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7월의 추천 도서(1584) 역사철학강의 - 헤겔




책소개

철학의 즐거움속에 펼쳐지는 철학적 세계사!
역사를 지배하는 것은 이성이며
역사의 흐름은 자유의 발전과정이다!

헤겔 철학의 완성 철학적 세계사를 보라!
역사는 어떻게 근대 유럽으로 이어졌는가!
그 세계사의 본질을 꿰뚫는다!


글로크너 판 원본에 충실한 완벽 번역!

신플라톤학파의 철학과 르네상스 이래의 근대사상을 독자적 관점에서 논리학?자연철학?정신철학의 3부로 체계화한 독일 철학의 거장 헤겔.

헤겔은 베를린 대학에서 ‘세계사 철학’이라는 반년 단위의 강의를 총 5번 했다. 모두 겨울 학기(10월 하순 개강?3월 하순 폐강) 강의로 1822∼23년, 1824∼25년, 1826∼27년, 1828∼29년, 1830∼31년 5회였다.

이 강의는 헤겔 생전에는 활자로 된 것이 없었다. 헤겔이 죽은 뒤 제자 E. 간스가 헤겔의 원고와 청강생 노트를 근거로 편집한 『역사철학강의』가 1837년에 출간되고, 3년 뒤 1840년 간스판을 개정하고 보충한 두 번째 판이 아들 K. 헤겔의 편집으로 출판되었다. 글로크너판 헤겔전집 11권은 K. 헤겔 편집 두 번째 판을 그대로 채용했다. 지금 독일어판으로 보급되고 있는 주어캄프판 전집 12권도 같은 두 번째 판을 채용하고 있다. 글로크너판 또는 주어캄프판이 헤겔 강의의 현장감을 잘 전달하고 훌륭하게 정리되어 있다.

저자 소개

저 : G.W.F. 헤겔

헤겔은 독일 철학의 3대 거장 중 한 사람이다. 그의 '정신현상학'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세계 철학사상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만큼 난해하기로 정평이 나있는 불후의 명작이다. 

그는 1770년 슈투가르트에서 궁정관리의 장남으로 태어나 프로테스탄트 가정에서 자라났다.
일곱 살에 김나지움에 입학한 헤겔은 책이나 신문 기사 등의 자료를 꾸준히 발췌하여 정리하는 데 정성을
기울인다. 이것은 훌륭한 개인 자료가 되었으며 이때 익힌 습관은 그의 과학적인 비판 방법의 토대가 된다.
열여덟에 김나지움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1788년 튀빙겐대학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하였는데
그곳에서 J.C.F 횔덜린, F.W 셸링 등과 만난다. 처음에는 베른, 프랑크푸르트 등에서 가정교사를 하다 1801년
예나대학의 강사직에 임명된다. 이때 그는 1806년 나폴레옹 점령 하에서 그의 최초의 저서
『정신현상학(精神現象學) Ph?nomenologie desGeistes』을 출간한다. 1812년 두번째 저서
『논리학Wissenschaft der Logik』이 출간된 이후 1816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수로 임명되는데, 이곳에서
그의 학생들에게 강의에 참석한 학생들을 위해 자신의 철학을 정리한 『철학강요』등을 발표한다.
1818년 피히테의 뒤를 이어 베를린 대학에 임명되고 마지막 주저『법철학 강요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1821)를 내놓았다. 베를린 시절은 헤겔의 가장 화려한 시절로서 헤겔학파가 형성되면서 국내외에 그의 철학이 널리
전파되었으나 1831년 콜레라에 걸려 사망하였다.

