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12월의 추천도서(1744) 책으로 읽는 조선의 역사 - 신병주


1. 책 소개


국보급 기록에서 베스트셀러까지 

책으로 들여다본 조선의 사람과 풍경! 


지금까지 우리가 배웠던 역사는 『조선왕조실록』이라는 왕 중심의 사료를 기반으로 한 역사가 대부분이었다. 이 책은 조선시대를 대표할 만한 베스트셀러 스물여섯 권을 소개하며 우리가 몰랐던, 혹은 이름만 들어봤던 역사적 사료에서 당대 사람들이 살았던 생의 단면을 톺아본다. 기행문과 일기, 보고서, 문집 등 국보급 기록에서 당시 민중 사이에서 즐겨 읽힌 베스트셀러까지, 각 문헌의 주요 내용과 그에 얽힌 역사적 배경, 당대인들의 생각과 삶을 살핀다. 역사 커뮤니케이터 신병주 교수는 조선시대를 연구하는 학자의 눈으로 ‘책’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독자와 조선시대를 이어준다.


2. 저자


저자 신병주는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대구에서 중, 고등학교를 다녔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서울대, 건국대, 국민대, 가톨릭대, 서울여대 등에서 조선시대 지성사, 조선 후기 사회와 실학, 한국사를 이끈 지성들 등 주로 조선시대의 사상과 문화를 주제로 강의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학예연구사로 재직중이다. 
역사의 대중화에 깊은 관심을 가져 KBS의 '역사추리' 'TV조선왕조실록' '역사스페셜' '불멸의 이순신' 자문을 맡았으며, 현재 KBS의 'HD 역사스페셜'과 EBS 어린이 역사드라마의 자문을 맡고 있다. 남명학연구원 상임연구위원, 외교통상부 외규장각도서 자문포럼 위원으로도 활동중이다. 저서로는 <남명학파와 화담학파 연구> <66세의 영조, 15세 신부를 맞이하다> <조선시대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등이 있다.


3. 목차


책머리에

1부 15세기, 국가의 틀을 세우다
1 조선경국전 조선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다
2 경국대전 시대를 앞서간 국가통치규범
3 용재총화 당대의 생활·제도·풍속·인물의 모든 것을 담다
4 해동제국기 국제 감각과 외교 역량이 응축된 대일외교지침서
5 조선왕조실록 500년 왕조의 공식 국가 기록

2부 16세기 조선 지식인의 세계
1 표해록 500년 전 조선 선비의 중국 표류견문기
2 양아록 16세기 할아버지가 쓴 손자 양육일기
3 남명집 시골 학자, 서릿발 같은 비판을 쏟아내다

3부 조선을 뒤흔든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1 난중일기 친필 일기로 만나는 인간 이순신과 장군 이순신
2 쇄미록 420년 전 임진왜란의 기억
3 징비록 국정의 최고 책임자, 전란을 반성하다
4 박씨전 병자호란과 여걸 영웅의 탄생

4부 17세기, 성리학의 새로운 시도
1 홍길동전 조선 최고의 아웃사이더 허균의 꿈
2 지봉유설 박학과 열린 세계가 표출된 문화백과사전
3 반계수록 영조가 주목한 개혁 교과서

5부 18세기, 우리를 찾고 세계를 다시 보다
1 성호사설 실학파 별들이 노닌 거대한 호수
2 택리지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장대한 인문지리서
3 열하일기 실사구시의 새 시대를 노래한 중국견문기

6부 19세기, 새로운 지식의 발견
1 당의통략 조선시대 당쟁의 역사를 정리하다
2 오주연문장전산고 19세기 백과사전의 대표
3 이향견문록과 규사 차별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7부 왕실 문화와 그 진수
1 계축일기 광해군 정권의 빛과 그림자
2 한중록 놀라운 기억력이 돋보이는 궁중문학의 백미
3 의궤 기록과 그림으로 담아낸 조선왕실 행사의 현장들
4 승정원일기 왕의 국정에 관한 종합보고서
5 일성록 열람에 편리한 표제와 요점 중심의 기록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