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4월의 추천도서 (61) 존 듀이 교육론의 재조명

...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존 듀이 교육론의 재조명』는 듀이에 관한 글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재조명하고자 집필되었다. 더 나아가 저자는 이러한 다각적인 접근이 장차 듀이를 보다 확대된 인식의 지평에서 해석하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저자소개

저자 : 김무길


저자 김무길은 
서울교육대학교 및 성균관대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학석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철학박사(교육사?교육철학) 
성균관대학교?서울교육대학교?경북대학교 등에서 강의 
현)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 

『존 듀이의 교호작용과 교육론』 
「듀이의 상황 개념과 교육」 
「교사상에 대한 이견: 아우구스티누스와 아퀴나스를 중심으로」 
「퍼스의 실재론적 프래그머티즘과 탐구논리」 
「로티의 언어관에 담긴 듀이 사상의 수용과 변용」 
「듀이의 자연주의적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론 검토」

목차

ㆍ머리말/5 

제 1 부 프래그머티즘과 교육 

제1장 퍼스의 실재론적 프래그머티즘과 교육 / 19 
Ⅰ. 문제의 제기 / 20 
Ⅱ. 퍼스의 관념 명료화의 준칙 / 23 
Ⅲ. 퍼스의 실재관 / 29 
Ⅳ. 퍼스의 탐구 논리: 귀추법 / 37 
Ⅴ. 결론: 탐구학습에 주는 시사 / 44 

제2장 윌리엄 제임스의 진리관과 교육 / 51 
Ⅰ. 문제의 제기 / 52 
Ⅱ. 퍼스와 제임스의 프래그머티즘 / 54 
Ⅲ. 제임스의 진리 준거: 만족과 유용성 / 60 
Ⅳ. 제임스의 진리관: 옛것과 새것의 연속성 / 65 
Ⅴ. 맺음말 / 75 

제3장 듀이의 의식이론에 미친 윌리엄 제임스의 영향 / 81 
Ⅰ. 문제의 제기 / 82 
Ⅱ. 순수경험과 일차적 경험 / 85 
Ⅲ. 제임스와 듀이의 의식이론: 현상학적 측면 / 99 
Ⅳ. 맺음말 / 113 

제 2 부 듀이의 상황 개념과 교육 

제4장 듀이의 상황 개념과 교육적 함의 / 121 
Ⅰ. 문제의 제기 / 122 
Ⅱ. 듀이의 상황 개념 / 125 
Ⅲ. 문제 상황의 특성과 구조 / 130 
Ⅲ. 문제 상황의 탐구와 그 전개 양상 / 138 
Ⅴ. 결론: 논의 및 과제 / 152 

제5장 듀이의 상황 개념에 대한 교육현상학적 이해 / 161 
Ⅰ. 문제의 제기 / 162 
Ⅱ. 현상학과 듀이 철학 / 166 
Ⅲ. 상황의 현상학적 이해 / 172 
Ⅳ. 교육현상학적 시사 / 191 

제 3 부 듀이의 흥미와 놀이, 그리고 성장 개념과 교육 

제6장 듀이의 흥미 개념과 그 교육적 함의 / 199 
Ⅰ. 문제의 제기 / 200 
Ⅱ. 피터스: 흥미 개념의 두 측면 / 205 
Ⅲ. 듀이의 흥미 개념 / 209 
Ⅳ. 듀이의 교육적 흥미와 그 전개 양상 / 219 
Ⅴ. 맺음말 / 226 

제7장 듀이와 디어든의 놀이 개념과 교육 / 233 
Ⅰ. 문제의 제기 / 234 
Ⅱ. 놀이의 개념 / 236 
Ⅲ. 놀이에 대한 두 관점 / 243 
Ⅳ. 교육적 놀이의 성립 가능성 검토 / 261 
Ⅴ. 맺음말 / 266 

제8장 듀이의 성장 개념과 좋은 수업의 조건 / 271 
Ⅰ. 문제의 제기 / 272 
Ⅱ. 좋은 수업에 관한 인식 경향 / 275 
Ⅲ. 듀이의 성장 개념 / 283 
Ⅳ. 성장 개념에 비추어 본 좋은 수업의 조건 탐색 / 288 
Ⅴ. 요약 및 제언 / 299 