헤겔은 스피노자와 칸트, 루소, 그리고 괴테의 영향을 받았으며, 당대에 발생한 프랑스 혁명에 매혹당했다.
열아홉에 목도한 프랑스 혁명은 그가 이성과 자유에 대한 굳건한 믿음에 바탕을 둔 철학을 자신의 과제로 삼는 데
하나의 단초가 된다. 또 루소의 사상과 고대 그리스의 철학과 예술, 나아가 칸트, 피히테 등 당대의 주요 철학들을
깊이 탐구하면서, 근대의 온갖 분열된 상황에 맞서 삶의 근원적인 총체성을 되살리려는 이상을 세운다.
그리하여 많은 이들이 그를 계몽주의 한계를 역사주의적 관점을 통해 한 단계 넘어선 철학자로 평가하고 있다.
헤겔에게 근대철학과 문화, 그리고 사회는 주체와 지식의 대상, 그리고 정신과 자연, 자아와 타자, 권위와 자유,
지식과 신념, 계몽주의와 낭만주의 사이의 긴장과 모순으로 가득 차 있는 것처럼 보였다. 헤겔의 주요 철학적
프로젝트는 그가 "절대정신" 또는 "절대자"라고 부르는 합리적이고, 진화하고 있으며, 포괄적인 단일체의 일부로
앞서 말한 모순과 긴장들을 취급하고 해석하는 것이었다. 
헤겔에 따르면 이러한 단일체의 주요한 성격은 그것이 진화한다는 것이었다. 바로 모순과 부정 내에서 그것이 나타나고
그것들을 통해 진화하는 것이다. 모순과 부정은 어떤 역동적인 성질을 갖는데, 그것은 현실의 모든 영역 내의 매순간
합리적 단일체에 도달할 때까지 더 심화된 발전을 하는 것으로 표현된다.
헤겔 철학의 난해함은 정평이 나있는데, 철학자 러셀은 그를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철학자'로 꼽았다. 헤겔은 현실과
사고 사이의 철학적인 관계와 문제들을 파악하는데 있어 전통적 철학자들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사고와 논리의 형태로
'변증법'을 발전시켰다. 그 영향은 세계로 이어져 헤겔학파를 이룩하였으나 P.J.A. 포이어바흐로부터 시작되는 헤겔좌파에
의하여 정반대의 논리인 유물변증법을 만들어 내게 되었고, 그의 존재론은 원자론과 환원주의를 비판, 생명적 존재의
일원론을 주장함으로써 현대 전체론의 효시를 이루었다. 

저자 : 권기철

1941년 경북 안동 출생. 중앙대 철학과?동대학원 졸업. 독일 Marburg/L. 대학 수학. 독일 Wuerzburg 대학 철학박사. 중앙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건국대학교 대학원 출강. 한국철학회 상임이사. 지은책 『철학개론(공저)』, 『현대철학의 이해(공저)』 옮긴책 『키에르케고르』, 『쇼펜하우어』 등과 그 외 주요논문 여러 편이 있다.

목차

[컬러화보]
머리글
머리글…11
A 역사고찰의 종류…11
⒜ 사실 그대로의 역사
⒝ 반성적 역사
⒞ 철학적 역사

B 역사의 이성과 그 실현…26
⒜ 정신의 본성에 대한 추상적 정의
⒝ 정신의 이념을 실현하는 수단
⒞ 현실에서 정신의 완전한 실현형태―국가

C 세계사의 발자취…62
⒜ 발전의 원리
⒝ 역사의 시작
⒞ 세계사의 발전 경과

D 세계사의 지리적 기초…86
⒜ 신세계
⒝ 지리적 조건
⒞ 구세계의 3부분
E 세계사의 시대구분…108

제1부 동양세계
머리글…117
제1편 중국…122

제2편 인도…142

제3편 페르시아…172
제1장 젠드족…175
제2장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메디아, 페르시아…180
제3장 페르시아제국과 제국 내의 각 지역…185
1 페르시아
2 시리아와 셈족이 사는 소아시아
3 유대
제4장 이집트…195
제5장 그리스 세계로 옮겨가다…215

제2부 그리스세계
머리글…221
제1편 그리스 정신의 여러 요소…223
제2편 아름다운 개인의 형성…237
제1장 주관적 예술작품…237
제2장 객관적 예술작품…239
제3장 정치적 예술작품…246

제3편 외교의 시대…251
제1장 페르시아전쟁…251
제2장 아테네…253
제3장 스파르타…256
제4장 펠로폰네소스 전쟁…260
제5장 마케도니아 왕국…265

제4편 그리스 정신의 몰락…270

제3부 로마세계
머리글…275

제1편 제2차 포에니전쟁 이전의 로마…279
제1장 로마정신의 여러 요소…279
제2장 제2차 포에니전쟁 이전의 로마사…291

제2편 제2차 포에니전쟁에서 제국(帝國) 성립까지의 로마…300

제3편 황제(皇帝) 시대…307
제1장 황제기의 로마…307
제2장 그리스도교…311
제3장 동 로마제국…328

제4부 게르만세계
머리글…335
제1편 그리스도교―게르만세계의 여러 요소…340
제1장 민족대이동…340
제2장 이슬람교…347
제3장 카를 대제의 프랑크왕국…352

제2편 중세…357
제1장 봉건제와 위계조직…357
제2장 십자군 원정…377
제3장 봉건지배에서 군주제로…385
제4장 중세의 종말을 고하는 예술과 학문…393

제3편 근대…397
제1장 종교개혁…397
제2장 종교개혁이 국가형성에 미친 영향…409
제3장 계몽사상과 프랑스혁명…418

헤겔의 생애와 사상
머리글…437
Ⅰ 젊은날의 체험과 사상…444
1 어린시절
2 뒤떨어진 독일
3 뷔르템베르크의 사정
4 혁신 시대의 대학 생활
5 젊은 날의 편력과 사색

