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책을 열며
1장 우리는 무엇을 보고 무엇을 아는가
상대론과 일수사견
무지개는 왜 일곱 가지 색으로 보이는가
벽을 투과하는 것은 왜 불가능한가
하늘은 정말 푸른가
꽃이 핀 것인가, 아니면 핀 것으로 나타나는가
우리는 무엇을 보는가
불확정성의 원리와 우리의 참모습
내가 보고 있지 않은 동안에도 달은 존재하는가
포괄적인 세계 이해
디랙의 바다: 진공과 충만
있음과 없음: 휘날리는 깃발을 보며
우리는 무엇을 알고 무엇을 알 수 있는가
다양한 스펙트럼의 가치
이분법적 사고의 틀을 넘어서
문명의 치명적 과오를 되풀이 하지 말기를
2장 서로 기대어 사는 세계
상호 의존: 너 없이는 나도 없다
엔트로피: 노인은 왜 소년이 될 수 없나
무상: 소멸 없이는 생성도 없다
무아: 본성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세계
상입: 작용과 반작용의 무한한 고리
창조적 발현으로 이뤄지는 역사와 문명
부분과 전체에 대한 총괄적 이해
한 티끌 안에 온 우주가 다 있다
3장 우리와 세계: 인간과 자연, 과학, 문명
한 송이 국화꽃에 숨은 인연
성주괴공하는 우주의 순환
혼돈으로부터의 질서
이중성과 상보성: 세계는 양자택일보다 풍부하다
양자계산과 양자암호
절대적 시공간에서 상대적 시공간으로
함께 공존하는 수많은 세계: 어느 세계가 진실인가
우주 전체가 하나의 몸이다
때맞춰 알맞은 옷을 입을 수 있어야
깨어 있음과 비판적 자세
러셀의 칠면조
세계를 새롭게 보는 끊임없는 과정
의미 있는 진보는 기존의 틀을 깨야 가능하다
끌려가지 않는 창조적 삶
보편적 진리는 내가 선 자리에 있다
부분에 스며든 전체: 내 몸은 사회 문명의 역사다
4장 더불어 살아가는 생명의 세계와 역사
생명 현상의 이해는 중도의 입장으로
지구 전체가 거대한 하나의 생명체다
온생명과 인타라망: 더불어 사는 존재
모든 생명종이 자유다
잡화엄식: 성숙한 문명을 기대하며
갯벌은 생명이고 역사다
인간은 문명 속에서 태어난다
지구 밖 문명이 있어도 오직 하나뿐인 지구
너의 나이고 나의 너인 세계: 생명을 살피는 안목 키워야
서로 이해하고 변해야 자기 초월 가능
핵겨울과 야누스: 인간은 야누스적인 존재인가
감사의 글
'READ 1825 1기(13.3~18.2)'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의 추천도서 (104) 공인의 품격 - 김종성 (0) | 2013.06.12 |
---|---|
6월의 추천도서 (103) 과학은 모든 의문에 답할 수 있는가 - 존 브록만 외 (0) | 2013.06.11 |
6월의 추천도서 (101) 공익광고의 은밀한 폭력 - 김종환 (0) | 2013.06.09 |
6월의 추천도서 (100) 공예문화 - 야나기 무네요시 (0) | 2013.06.08 |
6월의 추천도서 (99) 공부가 된다 - 크리스티안 그뤼닝 (0) | 2013.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