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만의 단편 모음집. 이 책에 실린 단편들은 경건한 시민적 세계와 관능적이고 예술적인 세계 사이의 긴장 속에서 나온 산물들이다. 토마스 만은 이 두 세계 사이에서 항상 갈등을 느끼며 어느 하나도 온전한 자기 고유의 세계로서 받아들일 수 없었다. 이러한 긴장과 갈등 속에서 결국 토마스 만이 도달한 자신만의 세계는 '인간적인 것, 생동하는 것, 일상적인 것에 대한 시민적 사랑'을 가지고 있는 세계라고 할 수 있다.
토니오 크뢰거
마리오와 마술사
타락
행복에의 의지
키 작은 프리데만씨
어릿광대
트리스탄
베니스에서의 죽음
작품 해설 - '길 잃은 시민' 토마스 만의 고뇌 (안삼환)
작가 연보
하지만 바로 그 때문에 그의 자세는 그렇게도 당당할 수 있는 것이었다! 정말이지 누구든 그와 같이 그렇게 걸어갈 수 있으려면 우선 어리석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그래야만 다른 사람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사랑스럽게 보이기 때문이다. 그는 잉에가, 그 금발의 귀여운 잉에가 크나크 씨를 쳐다보는 것을 사실 그대로 아주 잘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체 어떤 소녀가 그 자신을 그렇게 쳐다보는 일이라곤 전혀 없단 말인가? (p. 27)--- p.
토니오는 피아노와 만돌린을 아주 잘 연주할 줄 아는, 검은 머리의 정열적인 어머니를 사랑했다. 그리고 그는 그녀가 사람들한테서 아들이 받고 있는 의심스러운 평가 때문에 괴로워하지 않는 사실이 기뻤다. 그러나 또 다른 한편으로 그는 아버지의노여움이 훨씬 더 위엄 있고 존경할 만하다고 느꼈다. 그리고 그는 비록 꾸지람을 듣더라도 근본적으로는 아버지의 태도에 공감했으며, 어머니의명랑한 무관심을 약간 방종한 태도라고 느끼고 있었다. 이따금 그는 대략 다음과 같은 생각에 잠기곤 했다. - 현재 있는 이대로의 나로 족할 뿐, 나 자신을 고치고 싶지도 않고, 또 고칠 수도 없는 노릇이야. 느슨하게 살아가고 있고, 고집불통이며, 보통은 아무도 생각하지 않는 사물들에 마음을 쓰고 있는 꼴이지. 적어도 이런 나를 엄하게 나무라고 벌을 주어야 마땅한 노릇이겠지. 키스를 퍼붓거나 음악으로 적당히 얼버무리고 넘어가서야 어디 쓰나. 우리들은 그래도 초록색 마치를 타고 유랑하는 집시족이 아니라 점잖은 사람들이지. 영사 크뢰거의 가족들, 크뢰거 가문의 일족이란 말이야.
리자베타! 감정, 따뜻하고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감정은 언제나 진부하고 쓸모없는 것입니다. 예술적인 것은 단지 우리들의 타락한, 우리들의 기예적인 신경조직의 안초조감과 냉철한 황홀경일 따름입니다. 인간적인 것을 연기해 내고 그것과 더불어 놀기 위해서는, 그리고 인간적인 것을 효과적으로 멋있게 표현할 수 있으려면, 또는 그렇게 하려는 시도라도 하고 싶으면, 우리 예술가들 자신은 그 무엇인가 인간 외적인 것, 비인간적인 것이 되지 않으면 안 되며, 우리들 자신은 인간적인 것과 이상하게도 동떨어지고 무관한 관계에 빠지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지요.
양식과 형식, 그리고 표현을 위한 재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 이미 인간적인 것에 대한 이처럼 냉담하고도 꾀까다로운 관계를, 말하자면 그 어떤 인간적 빈곤화와 황폐화를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어쨌든 확실한 것은 건강하고도 힘찬 감정은 몰취미하다는 사실입니다. 예술가가 인간이 되고 느끼기 시작하면 그는 끝장입니다.--- p.45
나는 위대하고도 마성적인 미의 오솔길 위에서 모험을 일삼으면서 을 경멸하는 오만하고 냉철한 자들에게 경탄을 불금합니다. 그러나 난 그들을 부러워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만약 한 문사를 진정한 시인으로 만들 수 있는 그 무엇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인간적인 것, 생동하는 것, 일상적인 것에 대한 나의 이러한 시민적 사랑일 것이기 때문입니다.--- p.107
-YES24 제공
'READ 1825 1기(13.3~18.2)'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의 추천 도서(1650) 토지- 박경리 (0) | 2017.09.06 |
---|---|
9월의 추천 도서(1649)토박이- 리처드 라이트 (0) | 2017.09.05 |
9월의 추천 도서(1647)템페스트- 세익스피어 (0) | 2017.09.03 |
9월의 추천 도서(1646) 텔크테에서의 만남 - 귄터 그라스 (0) | 2017.09.02 |
9월의 추천 도서(1645)해럴드 블룸의 독서 기술- 해럴드 블룸 (0) | 2017.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