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9년 추천 도서(19.3~20.2)

10월의 추천도서(2414) 공부논쟁 - 김대식, 김두식

1. 책소개

 

한국사회 공부에 직격탄을 날린다!

『괴짜 물리학자와 삐딱한 법학자 형제의 공부 논쟁』은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인 형 김대식과 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인 동생 김두식의 ‘공부 논쟁’을 담아낸 책으로,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이들 형제는 우리 한국사회의 공부 풍토를 날것 그대로 보여주며 뜨거운 논쟁을 벌인다.

공부라고 하면 으레 따라붙는 엘리트, 창의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는 내용으로 시작되는 이 책은 그 과정에서 우리나라가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하는 이유, 과장된 이공계 위기, 장원급제 DNA와 장인 DNA의 차이, 영재교육의 문제점 등을 조목조목 짚으며 원인을 날카롭게 파고든다.

나아가, 저자들은 ‘진짜 공부’를 위해 입시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을 답습하는 대신, 대학교수의 시각에서 접근하여 대학의 교수 채용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해외 명문대 박사 출신의 교수가 아닌 국내 박사와 함께 ‘우리의 학문’을 시작해야 하며, 고등학교 성적이 아닌 현재의 연구실적으로 교수가 되도록 할 때 ‘진짜 공부’를 시작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북소믈리에 한마디!

이 책은 두 사람의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주기 위해 정치 이야기로 시작되지만 창의성과 우수성을 키우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평등’이라는 두 형제의 공통된 인식을 바탕으로 논의가 진행된다. 두 저자는 비평준화 시대의 경기고와 현재의 특목고로 상징되는 엘리트주의의 한계에 집중하고, 고교 평준화, 대입 단순화, 서울대 개혁이라는 대안을 내세움으로써, 한국사회의 공부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트린다.

출처 : 교보문고

 

2. 저자

 

저자 : 김대식

저자 김대식은 1963년 서울 성북동에서 태어나 사고뭉치였던 어린 시절을 보냈다. 악동 노릇이 지겨워지면서 뒤늦게 공부에 눈을 떴고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버클리대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AT&T 벨 연구소, 오클라호마주립대를 거쳐 1994년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로 취임했고, 『피지컬 리뷰 레터스』 『네이처 포토닉스』 『나노 레터즈』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사이언스』 등 여러 저널에 논문을 기고했다. 젊은과학자상(2003), 서울대 학술연구상(2012), 한국과학상(2014) 등을 수상했으며 국가석학(2005), 미국광학회(OSA) 및 미국물리학회(APS) 펠로우에 선정되었다. 한국의 포경수술 실태를 고발한 논문을 『국제비뇨기학회지』에 게재해 국제인권상(2000)을 수상하기도 했다.

 

 

저자 : 김두식

저자 김두식은 1967년 김대식의 동생으로 태어났다. 사고뭉치였던 형과 다른 삶을 살고자 노력했고, 그 결과 어릴 때부터 모범생이라는 얘기를 들었다. 고려대 법대를 졸업하고 1991년 사법시험에 합격해 군법무관, 검사, 변호사로 일했다. 코넬대 로스쿨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한동대 교수를 거쳐 2006년부터 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일하고 있다.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한 『헌법의 풍경』을 비롯해 『평화의 얼굴』 『불멸의 신성가족』 『교회 속의 세상, 세상 속의 교회』 『불편해도 괜찮아』 『욕망해도 괜찮아』 『이제는 누군가 해야 할 이야기』(공저) 『다른 길이 있다』 등 국가, 인간, 인권을 다룬 책을 썼다.

출처 : 교보문고

 

3. 목차

 

1장 형제 격돌, 엘리트주의에 칼을 대다
“그래서 동생네 편이 진 거예요” ∥ 자기 생각 없는 편 가르기 ∥ 강남좌파와 강남우파 ∥ “보수보다 열배나 우아한 진보” ∥ 획일화된 세상은 어디든 독재국가

2장 괴짜 과학자 형과 삐딱한 범생이 동생
과학자는 중소기업 사장님 ∥ 『사이언스』 논문 전쟁 ∥ 아인슈타인이 아프리카에서 태어났다면 ∥ 황우석 같은 과학자도 필요하다?

3장 악동 출신의 31세 서울대 교수
“반에서 20등이 꿈이었습니다” ∥ 악동의 피로감 ∥ 극단으로 밀어붙이는 힘 ∥ 문과와 이과, 유학생활 이렇게 다르다

4장 대한민국이 노벨상을 받지 못하는 이유
유학파가 장악한 한국 대학 ∥ 일본의 노벨상 비결은 국내 박사의 동종교배 ∥ 나쁜 교수, 더 나쁜 교수, 굉장히 나쁜 교수 ∥ “교수도 못 시킬 거면서 박사과정 학생은 왜 뽑나?” ∥ 방학이면 사라지는 기러기 교수

5장 하버드대 한국 분교 교수들
주인집 자식 위해 목숨 바치는 노예 ∥ 도산서원 대신 하버드 학벌 ∥ 입신양명 공부는 이제 그만 ∥ 철밥그릇을 내려놓아야 할 때 ∥ 특권을 누리는 사람들에게 엄격한 잣대를

