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8년 추천 도서(18.3~19.2)

10월의 추천도서(2051) 글로벌 시대의 언론윤리 - 김지운


1. 책 소개


이 책은 일반 독자층을 대상으로 한 책으로, 전문적인 내용을 비전공인 일반 독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쓴 교양 도서이다.

처 : 교보문

2. 저자


김지운(金芝雲)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 졸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부교수?교수
미국 컬럼비아대 신문대학원 풀브라이트 교환교수
현재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사단법인 한국언론학회장(1990-1991)
국제커뮤니케이션연구학회(IAMCR) 회원
1994년 서울 세계언론학대회 조직위원장

<저서, 편저, 역서>
분단국의 제문제(1972)
역사를 움직인 책들(역, 1976)
매스컴의 사화학(역, 1980)
정보유통의 地政學(역, 1984)
신문 倫理위원회의 비교연구(1986)
매스 커뮤니케이션 通論(역, 1987)
국제 文化 커뮤니케이션론(역, 1987)
제3世界의 문화 종속(역, 1988)
매스미디어 政治經濟學(역, 1990)
국제 情報유통과 文化지배(편저, 1991)
미디어 經濟學(역, 1992)
批判 커뮤니케이션 理論(공저, 1993)
매스커뮤니케이션 通論(역, 개정증보, 1993)
현대言論과 社會(공역, 1994)
커뮤니케이션 政治經濟學(역, 1996)
미디어 經濟學의 이해(공편저, 1999)
커뮤니케이션 기술혁명의 政治經濟學(역, 1999)
判 커뮤니케이션:政治경제 문화연구 미디어 批判(공저, 2002)
Elite Media Amidst Mass Culture:A Critical Look at Mass Communication in Korea(공편저, 1994)

처 : 교보문


3. 목차


제1장 서론 
1-1.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시대의 전개 
1-2. 본서의 목적:언론윤리 바탕 모색 

제2장 윤리(학)의 이론과 실천윤리(학) 
2-1. 윤리와 도덕, 법과 윤리-도덕 
2-1-1 윤리와 도덕 
2-1-2 법과 윤리-도덕 
2-2. 언론윤리의 개념 
2-2-1 언론:윤리강령을 요하는 전문직 
2-2-2 언론윤리강령을 요하는 5가지 이유 
2-3. 윤리(학)의 이론과 실천윤리(학) 
2-3-1 의무론(Deontology) 
2-3-2. 목적론(Teleology) 
2-3-3. 덕성(德性) 윤리론(Ethics of Virtues Theory) 
2-3-4. 콜버그의 윤리-도덕의식 발전론 
2-3-5 기타 (윤리)-도덕 인지 발달론 
2-4. 실천윤리학 
2-4-1 싱어의 실천윤리학 
2-4-2 브란트의 규범윤리학 

제3장 글로벌 시대의 언론윤리:보편가치론 
3-1. 가치의 개념 
3-2. 보편과 상대주의 
3-2-1 보편론 
3-2-2 상대주의 
3-3. 종교와 문화:보편가치 수용의 장애인가 
3-3-1 종교와 보편가치 
3-3-2 문화와 보편가치 
3-4. ‘보편가치’의 선행연구 고찰 

제4장 보편가치의 모색 
4-1. 들어가는 말 
4-2. 진실-진실 말하기 
4-3. 공정-의(義)롭기(being just/justice) 
4-4. (정치) 민주주의 
4-5. 인권-인륜 

제5장 보편가치와 실천윤리:윤리강령과 윤리위원회 
5-1. 언론윤리강령:실천윤리 
5-2. 윤리위원회:현황 
5-3. 선현들의 실천윤리 가르침 
5-4. 맺는말:보편적용 윤리강령을 지향하여

처 : 본문 중에서


4. 출판사 서평


▶세계화 시대에 맞는 보편적 언론윤리를 찾다

가히 혁명적이라 할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 경제`문화의 급속한 세계화, 그리고 정치 민주주의 전진대세는 보편 적용 가능한 근본 윤리규범을 요청하고 있다. 필자는 이런 사태 진전을 반영하는 동시에 기여하게 될 언론윤리강령의 원천 소재로서 보편가치를 모색했다. 
인간 본성에 내재하는 것으로 당연시되는 근본 가정, 15명의 철학`신학`윤리`사회`윤리문화학자들에 의한 보편가치의 선행연구 고찰과 정리, 그리고 자신의 연구`고찰을 토대로 필자는 범세계 언론윤리 바탕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확신하는 보편가치 네 가지를 도출했다. 그것은 (1) 진실-진실말하기, (2) 공정-의(義)롭기(being just/justices), (3) (정치) 민주주의, 그리고 (4) 인권-인륜이다. 
이들 네 개항의 보편가치는 문화, 종교, 체제를 뛰어 넘어 범세계 언론윤리(강령)에 수용가능한 최저 공통문모인 것으로 필자는 확신한다. 

처 : 커뮤니케이션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