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6월의 추천 도서 (1193) 우리 문화의 수수께끼 1,2 - 주강현


 

 

1. 책소개

 

우리 문화를 탐구한 연구서. 도깨비,장승,욕설,된장 등 주위의 생활 속에 자리잡은 요소를 바탕으로 우리 민족의 의식을 연구했다. 1996년 초판을 재출간한 개정판.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저자소개

 

주강현

리 문화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밝히는 민속학과 해양문화에 대한 저서들을 출간하고 있는 작가이다. 그는 경희대학교에서 민속학 전공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고려대 문화재학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민속사ㆍ문화사ㆍ생활사를 연구하며, 한국은 물론이고 아시아 곳곳을 누비며 역사와 문화를 비교연구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는데 지금도 일산 정발산에 자리한 정발학연에서, 수많은 자료에 파묻혀 우리 문화의 원형질과 세계사적 규모에서의 해양문화의 파동에 관하여 쉼없이 연구한 저작물들을 완성 중이다.

그는 한국역사민속학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민속문화연구소장, 해양문화재단이사, 통일문화학회 공동대표,문화재 전문위원 등을 맡고 있다. 지난 30여 년 동안 한국과 아시아의 역사와 민속을 연구해오며 문화관광부의 ‘대한민국 100대 민족문화 상징’ 선정위원회의 책임연구원을 맡기도 했다. 그는 또한 우리의 문화와 바다를 어린이들에게 소개하는 일에도 앞장서면서 『강치야 독도야 동해바다야』 『주강현의 우리문화 1~2』 등의 어린이 서적들도 펴냈다.

저서로는 『우리문화의 수수께끼 1~2』를 비롯해 . 『등대―제국의 불빛에서 근대의 풍경으로』 『21세기 우리 문화』,『 Ⅰ·Ⅱ·Ⅲ』(2006),『돌살―신이 내린 황금그물』(2006),『두레―농민의 역사』(2006),『제국의 바다 식민의 바다』(2005),『우리문화의 수수께끼Ⅰ·Ⅱ』(컬러 개정판, 2004),『 ·イシモチの』(일어판, 동경, 2003) ,『왼손과 오른손―억압과 금기의 문화사』(2002),『개고기와 문화제국주의―이른바 문명과 야만에 관하여』(2002),『레드신드롬과 히딩크신화―붉은축제; 신명의 거리굿에 관한 보고 』(2002) ,『북한의 우리식문화』(2000) , 『21세기 우리문화』(1999),『한국민속학연구방법론비판』(1999),『조기에 관한 명상』(1998),『우리문화의 수수께끼Ⅰ·Ⅱ』(초판, 1996),『한국의 두레Ⅰ·Ⅱ』(1996),『마을로 간 미륵Ⅰ·Ⅱ』(1995),『북한의 민족생활풍습』(1994) ,『굿의 사회사』(1992),『북한민속학사』(1991) 등 다수가 있다.

 

출처 - 예스24 제공

 

3. 목차

 

[우리 문화의 수수께끼 1]

 

■ 성적 제의와 반란의 굿
■ 남근과 여근의 풍속사
■ 금줄과 왼새끼의 비밀
■ 미륵의 손가락에 숨은 뜻은?
■ 우리 민족은 왜 흰옷을 입었을까
■ 브리지드 바르도와 황구의 비밀
■ 숫자 3의 비밀
■ 돌하르방은 어디서 왔을까
■ 솟대, 하늘로 비상하는 마을지킴이
■ 서낭당이냐 성황당이냐
■ 그 광대들은 어디로 갔을까
■ 배꼽문화와 혁명, 혹은 구멍
■ 동성동본, 혼인과 불혼의 수수께끼
■ 똥돼지의 내력을 묻는다
■ 매향의 비밀문서를 찾아라
■ 장례, 놀이와 의례의 반란

 

출처 - 강컴닷컴 제공

 

[우리 문화의 수수께끼 2]

 

도깨비,벽사상징의 원형질
바위 동물원에 울려퍼진 고래 울음
열녀전 끼고 서방질한다?
생명나무, 황금가지의 수수께끼
풍물굿 1799~
아직도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 무당과 신내림
쌍욕과 쑥떡, 성에 빗댄 야유
된장, 간장, 고추장의 삼각관계
왜 하필 여신이었을까
장승은 어디서 왔는가
황두와 두레, ?노동의 비밀?
우리 민족의 영원한 탯자리, 구들
모정과 누정에 숨은 뜻은
처가살이와 시집사이의 이중주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4. 책 속으로

 

[우리 문화의 수수께끼 1]

 

일상생활에서는 억눌리던 여성들이 정작 가장 중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서는 주역이 되어 역전의 드라마를 연출하고 만다. 23

도깨비굿은 평소에는 은폐되어있던 여성의 성적 상징물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적극적 통로라는 사실을 드러내고 있다. 23

일상생활에서는 억눌리던 여성들이 정작 가장 중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서는 주역이 되어 역전의 드라마를 연출하고 만다. 23

도깨비굿은 평소에는 은폐되어있던 여성의 성적 상징물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적극적 통로라는 사실을 드러내고 있다. 23

 

출처 - 알라딘 제공

 

5. 추천평

 

객반위주라 하였으니, 손님이 안방을 차지하고 주인이 윗목으로 내몰린 우리 문화의 처지가 근본적으로 변한 것은 아니다. 외형적 양태가 변하고 우리 문화를 넓게 받아들이는 세간의 이해가 고맙기는 하지만 여전히 우리 문화는 '찬밥'이다. 신자유주의의 패권적 확충이 절대화될수록 각 나라의 토종문화는 구닥다리로 내몰리기 마련이다. 지구 환경뿐 아니라 인간 스스로의 삶을 위해서라도 종 다원성이 중요하다면 문화적 종 다원성도 놓치지 말아야 한다. 각 나라의 토종문화란 그 문화적 종 다원성을 담보하는 결정적 토대이며, 이른바 문화콘텐츠의 원형질 같은 것이다.
주강현(역사학자,제주대석좌교수)

 

출처 -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