Ⅱ 철학자로서의 길…523
1 예나에서의 헤겔
2 나의 길 불혹의 나이 40
3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의 헤겔
4 베를린 대학에서의 헤겔
5 《역사철학강의》 탄생과 그 매력

Ⅲ 헤겔과 현대사상…550

헤겔 연보…552
 

출판사 리뷰

헤겔철학 대표적 입문서

『역사철학강의』는 그의 『미학』과 더불어, 헤겔철학에 대한 입문서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것은 아마도 『역사철학강의』가 원리적 체계의 구체적 적용에 속하는 것으로서, 이성의 역사적인 발전을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 바꿔 말하면, 이론의 면만을 취급한 다른 저서와 달리, 구체적이고 흥미진진한 전개 속에, 이념의 전개가 생생한 형태로 나타나 있기 때문에, 사상(事象) 그 자체의 흥미를 쫓고 있는 가운데 자연히 이념 그 자체, 원리 그 자체가 파악되면서 이해하기 어려운 이념의 논리가 명확히 이해된다는 것이다.

『역사철학강의』는 헤겔철학의 완성이다. 그는 이 책에서, 그의 또 다른 대표작 『엔치클로페디』에서 확립한 정신의 3형태(주관적 정신?객관적 정신?절대적 정신)와 역사철학의 3형태인 개인?민족정신?세계정신의 관계를 상세히 밝혔다. 특히 절대적 정신과 세계정신과의 관계에 관한 헤겔의 철학적 세계사는 이성변천으로 이끌어준다.

근대를 바탕으로 한 헤겔 역사철학

역사철학은 세계사를 이성의 변천으로서 밝히고 있으며, 인간 세계사를 자유 발전의 과정으로서 그려내고 있다. 헤겔은 자신만만하게 단언했다.

“사실을 보이는 대로, 들리는 대로 적어 내려가는 역사, 일정한 거리를 두고 과거의 사실을 바라보면서 온갖 각도에서 반성하는 역사, 하지만 철학적 역사는 이런 역사들과 다르다. 철학적 역사는 역사 속에서 자유를 투시하고 이성을 통찰해야만 한다. 아니, 이 역사라면 분명 자유를 투시하고 이성을 통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자신감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헤겔의 자신감은 유럽 근대의 과거?현재?미래에 대한 굳은 신뢰에서 비롯되었다. 헤겔의 역사철학은, 유럽 근대를 바탕으로 해야지만 비로소 성립되기 때문이다.

헤겔은 오랜 옛날부터 시작된 인류의 발자취를 하나하나 더듬으면서 역사의 이성을 발견했던 게 아니다. 헤겔은 ‘유럽 근대’라는 그 시대의 사회적 동향을 주목했다. 이 책에서는 유럽 근대를 대표하는 역사적 대사건으로 3가지를 들었다. 종교개혁, 계몽사상, 프랑스혁명이다. 이 사건들의 밑바닥에서 일어난 자유와 이성의 태동이야말로, 헤겔에게 세계사의 본질로서 다가왔던 것이다. 개인의 자유와 인권을 확립하고, 이성적인 국가를 건설하는 것이 유럽 근대의 역사적 과제였다. 그리고 그 과제를 완벽하게 실현한 것이, 헤겔 자신이 살아 왔던 유럽 근대의 역사 그 자체였다.

자유와 이성의 태동, 그 세계사의 본질

“역사를 지배하는 것은 이성이며, 역사의 흐름은 자유의 발전과정이다."
이 헤겔의 역사관은 유럽 근대 한가운데에 서서, 유럽 근대를 마주 대하며 당당하게 긍정하는 것에서 시작되는 역사관이었다. 그 자신감에 가득 찬 역사관을 가지고, 근대 이전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간다. 자유와 이성에 대한 발소리는 어느 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들을 수 있는 것일까. 그 문제의식이 헤겔 역사철학의 기본적 모티프이다.

바꿔 말하면, 그것은 유럽 근대의 깊이를 과거로 돌려 확인해가는 작업이다. 과거 세계의 움직임이 어떤 형태로 근대에 흘러들어오고 있는가. 이른바 시간의 두께로 근대를 파악하려는 시도였다.

하지만 물론 역사상의 모든 움직임이 유럽의 근대로 흘러들어간다고는 할 수 없다. 모든 인류 역사가 근대를 긍정하는 사실로 채워져 있는 것은 아니다. 인류 역사에는 자유나 이성과 인연이 없는 세계뿐 아니라, 자유나 이성을 억압하는 움직임도 적지 않았다. 그러한 비자유와 반이성의 사상과 부딪치며, 이것을 교묘하게 심판하면서 끝까지 자유와 이성의 빛을 이끌어내는 것이 헤겔의 역사철학이다.

- 출처: YES24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