제 4 부 듀이의 언어관과 교육 

제9장 듀이와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관 / 309 
Ⅰ. 문제의 제기 / 310 
Ⅱ. 전통적 언어관 비판 / 312 
Ⅲ. 듀이와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관 / 322 
Ⅳ. 듀이와 비트겐슈타인의 언어학습관 / 332 
Ⅴ. 요약 및 교육적 시사 / 340 
제10장 로티의 언어관에 담긴 듀이 사상의 수용과 변용 / 349 
Ⅰ. 서론 / 350 
Ⅱ. 메타포적 언어관: 급진적 반정초주의와 완화된 반정초주의 / 354 
Ⅲ. 민주적 언어관: 비통상적 담론과 통상적 담론 / 363 
Ⅳ. 편재적 언어관: 언어적 인지와 선언어적 인지 / 368 
Ⅴ. 결론 / 373 

제 5 부 듀이의 지식교육론과 구성주의 

제11장 듀이의 교육이론에 나타난 지식교육의 위상 / 383 
Ⅰ. 문제의 제기 / 384 
Ⅱ. 교호작용의 본질: 시간성과 공간성 / 389 
Ⅲ. ‘과거의 지식’의 위상: ‘인식론적’ 문제의 재고찰 / 394 
Ⅳ. 성장을 위한 교과의 진보적 조직 / 408 
Ⅴ. 맺음말 / 413 

제12장 듀이의 지식론과 구성주의 / 419 
Ⅰ. 문제의 제기 / 420 
Ⅱ. 구성주의 인식론의 성격 / 423 
Ⅲ. 듀이의 ‘보증된 단언’으로서의 지식론 / 429 
Ⅳ. 구성주의 인식론과 듀이 지식론의 관계 / 445 
Ⅴ. 맺음말 / 450 

제 6 부 듀이 철학과 불교 사상 

제13장 듀이의 교호작용과 불교 연기설 / 457 
Ⅰ. 문제의 제기 / 458 
Ⅱ. 듀이와 불교의 교차점: 교호작용과 연기 / 460 
Ⅲ. 듀이와 불교의 자아관: 변화와 의타기성 / 465 
Ⅳ. 듀이와 불교의 진리관: 보증된 단언과 제법실상 / 470 
Ⅴ. 듀이와 불교의 욕구관: 충족과 단절 / 475 
Ⅵ. 논의: 듀이와 불교의 상치와 조응 / 481 
Ⅶ. 맺음말 / 486 

제14장 듀이와 유식불교의 의식이론 / 491 
Ⅰ. 서론: 유식불교와 듀이의 만남 / 492 
Ⅱ. 의식의 개념: 연기(緣起)와 회로(回路) / 495 
Ⅲ. 의식의 구성: 식전변(識轉變)과 조정(調整) / 503 
Ⅳ. 언어의 비실체성: 아포아(apoha)론과 교호작용 / 509 
Ⅴ. 요약 및 결론 / 512 

ㆍ 참고문헌 / 517 
ㆍ 찾아보기 / 534

출판사 서평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는 현대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듀이가 추구한 경험중심 교육은 문자 그대로 교과와 분리된 경험을 추구하는 교육이 아니라, 아동의 경험과 교과의 지식이 유의미하게 통합됨으로써 경험의 계속적 성장 그 자체에 목적을 두는 교육이었다. 이러한 듀이의 의도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그의 사상은 심층적으로 이해되었다기보다는 표피적으로 파악되거나 왜곡된 경향이 많았다. 가령 듀이가 교과를 무시하고 아동이 흥미 있어 하는 활동만을 앞세웠다거나, 사고의 가치를 도외시하고 생활적응만을 강조했다는 것은 그에 대한 흔한 오해 중 하나이다. 이러한 오해의 원천은 듀이의 의도를 세밀히 읽지 않고 그의 사상을 표면상 진보주의 교육과 동일한 것으로 속단하거나, 혹은 듀이가 지적한 바와 같이, ‘이것이냐, 저것이냐’ 하는 이분법적 사고로 그의 사상을 예단한 결과일 수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듀이 교육론을 주로 교육의 내용이나 방법론적 차원에서 보는 시각을 벗어나, 가능한 다각적인 측면에서 그의 사상을 조명하려고 노력하였다. 즉, 듀이에게 영향을 준 퍼스와 제임스의 프래그머티즘, 듀이의 의식이론, 상황 개념, 교육현상학, 흥미와 놀이 이론, 언어관, 지식교육론, 구성주의, 그리고 앞서 언급한 불교 사상과의 비교 작업 등이 그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다각적 접근이 장차 듀이를 보다 풍부하고 확대된 인식의 지평에서 재해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 출처: 교보문고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