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9년 추천 도서(19.3~20.2)

5월의 추천도서(2282) 대한민국의 설계자들 - 김건우 1. 책 소개 친일을 하지 않은 양심적 우익의 실체를 추적하다! 『대한민국의 설계자들』은 해방 이후부터 한국 현대사의 근대적 전환기를 이룩한 1960~1970년대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문헌들과 연구들을 참조해 가면서, 이 시기에 정부 정책을 주도한 이들과 민주화 진영에서 저항했던 사람들이 모두 이념적으로는 하나의 뿌리에서 뻗어 나온 가지들이라는 사실을 밝힌다. 그들이 바로 ‘친일을 하지 않은 우익’, 즉 ‘대한민국의 설계자들’이었던 것이다. 대전대학교 김건우 교수는 스무 해 가까운 연구를 통해 친일에 물들지 않았으면서 북한 공산주의 정권과도 거리가 있는 ‘양심적’ 우익의 실체를 추적하고, 이들이 대한민국의 발전과정에서 했던 일들을 구체적으로 탐구해 왔다. 『대한민국의 설계자들』은 한국 현대 지성사와 문학사.. 더보기
5월의 추천도서(2281) 대한민국 건국의 재인식 - 이인호, 김영호, 강규형 1. 책 소개 대한민국 건국의 배경과 완성, 그리고 그 의의를 밝히다 대한민국 건국사를 주제로 연구한 논문집『건국의 재인식』. 이 책에 실린 26편의 논문은 2007년과 2008년 여름에 개최되었던 대한민국 건국 60주년 기념 학술회의에서 발표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국내 대표적 연구자들은 물론, 미국, 중국, 일본 등 외국의 학자들도 참여하여 각 전문분야의 연구 결과를 모았다. 888쪽에 달하는 방대한 내용을 담은 이 책은 모두 다섯 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미국 건국세력 간의 관계나 소련의 한반도 전략, 임시정부와 대한민국과의 관계 등을 다룬 1부, 건국에 관련된 당시 국내외 정치세력들의 의도와 견해를 분석을 2부에서 전한다. 3부에서는 이승만 초대 대통령의 구상과 업적을 조명하면서 4부에서는 민주.. 더보기
5월의 추천도서(2280) 대한민국 50대의 힘 - 탁석산 1. 책 소개 대한민국 50대의 잠재력과 가능성, 그리고 그 안에 내재된 역동성과 희망! 현재 대한민국의 50대는 가난에서 풍요로, 독재에서 민주주의로, 국가주의에서 세계화로 모든 것이 요동치던 시대를 거치며 성장하고 사회경험을 쌓은 이들이다.『대한민국 50대의 힘』은 이들이야말로 옛 것과 현대의 것 사이에 서 있는, 모든 세대와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는 유일한 세대라고 강조한다. 날카로운 분석과 솔직담백한 화법으로 유명한 저자는 국회의원 노회찬, 변호사 이기욱, 농부 전용호 등 각 분야에서 치열하게 살고 있는 50대 10명을 직접 만나 인터뷰했다. 그리고 대한민국 50대는 누구이며, 그들만이 품고 있는 힘은 무엇인지, 그들이 꿈꾸고 있는 세상은 어떤 모습인지 등을 차분히 살펴본다. 더불어 앞으로 이들.. 더보기
5월의 추천도서(2279) 대학과 권력 - 김정인 1. 책 소개 한국의 대학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으며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한국 현대사 최초로 대학 형성되기 시작했던 식민지 시기부터 1990년대까지 대학권력-국가권력-시장권력이라는 키워드로 한국 대학의 역사를 보여주는 『대학과 권력』. 오늘날 대학 문제의 뿌리를 찾기 위해 한국 대학 100년의 궤적을 돌아본 대학사이다. 현대사 가운데 대학사라는 분명한 주제의식을 염두에 두고 연구한 성과물이자, 앞으로 한국 대학이 나아가야 할 미래를 담고 있다. 현재 대학의 현실과 대학이 나아가야 할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 대학사 100년을 돌아보며 한국 대학의 문제점과 해결점을 살펴보고, 에필로그에는 김영삼 정부 이후 신자유주의, 그리고 자본과 결탁한 대학의 현 상황을 돌아보며 어떻게 하면 ‘위기의 대학’에서 벗어날 수 있.. 더보기
5월의 추천도서(2278) 대통령과 미디어 - 이시자와 야스하루 1. 책 소개 미국 대통령의 언론 전략을 분석한 책.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미디어가 활용된 사례들과 백악관의 미디어 전략 등을 흥미진진하게 파헤친다. 후기에는 한국 대통령 선거와 미디어의 관계를 분석한 역자의 글이 담겨있다. 출처 : 교보문고 2. 저자 릿쿄우대학교 졸업, 하버드대학교 케네디 행정대학원 수료, 워싱턴포스트 극동총국 기자, 뉴스위크 일본판 부편집장 역임, 현재 가꾸슈인여자대학교 조교수 저서 {The MOF - 대장성 권력과 데모크라시}, {일미관계와 매스미디어}, {환상의 일미 마찰} 외 다수 출처 : 교보문고 3. 목차 머리말 1장. 주역은 부시도 고어도 아니었다 도련님들의 대결 선거의 플레이어가 된 미디어 브래들리는 왜 실각했는가 '보여주는 선거'가 되지 않았다 네거티브 캠페인의 전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