, 자녀교육에 관한 충고의 글들을 친구에게 써 보냈는데, 그것이 본서(Some Thoughts Concerning Education)의 원고가 되었다.
귀국 후 《관용에 관한 서한》(1689), 《통치이론》(1690), 《인간오성론(人間悟性論)》(1690) 등을 집필하여 국내외에 이름을 떨쳤다. 1700년 에식스에 은퇴하였다가 그곳에서 사망했다.
3. 목차
제1장 자연상태에 관하여
제2장 전쟁상태에 관하여
제3장 노예상태에 관하여
제4장 소유권에 관하여
제5장 부권에 관하여
제6장 정치사회 또는 시민사회의 기원에 관하여
제7장 정치사회의 기원에 관하여
제8장 정치사회와 정부의 목적에 관하여
제9장 국가의 형태에 관하여
제10장 입법권의 범위에 관하여
제11장 국가의 입법권,집행권 및 연합권에 관하여
제12장 국가권력의 종속에 관하여
제13장 대권에 관하여
제14장 부권,정치적 권력 및 전체적 권력에 관한 총괄적 고찰
제15장 정복에 관하여
제16장 찬탈에 관하여
제17장 전제에 관하여
제18장 정부의 해체에 관하여
- 인터넷 교보문고
'READ 1825 1기(13.3~18.2)'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의 추천 도서(1657) 퇴계와 고봉, 편지를 쓰다 - 김영두 (0) | 2017.09.13 |
---|---|
9월의 추천 도서(1656) 근대로의 길 (유럽의 교훈) - 박지향 (0) | 2017.09.12 |
9월의 추천 도서 (1654) 통섭 - 에드워드 윌슨 (0) | 2017.09.10 |
9월의 추천 도서(1653) 톰 존스 - 헨리 필딩 (0) | 2017.09.09 |
9월의 추천 도서(1652) 톰 아저씨의 오두막- 헤리엇 스토 (0) | 2017.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