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 소개
『고사성어 문화답사기』제1권《하남 산동편》. 고사성어에 대해 알아본다. 중국에서 수천, 수백년 전에 탄생한 고사성어가 어떻게 생겨났는지를 알아본다. 산동편에서는 하남성과 산동성에서 발생한 고사성어에 대해 알아본다. 그 외에도 그 밖의 더욱 재미있는 고사성어들을 소개한다.
출처 : 교보문고
2. 저자
강영매
이화여자대학교 중문과 졸업. 국립대만사범대학교 중문학 석사. 대만문화대학교 일문학 석사. 연세대학교 중문학 박사. 현재 이화여대 언어교육원 주임강사. 연세대·이화여대·한국사이버대에 출강중이며 간행물윤리위원회 심의위원이다. 동아시아의 인문학과 문화에 연구를 집중시키고 있으며, 특히 한·중·일의 연극에 관심이 많다. 오랜 유학 생활과 수십 군데에 이르는 중국 박물관 견학 및 유적지 답사가 본서의 집필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논문으로는 「탕현조 모란정 연구」, 「이노우에 야스시의 중국 역사소설 연구」, 「모란정 시공간 구조 분석」, 「모란정과 파우스트의 합창의 의미」, 「춘향전과 모란정의 천자문 수용 양상」, 「모란정 언어 기교의 해학성」, 「모란정에 나타난 화신의 의미와 상징성 고찰」, 「한중 공연문화 교류 현황」 등 다수가 있다. 저·역서로는 『강영매의 한자여행』, 『한자특강』, 『동양 고전극의 재발견』, 『춘향 예술의 양식적 분화와 세계성』(공저), 『중국통사』(전 4권), 『중국역사박물관』(전 10권), 『중국의 성문화』, 『굴원』, 『채문희』, 『백록원』(전 5권), 『선월』, 『중국인의 꾀주머니』(공역) 등 다수가 있다.
출처 : 교보문고
3. 목차
책머리에
고사성어―문화 콘텐츠의 보고
하남성에서 발생한 고사성어
하남성―코끼리가 살았던 곳
은허에서 듣는 망국의 노래 맥수지가
은나라의 잔혹한 형벌 포락지형
이 멋진 청동잔에 안 마시고 어쩌랴? 주지육림
굶어 죽은 충절지사 백이와 숙제 채미지가
산을 옮긴 할아버지 우공이산
낙양에 온 못생긴 촌뜨기의 베스트셀러 낙양지가
낙양―석양이 아름다운 도시
이 시대에 만나고 싶은 사람 목인석심
삼문협에서 사라진 괵나라를 애도하며 순망치한
함곡관의 닭 울음소리 계명구도
닭의 머리가 될지언정 쇠꼬리는 되지 말라계구우후
악비는 중국의 민족 영웅인가? 진충보국
포청천의 얼굴은 왜 검을까? 철면무사
하늘이 무너지면 어쩌지?기우
산동성에서 발생했거나 그곳과 관련된 고사성어
산동성―성인의 고향
성인의 고향 곡부와 공자 이야기위편삼절
맹자의 고향을 서성이며발묘조장
멀고도 먼 조식의 무덤 가는 길 재고팔두
키 작은 안자와 그의 마부 득의양양
맛있는 귤이 회수를 건너면 탱자가 되느니귤화위지
맹상군 이야기(1)포의지교
맹상군 이야기(2)교토삼굴
중국의 역대 미남자들을 그리며 문전성시
그 밖의 더욱 재미있는 고사성어들
아, 사랑하는 우희여! 어찌해야 좋단 말이냐? 사면초가
중국의 미남 혜강 군계일학
이 목숨 대신 명검을 만들 수 있다면 간장막야
중국의 역대 동성연애 여도지죄
용 문화의 최고봉 화룡점정
사합원에서 느끼는 우물 안 개구리 정저지와
부러운 우정 백아절현
출처 : 본문 중에서
'2018년 추천 도서(18.3~19.2)'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의 추천도서(1926) 고사성어로 친구 만나 우정의 댓글달기 - 전경남 (0) | 2018.06.09 |
---|---|
6월의 추천도서(1925) 고사성어 문화답사기. 2 - 강영매 (0) | 2018.06.08 |
6월의 추천도서(1923) 나를 지키며 일하는 법 - 강상중 (0) | 2018.06.06 |
6월의 추천도서(1922) 고문진보 후집 - 황견 (0) | 2018.06.05 |
6월의 추천도서(1921) 고문진보 전집 - 황견 (0) | 2018.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