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소개
한 자리에서 10년 이상 공직을 맡는다는 건 결코 흔치 않습니다. 그 시간 동안 조직의 가치를 지키고 높여야 할 책임은 막중하며, 그 과정에서 내려야 하는 수많은 결정은 하나하나가 무게를 지닙니다.
이 책의 저자는 울산대학교에서 10년 넘게 총장직을 수행하며 겪은 수많은 선택과 도전, 성공과 아쉬움을 있는 그대로 기록했습니다.
『울산대학교 10년, 기록과 성찰』은 단순한 자서전이 아닙니다.
부임 계기부터 임기별 성찰, 의사결정 체계 개편, 인력·예산 혁신, 의대 교육의 울산 현지화, 글로컬대학30 선정, 병원 혁신, 캠퍼스 시설 개선까지—대학 경영의 현장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성과뿐 아니라 실패와 한계까지 솔직하게 담아, 후임자와 구성원들이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돕는 ‘실천 지침서’이자 경험의 보고서입니다.
출처:본문중에서
2. 저자
저자: 오연천
□ 1951년 2월 7일, 충남 공주 출생
□ 교육 경력
1983 ~ 2015 서울대학교 교수(재정관리)(2015, 청조근정훈장)
1991 ~ 1992 독일 베를린대학교 초빙교수
1998 ~ 1999 세계은행(The World Bank) 민영화 담당 자문관
2010 ~ 2014 제25대 서울대학교 총장(서울대학교 법인 초대 이사장)
2014 ~ 2015 스탠포드대 초빙 코렛 체어드프로페서(Koret Fellow)
2015 ~ 現 울산대학교 총장
□ 학외 경력
1975 제17회 행정고시 합격
1986 경제기획원, 제6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계획 심의위원
1987 ~ 1988 재무부, 세제발전심의위원회 총괄분과 위원
1997 한국조세학회 회장
1998 ~ 1999 기획예산위원회 위원
2000 ~ 2006 국회, (재)한국의회발전연구회 이사장
2001 ~ 2003 기획예산처, 정부투자기관 경영평가단 단장
2002 ~ 2007 한국공기업학회 회장
2003 ~ 2007 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심의위원회 위원장(2005, 홍조근정훈장)
2005 ~ 2009 지식경제부, 산업기술평가원 이사장 및 선임이사
2006 ~ 2008 규제개혁위원회 위원
2007 ~ 2009 지식경제부, 산업발전심의위원회 위원장
2007 한국공공선택학회 회장
2008 ~ 2010 한국산업은행, 사외이사
2009 ~ 2024 한국백혈병어린이재단 이사장
□ 저서
1989 재정과 경제복지(공저), 박영사
1989 한국지방재정론, 박영사
1992 한국조세론, 박영사
1996 재정개혁의 전망과 재산세제의 개선과제, 집문당
2009 강한 시장과 건강한 정부, 올리브엠엔비
2014 대학이 희망이다,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6 함께하는 긍정, YBM
2016 결정의 미학, 21세기북스
2016 결정의 리더십, 21세기 북스
2017 국가재정의 정치경제학, 21세기 북스
2020 도전과 헌신의 리더십 스토리(편저), UUP
2022 부족함과 실패를 이기는 긍정과 도전의 길, UUP
2023 대통령과의 만남과 지도자의 자세 국정리더의 길, UUP
출처:본문중에서
3. 목차
서언
제1장 울산대학교 근무의 계기
1. 우연이 계기가 된 필연
2. 미국 체류 중 전격 서울 방문
3. 심사숙고 겨를 없이 초빙 수락
4. 결심 후의 번민
제2장 임기 10년을 넘어서다
1. 임기를 시작하며
2. 2번째 임기에 다가서며
3. 3번째 임기에 다가서며
