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6월의 추천도서 (1574) 내가 물러서면 나를 쏴라 1 - 백선엽






1. 책소개


한국전쟁 대승을 이룬 백선엽 장군 회고록

한국전쟁에서 기념비적 전투를 승리로 이끈 '대승의 장군' 백선엽의 6ㆍ25 이야기『내가 물러서면 나를 쏴라』 제3권 ‘완결’. 대한민국 최초 4성 장군 백선엽이 우리 세대에 전하는 치열하면서도 고통스러운 한국전쟁에 대한 1,128일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놓았다. 삶과 죽음이 엇갈리는 전쟁터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솔직한 모습들을 통해 어떻게 싸웠고, 어떻게 승리했으며, 어떻게 패배했는지를 사진과 함께 생생한 목소리로 들려준다.


2. 저자


저자 백선엽은 평안남도 강서군 덕흥리에서 1920년 11월 23일 태어났다. 1940년 3월 평양사범학교를 졸업한 후 교사로 재직하다가 봉천군관학교에 진학하면서 군인의 길을 걷게 됐다. 그는 6?25전쟁에서 기념비적인 여러 전투를 승리로 이끈 ‘대승(大勝)의 장군’이다. 전쟁 초기 인민군의 공세에 밀려 대한민국이 경남과 경북 일부만을 남겨두고 있던 낙동강전선에서 1사단을 지휘하며 대구 북방의 다부동전투에서 기적적인 승리를 거뒀다. 이 전투는 북한군의 예봉을 꺾고 국군이 공세로 전환하는 계기를 마련한 승리였다. 김일성 치하의 북한 수도인 평양에 처음 입성한 군대도 그가 이끈 1사단이다. 6?25전쟁 중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전 미국 대통령,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을 비롯한 전쟁 영웅들을 만나 미국의 선진화된 군사지식을 익혔다. 이후 두 차례 대한민국 육군 참모총장을 역임하면서 국군의 실력을 키우는데 크게 이바지했다. 그가 기라성 같은 여러 장군 중 ‘6?25전쟁의 영웅’으로 첫손가락에 꼽히는 이유다. 휴전회담 초대 한국대표, 한국군 2군단 재창설 등 주어진 임무를 훌륭히 이행했다. 이 공로로 그는 한국군 역사상 첫 4성 장군에 오른다. 그의 나이 33세 때다. 예편 후 중화민국, 프랑스, 캐나다 대사 등 외교관을 지냈고, 70년 대 초반에는 교통부 장관으로 서울 지하철 1호선 건설의 토대를 만들기도 했다. 1971년부터 1980년까지는 충주, 호남 비료 사장과 한국종합화학 사장을 역임하며 이 땅에 화학공업이 뿌리내리는 기반을 닦았다. 현재는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자문위원장과 한국전쟁 6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6?25전쟁의 교훈과 의미를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3. 목차




4. 머리말





5. 발간사






6. 책속으로





- p. 425~






 

 

 

 

 

 

 

 

 

 


7. 출판사 서평


어느 한쪽이 높고, 어느 한쪽이 낮은 힘의 불균형이 빚어질 때 전쟁은 터진다. 
전쟁을 막는 방법은 스스로 강해지는 것이다. 
내 힘이 적을 압도할 때 전쟁은 쉽게 벌어지지 않는다. 
내가 강했을 때 적은 주춤거릴 수밖에 없다. 
내 힘으로 적이 전쟁의 망념을 지니지 못하도록 막는 게 우선이다. 전쟁이 벌어지더라도 스스로 강하면 적을 막을 수 있다. 
스스로 준비하고 노력하는 사람만이 전쟁의 참화를 비켜갈 수 있다. 

“전쟁이 터졌다. 전선으로 함께 가자!” 
- 파란 심장을 가졌던 그들, 그리고 삶과 죽음 사이의 전투를 기억하다 
지금으로부터 60여년 전,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했다. 따스한 인정이 넘치던 한반도는 차갑게 식어버린 파란 심장만이 존재할 뿐이다. 누구도 다른 생각할 것 없이, 무언가에 홀린 듯했다. 내가 상대를 쓰러뜨리지 않으면 내가 쓰러지는 전투에서 과거의 형제와 민족을 고려할 시간도 없었다. 6?25 발발부터 인천상륙작전, 서울 수복, 1?4 후퇴, 반격과 휴전협정에 이르기까지 통일된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목숨 바쳐 임했던 크고 작은 전투들이 백선엽 장군의 회고를 통해서 생생하게 되살아난다. 
이번 3권으로 완간된 <나를 쏴라(전 3권>은 2010년부터 1년 6개월 동안 중앙일보에서 6?25전쟁 60주년을 맞아 연재된 저자의 회고록을 한국전쟁의 다양한 약사와 함께 묶은 책으로서 현장에서 바라본 한국전쟁의 참모습을 조명하는데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 주목 받고 있다. 

“내가 앞장서겠다. 내가 두려움에 밀려 후퇴하면 너희가 나를 쏴라.” 
- 승자와 패자가 존재하는 전쟁, 그것을 좌우하는 별들과 전쟁 기술을 기억하다 
한국전쟁은 단순히 한반도의 한민족 간의 내전이 아닌 국제전쟁이었다. 당시 열악했던 국군의 전투 기술과 무기에 비해 한국전쟁 초반 강력한 화력을 앞세운 인민군, 고도의 심리전을 펼치며 우회와 매복, 기습에 능한 중공군의 공격은 거셌다. 국군을 위해 나선 미군과 연합군의 막강 화력, 우수한 전쟁 무기, 치밀한 전술 계획 등은 단순 도움이나 보조 이상의 큰 역할을 해줬다. 포탄 속에서도 꼿꼿이 몸을 숙이지 않았던 용맹함과 지략의 더글러스 맥아더, 한국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애썼던 순양함급 사령관 제임스 밴 플리트, 이성적이며 정치적인 매튜 리지웨이 등 장군들과 함께 하는 승패에서 우리 군은 ‘전쟁의 기술’을 몸으로 익혔다. 

“어머니, 전쟁은 왜 해야 하나요? 하나님, 이 위기를 벗어나게 해주십시오.” 
- 사람과 사람 사이에 남긴 지워지지 않는 흉터, 인간의 전쟁을 기억하다 
전쟁은 수많은 사람의 소중한 생명을, 수많은 가족의 이별을, 수많은 청년의 꿈을 대가로 요구한다. 60년이 지난지금도 한국전쟁이 국가에, 국토에, 가정에, 개인에 남긴 흉터가 아픈 기억과 함께 남아있다. 어린 자식을 등에 업고, 손에 끌며 고향을 등졌던 어머니, 언제 다시 볼지 모르는 남편을 포탄이 넘나드는 곳으로 보냈던 부인, 아무것도 모르고 펜 잡을 손으로 총을 들었던 학도병, 매캐한 담배연기를 마시며 내려오는 적군을 맞이했던 군인. 이 모든 이의 마음속은 모두 같았을 것이다. 전쟁이라는 극한의 상황에서는 인간의 모습이 드러나기 마련이니깐. ‘왜 전쟁을 해야 할까. 나는 이곳에서 살아 돌아갈 수 있을까. 전쟁은 끝날 수 있을까.’ 인민군, 중공군도 아닌 끝이 없는 암흑 속을 걸어가는 것 같은 공포와 두려움이 이들을 정복했을 것이다. 각기 다른 곳에서 두려움에 맞섰던 선대의 숭고한 희생, 그 상처 많은 사람들의 전쟁을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