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술

1월의 추천 도서(679) 북회귀선 - 헨리 밀러 1.책소개 1934년 파리에서 영어판으로 초간된 헨리 밀러의 작품 은 발표 당시 평단의 극찬을 받았으나, 정작 영미권에서는 판금되었던 문제작이다. 문학세계사는 국내에 처음으로 을 소개했지만, 일본어판 중역이라는 한계를 안고 있었는데, 이번에 원작 출간 70년 만에 원전 완역판으로 을 선보였다. 한국 문단에서 21세기 이방인으로 불리는 정영문이 번역을 맡았다. 헨리 밀러의 연인이자 든든한 후원자였던 애나이스 닌은 '근원적인 현실에의 우리의 취향을 되살려줄 만한 힘이 있는' 소설이 있다면 바로 헨리 밀러의 이라고 말했다. 오랫동안 이 작품을 외설작품이라는 오명을 씌우고, 판금조치시켰던 대담한 성 묘사는 모든 기성의 윤리나 관습, 감정, 질서 등을 동요시키는 역할을 한다. 방종하기까지 한 섹스는 생의 근원적인.. 더보기
1월의 추천 도서(678) 북학의(北學議) - 박제가(朴齊家) 1.책소개 최초의 원문 교감과 역주를 통해 완성된 완역 정본 《북학의》! 완역 정본 『북학의』. 《북학의》는 조선의 경장을 꿈꾼 18세기 후반의 사상가 박제가의 저술이다. 선진적인 중국의 문물을 배워서 부국강병을 이루자는 주장을 담고 있다고 알려진 이 책은, 위기에 봉착한 조선 사회의 현실에 대한 통렬한 분석과 자기부정을 통해 미래를 설계하고자 한 뼈아픈 자각과 통찰의 저작이다. 이번 완역 정본은 20여 종의 사본을 교감하고 주해하는 작업을 거쳐 탄생한, 말 그대로 ‘정본’이다. 이 책의 교감과 번역, 주석 작업을 한 안대회 교수는 국내는 물론 일본과 미국 등에 흩어져 있는 국외의 이본들을 모두 수집하여 교감 과정을 거쳐 정본을 만들고, 완역 작업을 이루었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2.저자소개 .. 더보기
1월의 추천 도서(677) 부활 - 톨스토이 1.책소개 제정 러시아를 뒤흔든 톨스토이의 문제작! 러시아의 대문호 톨스토이의 마지막 불꽃같은 작품 『부활』 제1권. 신분을 뛰어넘은 사랑을 담은 이야기이자, 제정 러시아의 사회생활과 사회악을 담아낸 정치적 보고이며, 종교에 대한 고민과 답을 담은 철학서이다. 비평가들에게는 비판을, 대중들에게는 가장 큰 사랑을 받은 이 대작을 톨스토이의 문학 세계를 충실히 보여주는 번역으로 선보인다. 작품의 배경과 당시 상황을 고려하여 원작의 표현과 그 안에 담긴 톨스토이의 메시지를 최대한 정확하게 우리말로 옮기고자 했다. 살인 누명을 쓴 창녀 카츄샤의 재판. 과거 그녀는 귀족 네흘류도프와 밀애를 나누다 쫓겨난 후 타락의 길로 접어들었다. 우연히 그녀의 재판에 네흘류도프가 배심원으로 참석하게 되고, 그는 그녀의 운명에 .. 더보기
1월의 추천 도서(676) 부의 탄생 - 윌리엄 번스타인 1.책소개 은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전에서 기자들의 주목을 가장 많이 받으며 출간 전부터 화제에 오른 책이다. 이 책은 출간되자마자 아마존 경제경영 도서 부문 베스트셀러를 기록한 이후 지금까지도 꾸준히 높은 순위를 유지하고 있다. '세계의 부'를 바라보는 저자의 대담하고도 새로운 시각 자체도 흥미롭지만, 무엇보다도 이책은 끝없이 이어지는 역사적,경제적,정치적 자료들만으로도 한권쯤 구비해둘 만한 가치가 충분해 보인다. 또한 기존의 경제성장이론의 지니고 있는 이론적, 실제적 결함을 지적하면서 논박하는 부분은 특히 눈길을 끈다. 세계경제가 특정한 시점과 장소에서 갑자기 성장하기 시작한 이유에 대한 저자의 주장은 일관되고 명확하다. 부의 탄생과 축적에는 꼭 필요한 네 가지 요소가 있다. 그것들을 갖춘 곳에서는 반.. 더보기
1월의 추천 도서(675) 부의 미래 - 앨빈 토플러 1.책소개 다가오는 제4물결을 준비하라! 《미래쇼크》, 《제3물결》에 이은 15년 만의 대작! 전 세계 12개국 동시 출간! 《미래쇼크》, 《제3물결》를 통해 일찍이 지식기반 사회의 도래를 예견했던 세계적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이 책 《부의 미래》를 통해 다가오는 제4물결을 예견하고 경제에서 사회제도, 비즈니스부터 개인의 삶까지 미래 세계를 조명한다. 그가 15년 만에 내놓은 《부의 미래》는 제목 그대로 미래의 부(富)가 어떻게 변화하고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칠지 논거한 책이다. 이 책은 단순히 경제학적 관점에서의 부가 아니라 문화와 문명이라는 좀 더 커다란 구조 속에서 우리 생활 곳곳에 영향을 미치는 부가 어떻게 형성되고, 어떻게 변화하며, 또 어떻게 이동하는지, 우리의 삶에 어떤 변화를 몰고 올 것..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