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5월의 추천도서 (68) 고대문명 교류사 - 정수일


 


 

◎ 목차

 

서장 문명과 문명교류
1. 동양과 서양의 구분... 15
2. 문명... 22
3. 문명교류... 35
1장 문명교류의 시원
1. 인류의 출현과 이동... 43
2. 비너스상과 문명교류... 49
2장 신석기 문화의 교류
1. 신석기 문화와 문화권... 71
2. 거석 문화의 교류... 75
3. 즐문토기의 교류... 90
4. 채도 문화의 교류... 99
5. 세석기 문화의 교류... 115
3장 청동기 문화의 교류
1. 청동기와 청동기 문화... 123
2. 청동기의 유라시아 전파... 135
4장 보석 문화의 교류
1. 보석문화... 155
2. 옥의 교류... 163
3. 유리의 교류... 176
4. 기타 보석류의 교류... 213
5장 유목기마민족과 문명교류
1. 유목기마민족의 출현... 219
2. 스키타이와 문명교류... 230
3. 흉노와 문명교류... 252
4. 북방 유목기마민족 문화와 한국... 308
6장 로마와 한의 교류
1. 로마와 한의 상호이해... 323
2. 로마와 한의 교역... 337
3. 헬레니즘과 동서교류... 353
4. 비단의 서전... 367
7장 서역 개통과 문명 교류
1. 서역개념... 399
2. 서역개통... 405
3. 서역 문물의 동전... 428
4. 서역 문물의 한반도 전래... 450
8장 종교의 교류
1. 불교의 전파... 465
2. 고대 동방 기독교의 전파... 534
9장 고대의 실크로드
1. 실크로드의 개념과 의의... 603
2. 초원로... 618
3. 오아시스로... 622
4. 해로... 651
후기... 677
부록

 

 

◎ 본문 중에서....

 

고대 오리엔트 문명의 창조자들로부터 그리스와 로마제국, 페르시아제국과 이슬람제국, 선진시대 중국과 몽골제국, 석가 시대의 인도와 티무르제국의 출현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북방 유목민족들의 흥망과 중앙 아시아 여러나라등의 출몰에 이르기까지 모든 역사적 사변들은 예외없이 실크로드를 따라 전개되었고, 또 이길에 의해 서로 연관됨으로써 비로소 모든 변화가 가능하였다. 다리우스, 알렉산더, 한 무제, 당 태종, 이슬람 할리파들, 칭기스칸, 티무르 등 세계적 영웅호걸들이 이 길을 주름잡고 다니며 역사의 지휘봉을 휘들렀던 것이다. 이 길이 없었던들 세계사의 전개는 인류가 경험한 그것과는 사뭇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을 것이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