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한국어판 서문 -혼란에서 질서를 창조하는 도구가 되길 바라며
감수자의 글 - 불확실한 세상을 헤쳐나갈 경영자와 투자자의 위기
서문 - 경기 흐름을 남보다 한발 앞서 내다보는 경제예측모델
제1부 경제 바로 읽기 : 혼란에서 질서 창조하기
제1장 경제의 전환점 파악하기
제2장 경제를 움직이는 힘
제3장 경기하강의 징후 읽기
제4장 경기침체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기
제5장 현명한 경제 추적법 : 잡음 걸러내기
제6장 선행지표의 성격
제2부 소비자지출 : 경제와 주식시장을 움직이는 동인
제7장 경제의 수요 사슬을 움직이는 소비자지출
제8장 소비지출과 기업실적 그리고 주식시장
제3부 소비자지출의 예측 : 핵심적인 지표들의 관계
제9장 심리보다 숫자가 중요하다
제10장 실질소득 : 경제를 이끄는 힘
제11장 고용과 실업 : 경제의 후행지표
제12장 금리와 인플레이션 그리고 경기주기
제13장 금리와 주식시장 : 걱정스러운 전망
제14장 연방적자와 금리의 관계
제4부 이론에서 실천으로 : 차트를 통한 실전 예측
제15장 산업이나 기업의 미래 예측
제16장 쉽게 다가서는 경제학
부록 Aㆍ소비자지출의 열쇠, 대출
부록 Bㆍ다른 나라에 대한 적용
Notes
참고문헌
◎ 본문 중에서....
기업실적의 등락은 중기적인 고용 상황의 개선과 후퇴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다. 분명히 말해서 기업들의 고용은 사업활동과 기업실적이 좋은지 나쁜지에 따라 늘거나 줄어들며, 따라서 고용은 다른 주요한 경제지표들에 후행한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기업인과 투자자들은 시간적으로 고용은 후행적 성격을 띠고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고용이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지 그 반대는 아니라는, 잘못된 그러나 자주 갖게 되는 생각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 본문 중에서
소비자지출이 증가세일 경우 소매업체, 유통업체, 제조업체들은 수요 증가를 뒷받침하기 위해 재고를 구축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셔츠 공장은 소매점에서의 소비자 수요뿐만 아니라 공장과 소매점 사이의 유통경로에서 재고 구축을 뒷받침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생산을 10% 이상 증가시켜야 한다. 반대로 사업이 둔화되거나 심지어 침체될 경우에는 재고를 줄이기 위해 셔츠 구매를 중단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둔화 시기에는 모든 소매업체와 유통업체들이 공급업체로부터 구매를 줄이면서 재고 정리에 돌입하며, 제조업체들은 생산을 크게 줄임으로써 전년 대비 셔츠 생산을 축소한다. --- 본문 중에서
'READ 1825 1기(13.3~18.2)'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의 추천도서 (58) 경제와 사회 - 막스 베버 (0) | 2013.04.27 |
---|---|
4월의 추천도서 (57) 경제 발전의 이론 - 죠셉 슘 페터 (0) | 2013.04.26 |
4월의 추천도서 (55) 경영의 실제 - 피터 드러커 (0) | 2013.04.24 |
4월의 추천도서 (54) 경영·경제·인생강좌 45편 - 윤석철 (0) | 2013.04.23 |
4월의 추천도서 (53) 결정의 엣센스 - 그레이엄 앨리슨 (0) | 2013.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