4. 임기 종료 1년여를 앞두며
제3장 역할의 정립과 다짐
1. 백지상태에서 객관적 진단 노력
2. 「자율성」속에 가려진 「혁신 의지」 촉진
3. 대학의 보편적 목표에 구성원의 공감 유도
4. 재단에 대한 기대 이전, 대학 스스로의 노력
제4장 대학 의사결정 체계의 정비와 쇄신
1. 「시스템 경쟁력」 확립
2. 객관적 정보의 확인, 합리적 결정의 출발점
3. 「위임·전결」의 유연성과 「재량·관행」에 대한 자기규제
4. 결정과정의 기록 정비
제5장 인력·예산의 쇄신
1. 경직성 경비의 조정과 재정수지의 균형
2. 직원 구조조정
3. 미래수요를 감안한 교수 충원
4. 예산심의의 정상화와 정례적 쇄신
5. RIS 사업 종료, 16억 원 반환
제6장 아시아대학총장회의(2017년) 울산 개최
1. 회의 유치 과정
2. 국제회의 토론 내용
3. 교비 사용에 대한 우려 해소
제7장 글로컬대학30 선정
1. 글로컬대학30 1차 심사
2. 최종 지원과정과 선발의 불확실성
3. 숙연했던 대면평가
4. 첫 해, 「10개 대학 선정」의 순간
5. 글로컬대학30 선정의 의미
6. 글로컬대학30 사업의 집행
제8장 「의대 교육」의 울산 현지화와 「아산의학관」준공
1. 「울산에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 제기
2. 의대·병원 간부들의 낙관적 전망과 한계
3. 「울산에서 의학 교육 실시」 입장 정립
4. 교육부, 대학간부 징계와 「울산에서의 교육 실시」 요청
5. 울산 「아산의학관」출범
6. 「의대 교육장」결실의 시사점
7. 의대 증원의 빛과 그림자
제9장 울산대병원의 역할 정립과 혁신
1. 울산대병원의 「부속병원」 전환
2. 상급병원 탈락의 충격
3. 상급병원 복귀와 혁신 분위기 형성
4. 혁신의 출발 : 비용구조 개선 통한 재정 건실화
5. 혁신의 성공 요인 : 지속적 리더십과 팀워크 정신
제10장 하드웨어(hardware) 부문의 완성사례
1. 울산 산학융합지구 분교(分校) 출범
2. KCC 생활관 신축
3. 아산도서관 공간혁신 사업
4. 대학 후문 교지의 「공용 인도(人道)」조성
5. 글로컬교육센터 건립(안)
제11장 임기 10년 기간의 리더십 유형
1. 「managerial leadership」의 시발(始發)
2. 「institutional leadership」의 진전(進展)
3. 「innovative leadership」의 격상(格上)
글을 마무리 하며
〈부록〉
1. 월간중앙 인터뷰(2019.2.20.)
2. 코리아중앙데일리 인터뷰(2017.2.20.)
출처:본문중에서
4. 출판사서평
이 책을 읽다 보면,
•‘시스템 경쟁력’과 ‘리더십의 유형’이 대학 운영에 미치는 영향
•교육 현장을 지역에 뿌리내리기 위한 결단의 과정
•국제회의 유치와 대형 정부사업 선정의 숨은 이야기
를 흥미롭게 따라갈 수 있습니다.
『울산대학교 10년, 기록과 성찰』은 대학 리더십과 공공경영의 실제 사례를 알고 싶은 사람, 조직 변화의 길목에 선 사람, 그리고 ‘책임 있는 리더’가 되고자 하는 모든 이에게 유익한 책입니다.
출처: 「 울산대 10년 : 긍지와 책무 」 출판사 울산대학교출판부
'2025년 추천도서(25.3~) > 2025-09'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의 추천도서 (4568) 평화를 여는 역사 (1) | 2025.09.04 |
---|---|
9월의 추천도서 (4567) 예술가의 서재 (1) | 2025.09.03 |
9월의 추천도서 (4566) 거래의 기술 (1) | 2025.09.02 |
9월의 추천도서 (4565) 호의에 대하여 (2) | 2025.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