6장 장원급제 DNA, 장인 DNA
평생 수석의 공허한 눈빛 ∥ 10대 청소년이 아니라, 30대 교수를 쥐어짜라 ∥ “야, 얼른 박사 마치고 돌아와” ∥ 물리학을 망친 천재들

7장 경기고, 뺑뺑이, 특목고
뺑뺑이 세대의 마지막 발악 ∥ 한명의 천재가 만명을 먹여 살린다는 착각 ∥ 대한민국을 움직이는 네트워크 ∥ 15세에 인생을 결정하는 사회

8장 새로운 공부를 제안한다
대학의 위기, 어디까지 진실인가 ∥ 소수의 엘리트가 과학을 이끈다는 신화를 깨라 ∥ 모든 문제의 출발은 고등학교 성적 기득권

출처 : 본문 중에서

 

4. 책속으로

 

저도 대학에서 법학을 가르치고 있습니다만, 전형적인 학자의 길을 걷지는 않았습니다. 대학에 자리 잡은 후에도 구체적인 법률 분야에서 전문적 지식을 인정받기보다는 주로 대중적인 글쓰기로 일반 시민들과 이야기 나누는 길을 걸어왔습니다. 일반적인 법률가의 길에서 한참 비껴난 삶이지만 의외로 주변에서는 ‘범생이’라는 얘기를 자주 해요.
형은 저랑 반대입니다. 서울대 물리학과 입학, 미국 유학, 27세에 박사학위 취득, 31세에 모교 부임 그리고 쭉 연구자로 한길을 걸었죠. 그런데 범생이 소리를 들은 적은 한번도 없을 겁니다.
- 본문 56~57면

노벨상 꿈나무니 뭐니 해서 대기업이 학생들을 하버드대로 보낸다는 얘기가 나오는데, 웃기는 거죠. 그 학생들이 노벨상을 받으면 그게 우리나라의 결과물인가요? 아니죠. 그보다는 오히려 인도에서 유학 온 학생이 한국에서 박사학위를 따고 한국 인프라로 노벨상을 받으면, 그게 우리나라 과학자이고 한국의 노벨상인 거죠. 일본은 일찍부터 일본 박사들을 중심으로 일본 인프라를 가지고 자기 집을 짓기 시작했어요. 학문적 종속이 없었어요. 학문적 고립 속의 동종교배가 갖는 힘을 보여준 거죠.
- 본문 134면

뭔가 엄청난 걸 발명한 사람 중에서 학교에서 1등 한 사람을 찾기가 쉽지 않아요. 시험 잘 보는 학생은 남들이 주는 문제를 푸는 데까지는 해낼 수가 있어요. 그러나 새로운 발견 혹은 발명을 하거나 새로운 이론을 만든다는 건 전혀 다른 차원의 이야기입니다.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시험 잘 치는 사람들에게만 과학을 맡겼어요. 그 결과로 새로운 이론, 새로운 발견 하나를 만들어내지 못했어요. 단 하나의 초가집도 짓지 못했어요. 지금이라도 거대한 전환을 만들어내지 못하면 계속 망하는 거예요.
- 본문 226면

엘리트들은 고교 졸업 이후 평생 동안 그 기술로 다른 사람을 제압하면서 살았는지도 몰라요. 다른 사람들은 당연히 자신은 그들보다 못하다는 생각으로 2등 자리도 감지덕지했을 수 있고요. 기세로 자리를 선점하고 다른 사람들이 절대 자기들을 넘볼 수 없는 씨스템을 구축한 거죠. 그게 엘리트주의예요. 기초과학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가 기회를 고루 나눌 방법을 찾아야 해요.
- 본문 258~59면

출처 : 본문 중에서

 

5. 출판사서평

 

일등의 들러리는 싫다
내가 주인공이 되는 ‘진짜 공부’를 해라

스펙 쌓기와 취업에 목을 매는 학생과 학부모만 탓하지 마라. 명문대에만 들어가면 사회적 성공이 따라올 것이라는 게으른 생각, 아이들의 머리를 일찌감치 망가뜨리는 교육이 문제다. 서울대 물리학과 김대식 교수와 대한민국 법조계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파헤친 바 있는 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김두식 교수 형제가 한국의 공부 풍토에 직격탄을 날리는 책 『공부 논쟁』을 출간했다.
괴짜 과학자 형과 삐딱한 법학자 동생이 작정하고 다루는 주제는 후계자를 유학 보내는 교수들의 심리부터 재능 있는 아이들의 머리를 망가뜨리는 교육 현실, 특목고 네트워크의 폐해까지 전방위적이다. 형제는 불합리하고 무책임한 우리 사회 현실에 대한 고발에 그치지 않고, 그 원인을 날카롭게 파고든다. 엘리트집단의 기득권 지키기, 영재교육에 목을 매는 학부모, 15세에 인생을 결정짓는 교육 구조와 대학의 서열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기회의 격차가 날로 확대되고 있는 한국사회 공부 현장을 날것 그대로 전해준다. 그리고 꾸준하게 사회에 유익한 것들을 만들어내는 장인이 아닌 입신양명을 꿈꾸는 장원급제형 천재를 우대하는 우리의 현실을 냉정하게 보여준다.

 

출처 : 창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