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8월의 추천 도서 (896) 송사삼백수(宋詞三百首) - 주조모 1. 책소개 시가로서의 문학성과 음악으로서의 실용성을 고루 갖춘, 중국 시가 문학의 황금기를 수놓은 송사(宋詞)의 정수. 『송사삼백수』는 청대(淸代)의 사학자(詞學者) 주조모가 송대의 대표적인 사작가의 작품을 골라 모은 사선집이다. 사는 악곡에 맞춰 지은 시가로, 노래의 가사 부분을 지칭하는 이름이며, 책은 송나라 때의 가요라 할 수 있는 송사의 다양한 작품과 그에 대한 해설을 담고 있다. 이 책에는 송사의 대표적 작가의 작품뿐만 아니라 기타 송대의 사단에서 활약한 작가들의 작품도 수록되어 있어, 송사의 전반적인 풍격과 변천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송사는 크게 남녀의 염정을 위주로 부드럽고 아름답게 노래한 완약(婉約) 풍격과, 다양한 제재를 음률에 얽매이지 않고 웅대하게 풀어낸 호방(豪放) 풍격으로 나.. 더보기
8월의 추천 도서 (895) 송명성리학(宋明性理學) - 진래(陳來) 1. 책소개 인물로 보는 송명 성리학사. 송명시대의 대표적 사상 가 22인을 통해 그 시대의 성리학을 재구성한 연구서.주희를 주축으로 하는 성리학의 집대성과 이후의 계승, 극복과정을 보여주고 왕수인을 주축으로한 양명학의확립과 분기과정을 추적했다.[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 목차 1. 이끄는 말 2. 송명성리학의 선구 3. 북송성리학의 건립과 발전 4. 남송성리학의 발전 5. 명대 중후기의 리학 6. 끝맺는 말[예스24 제공] 3. 책속으로 당대 중엽에 시작하여 북송때 안정되고 확립된 문화적 전환은, '근세화'과정의 일부분이었다. 이러한 근세화 문화 형태는 중세의 정신과 근대 공업 문명과의 중간 형태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며, 그 기본 정신은 두드러진 세속성, 합리성, 평민성이다. 송명리학 전체에 대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