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6월의 추천도서 (107) 과학이란 무엇인가 - A.F. 차머스


 


 

 

◎ 목차

 

옮긴이의 말...5
한국어판 서문...7
초판서문..9
제2판 서문...13
제3판 서문...15
도입...19
제1장 경험한 사실로부터 도출한 지식으로서 과학...25
제2장 실천적 개입으로서 관찰...47
제3장 실험...57
제4장 사실로부터 이론의 도출..귀납...75
제5장 반증주의의 도입...97
제6장 세려된 반증주의, 참신한 예측 ,과학의 성장...117
제7장 반증주의의 한계...133
제8장 구조주의로서의 이론I:쿤의 패러다임...155
제9장 구조로서의 이론II:연구프로그램...187
제10장 파이어아벤트의 무정부주의적 과학론...211
제11장 방법에서 질서 있는 변화...227
제12장 베이스적 접근..243
제13장 새로운 실험주의 ...267
제14장 세계는 왜 법칙을따라야 하는가?...293
제15장 실재론과 반실재론...309
제16장 에필로그...335
참고문헌...343
찾아보기...349

 

 

◎ 본문 중에서....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가면서 물리할자들은 도전적인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러한 문제는 진보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대담한 새로운 가설의 출현을 요구하게 되었다.

아인슈타인은 이러한 도전을 받아들일 수 있었다. 그의 상대성 이론은 뉴턴의 이론을 반증한 현상을 설명할수 있었다. 그의 상대성 이론은 뉴턴의 이론을 반증한 현상을 설명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뉴턴의 이론이 성공적으로 설명한 영역까지 포괄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아인슈타인은 극적인 새로운 현상을 예측했다. 그의 특수 상대성 이론은 질량이 속도의 함수라는 것과 질량은 에너지로, 에너지는 질량으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예측했다.

그리고 그의 일반 이론은 광선은 강한 중력장에 의해 휘어져야 한다는 것을 예측했다.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반박하려는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다. 아인슈타인의 이론에 대한 반증은 현대 물리학자들에게 하나의 도전으로 남아 있다. 이 성공은 물리학의 진보를 향해 새로운 걸음을 내딛게 되는 이정표가 될 것이다. 전형적인 반증은 물리학의 진보의 근거가 된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