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1월의 추천도서(1789) 호모 노마드 유목하는 인간 - 자크 아탈리 노마드(nomad)는 '유목민', '유랑자'를 뜻하며 프랑스의 철학자 들뢰즈는 노마드의 세계를 '시각이 돌아 다니는 세계'라고 묘사하면서 현대 철학의 개념으로 자리잡은 용어이다. 노마디즘(nomadism)은 현대로 들어오면서 그 의미가 확대되어 '공간적인 이동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버려진 불모지를 새로운 생성의 땅으로 바꾸는 것, 한 자리에 머물며 특정한 가치와 삶의 방식에 매달리지 않고 끊임없이 자신을 바꾸어 가는 창조적인 행위'를 뜻하게 되었다. 21세기는 흔히 신 유목의 시대 또는 디지털 노마드 시대라고 부른다. 디지털 노마드란 정보기술을 갖추고 지구를 떠도는 시대를 상징한다. 자원이 부족한 한국사회에서 이러한 시대의 흐름을 읽는 것은 필수불가결하다. 호모 노마드는 현실에 머무르지 않고 파괴와.. 더보기 1월의 추천도서(1788) 호모루덴스 - 요한 하이징아 인류의 모든 문화 현상의 기원을 ‘놀이’에 두고 예술사와 종교사 등 인류 문명에 관한 다양한 학문을 도입하여 인류의 문화를 놀이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있다. 인간의 존재와 행위 양식의 본질을 파헤치면서 놀이가 오늘날의 문화에 어떤 기여를 했는지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있다. 책에 따르면 놀이는 문화의 한 요소가 아니라 문화 그 자체가 놀이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 책의 저자 하위징아는 모든 형태의 문화는 그 기원에서 놀이의 요소가 발견되고 인간의 공동셍활 그 자체가 놀이형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철학, 시, 예술 등에도 놀이의 성격이 존재한다고 밝히고 있다. 즐거움과 흥겨움을 동반하는 가장 자유롭고 해방된 활동, 삶의 재미를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활동인 놀이가 법률, 문학, 예술, 종교, 철학을 탄생시.. 더보기 이전 1 ··· 1487 1488 1489 1490 1491 1492 1493 ··· 24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