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감사의 글
서문과학적 사고로 무장한 새로운 인문주의자들 _ 존 브록만
제1부 호모 사피엔스
01 왜 유럽과 아시아가 세계를 지배했는가? _ 제레드 다이아몬드
02 인간의 본성에 대한 생물학적 이해 _ 스티븐 핑커
03 인간의 본성이 권리를 얻다 _ 헬레나 크로닌
04 우리는 선천적인 사이보그다 _ 앤디 클라크
05 동물의 마음 _ 마크 하우저
06 요리의 진화 : 인간은 여전히 길들임의 노정에 있다 _ 리처드 랭검
07 연산에 의한 지각 _ 대니얼 데닛
08 독일산 셰퍼드의 귀는 어떤 모습인가? _ 스티븐 코슬린
제2부 기계 인간
09 소프트웨어는 문화의 용매다 _ 조던 폴락
10 두 번째 파도 : 선언문 _ 데이비드 겔런터
11 생명체 같은 시스템 만들기 _ 로드니 브룩스
12 마음 만들기 _ 한스 모라벡
13 양자 연산 _ 데이비드 도이치
14 무엇이 마음을 대신할 것인가? _ 마빈 민스키
15 특이점 이후 인간의 삶은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 _ 레이 커즈윌
16 사이버네틱 디스토피아―절반의 선언문 _ 제이런 러니어
제3부 진화하는 우주들
17 최후의 컴퓨터는 얼마나 빠르고, 작고, 강력한가? _ 세스 로이드
18 우주론의 황금시대 _ 앨런 구스
19 우주는 팽창과 수축을 영원히 반복한다 _ 폴 슈타인하르트
20 우리는 브레인 속에 있는가? _ 리자 랜들
21 고리양자중력 _ 리 스몰린
22 모든 것의 이론 : 종합과 전망 _ 마틴 리스
에필로그 이 책에 대한 반응들
니콜라스 험프리 ㅣ 제이런 러니어 ㅣ 조지프 르두 ㅣ 존 호건 ㅣ 티모시 테일러 ㅣ 카를로 로벨리
스티븐 존슨 ㅣ 리 스몰리 ㅣ 더글러스 러시코프 ㅣ 파이에트 허트 ㅣ 마크 D. 하우저 ㅣ 미아히 칙센트미하이
데니스 더턴 ㅣ 대니얼 데닛 ㅣ 하워드 라인골드 ㅣ 크리스 앤더슨
참고문헌
찾아보기
한/영 인명 대조표
◎ 본문 중에서....
인간의 마음이 ‘빈 서판’이라는 생각은 많은 영역에서 엄청난 영향을 남겼다. 그중 하나가 건축과 도시계획이다. 20세기에 우리는 권위주의적인 모더니즘이라 불리는 운동이 등장하는 것을 목격했다. 그것은 빈 서판 이론의 부상과 동시에 일어났다. 도시설계자들은 녹지대와 장식을 좋아하고, 사람들을 관찰하기를 좋아하고, 친밀한 사교모임을 위한 아름다운 장소들을 좋아하는 우리의 취향을 사회적 구조물이라고 믿었다. 이것들은 도시 설계에 방해가 되는 구식의 역사적 인공물이며, 따라서 이른바 과학적 원리에 입각한 최적의 도시를 설계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이것들을 무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가 가장 대표적인 사례다. 그가 생각하기에 인간은 하루에 공기 몇 리터, 물 몇 리터, 잠자고 일하는 몇 제곱미터의 공간, 일정한 범위의 온도 따위만이 필요한 존재였다. 집은 ‘살기 위한 기계’가 되었고, 도시들은 몇 안 되는 요구 항목인 고속도로, 거대한 직사각형의 콘크리트 주택 건설 프로젝트, 열린 광장 등을 가장 효율적으로 만족시키는 방법이 무엇인가를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다. 이러한 생각이 극단적인 모습으로 나타난 것이 브라질리아 같은 계획도시인데, 이는 완전히 폐허가 되었다.
그보다 조금 더 온건한 예로는 미국의 ‘도시재개발’ 계획과 소련의 황량한 고층건물들, 영국의 공영아파트를 들 수 있다. 도시설계자들이 인간의 미적·사회적 요구를 생략해 버린 인간 본성 이론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장식, 인간적 규모, 녹지대, 정원, 편안한 사교모임 장소와 같은 것들은 도시에서 사라져 버렸다. --- 본문 중에서
'READ 1825 1기(13.3~18.2)'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의 추천도서 (108) 과학이 종교(宗敎)를 만날 때 - 이언 바버 (0) | 2013.06.16 |
---|---|
6월의 추천도서 (107) 과학이란 무엇인가 - A.F. 차머스 (0) | 2013.06.15 |
6월의 추천도서 (105) 과학의 미래 - 버트런트 러셀 (0) | 2013.06.13 |
6월의 추천도서 (104) 공인의 품격 - 김종성 (0) | 2013.06.12 |
6월의 추천도서 (103) 과학은 모든 의문에 답할 수 있는가 - 존 브록만 외 (0) | 2013.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