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저자
저자 : A. 아우구스티누스
북아프리카 타가스테에서 태어났다(354년). 어머니 모니카는 독실한 그리스도인이었으나, ‘지혜에 대한 사랑’(철학)에 매료된(373년) 청년 아우구스티누스는 진리를 찾아 끊임없이 방황하는 삶을 살았다. 한때 마니교와 회의주의에 빠지기도 했던 그는 밀라노의 수사학 교수로 임명되면서 출셋길에 올랐다(384년). 밀라노에서 접한 신플라톤 철학, 암브로시우스 주교의 설교, 수도생활에 관한 증언 등을 통해 그리스도교에 눈을 뜨기 시작했으나, 머리로 이해한 그리스도교 진리를 아직 믿음으로 받아들이지 못한 채 엉거주춤 망설이며 살아가다가, 마침내 바오로 서간을 ‘집어서 읽으면서’(Tolle! Lege!) 회심하였고(386년), 행복한 눈물 속에 세례를 받았다(387년). 교수직과 재산을 미련 없이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가 소박한 수행의 삶을 엮어 가던 그는 뜻하지 않게 히포 교구의 사제(391년)와 주교(395년)로 서품되었고, 40년 가까이 사목자요 수도승으로 하느님과 교회를 섬기다가 석 달 남짓한 투병 끝에 일흔여섯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430년). 『고백록』Confessiones을 비롯한 수많은 저술(책, 서간, 설교)과 극적이고 치열한 삶은 그리스도교 철학과 신학에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 교부들 가운데 우뚝 솟은 큰 산인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리스 철학 체계 속에 그리스도교 진리를 깔끔하게 정리해 냄으로써 ‘서양의 스승’이라고도 불린다.
출처:본문중에서
2. 목차
독자들에게 님 기림의 찬가
제 1 권 타가스테와 마다우로에서의 어린 시절(열다섯 살까지, 354-369)
제 2 권 타가스테에서 보낸 한 세월(열여섯 살까지, 369-370)
제 3 권 카르타고의 학생(열일곱부터 열아홉 살까지, 371-373)
제 4 권 타가스테와 카르타고의 수사학 교사(열아홉부터 스물여덟 살까지, 373-382)
제 5 권 카르타고. 로마. 밀라노의 교수, 마니교와 결별(스물여덟부터 서른 살까지, 382-384)
제 6 권 밀라노의 교수(서른부터 서른두 살까지, 384-386)
제 7 권 밀라노의 교수. 네오플라토니즘. 사도 바오로(서른 살 때, 384)
제 8 권 회심(서른두 살 때, 386)
제 9 권 세례, 모니카의 생애와 죽음(서른세 살 때, 387)
제 10 권 주교가 되고 나서 하느님을 인식하기까지 기억에 대한 고찰, 하느님만이 진정한 행복, 지금의 나, 중재자 그리스도(마흔다섯 살 때, 399)
제 11 권 창조의 말씀, 시간의 철학
제 12 권 창세기 1장 1절과 2절의 풀이
제 13 권 창세기 1장 2절과 3절의 상징적 풀이
출처:본문중에서
3. 책속으로
출처: 「고백록」 출판사 바오로딸
'2023년 추천도서(23.3~24.2) > 2023-4'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의 추천도서 (3693) 지금, 역사란 무엇인가 (0) | 2023.04.12 |
---|---|
4월의 추천도서 (3692) 상실의 기쁨 (0) | 2023.04.11 |
4월의 추천도서 (3690) 식물, 국가를 선언하다 (0) | 2023.04.09 |
4월의 추천도서 (3689) 윈스턴 처칠, 운명과 함께 걷다 (0) | 2023.04.08 |
4월의 추천도서 (3688) 2050 패권의 미래 (0) | 2023.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