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5월의 추천 도서 (1547) - 중국의 과학과 문명: 사상적 배경 - 조셉 니덤


 







1. 책 소개


고대에서부터 17세기 말 예수회 선교사들과 근대과학 의 출현에 이르기까지 중국에서의 과학과 기술의 발전에 대하여 설명한 책. 중국의 언어,지리,역사,중국과 유럽사이의 과학의 이동,유가,도가,중국과학의 기본관념, 불교사상, 인간의 법과 자연법칙 등 16개 장.




2. 저자소개


조셉 니덤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중국학자. 영국 카이우스 칼리지에서 화학발생학과 발생생물학으로 학위를 취득했다. 1930년대 중반 젊은 중국인 연구자들과의 만남에 영향을 받아 학문 연구의 방향을 설정한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중국으로 건너가 충칭에 중영과학협동부를 개설했다. 전쟁 이후 유럽에 돌아온 니덤은 “중국이 광범위한 과학적 발전을 이루었는데도 어째서 유럽에서 산업혁명이 일어나게 되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답으로 대작 『중국의 과학과 문명』을 여섯 권에 걸쳐 집필했다. 이 저서는 중국의 과학과 문명 은 비교철학과 중국학에서 중요한 저서로 여겨진다. 니덤 사후 일곱 번째 책부터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니덤 연구소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의 교수를 역임했다.




3. 목차

 

1. 머리말
2. 서론
3. 중국의 언어
4. 중국의 지리
5. 중국의 역사 1
6. 중국의 역사 2
7. 중국과 유럽 사이의 과학의 이동
8. 유가
9. 도가
10. 묵강와 명가
11. 중국과학의 기본적 관념들
12. 사이비과학 분야들과 회의론적 전통
13. 진대, 당대의 도가와 송대의 신유가
14. 송대, 명대의 관념론자들과 중국 자연주의의 마지막 위대한 인물
15. 불교사상
16. 법가
17. 인간의 법과 자연법칙
18. 참고문헌
19. 니덤의 주요 저작
20. 역자 후기
21. 인명 색인




4. 책 속으로

'중국에서 근대 과학이 발생하지 못한 이유는 중국인들이 지적으로 서양인들에게 뒤져있기 때문도 아니고 중국의 사상적 전통에 잘못이 있어서도 아니라고 그는 강조하였는데, 즉 그는 중국의 관료조직이 중국의 근대화 발전에 방해가 된 요소라고 지적하였다. 그의 주장에 의하면, 중국의 관료조직은 초기 시대에는 과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으나 후기 시대에는 과학의 발전에 제동을 걸었고, 특히 유럽에서 일어난 것과 같은 비약적인 방해를 방해했다는 것이다.'--- p.87



출처 - 예스 24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