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 소개
담배는 조선 후반 300년 역사를 비춰 보여주는 거울이다 !
천하 남녀 노소가 즐기고 마침내 임금까지 온 백성이 누리길 바랐던 물건. 조선뿐 아니라 몽골과 일본까지 사로잡고 교역의 중심에서 경제를 들었다 놨다 했던 그 물건. 바로 ‘담배’다. 조선의 문화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임금의 마음까지 사로잡은 ‘담바고’의 문화사를 탐구한 책이 출간됐다.
『담바고 문화사』는 ‘담바고’라는 키워드 하나로 숨 가쁜 변화를 겪어내고 있던 조선시대부터 구한말까지의 단면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책으로 만백성이 담배 피울 날을 꿈꾼 정조의 이야기에서부터 일제의 침략으로 융성했던 담배 문화가 빛을 잃어가게 된 이야기까지 그 문화사를 생생하게 담아냈다.
지금 세상에서 담배는 인류의 건강을 해치는 백해무익의 암적인 기호품으로 자리 잡고 있지만 저자는 ‘담배는 조선 후반 300년 역사를 비춰 보여주는 거울이다.’ 라고 말한다. 담배를 빼놓고는 문화, 취향, 문물의 전파와 정착, 사회상을 실감나게 말하기 어려운 것이다. 조선시대 사람들의 생활 속 깊숙이 자리 잡고 있던 담배를 다루고 있는 만큼 책은 어떤 역사서보다 생생한 조선인들의 생활사를 소개하고 있다.
출처 : 교보문고
2. 저자
저자 안대회安大會는 연세대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궁극의 시학―스물네 개의 시적 풍경』 『천년 벗과의 대화』 『벽광나치오』 『조선을 사로잡은 꾼들』 『정조의 비밀편지』 『고전 산문 산책』 『선비답게 산다는 것』 『18세기 한국한시사 연구』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완역 정본 북학의』 『추재기이』 『한서열전』 『산수간에 집을 짓고』 등이 있다.
출처 : 교보문고
3. 목차
머리말_ 담바고를 말하다
1부 담배의 도래
1. 이름의 기원: 담바고, 그 연기의 이름
깊이 읽기 1. 담배를 한 글자로 만든다면
2. 담배의 유입: 신세계 향초의 도래
3. 중국으로 전파: 황제도 못 말린 청나라 군대의 망우초 사랑
깊이 읽기 2. 담배의 전설
4. 고급 담배 지사미: 지사미 전성시대
2부 원하고 원망하다
5. 말세의 취미: 술과 차를 뛰어넘는 기호품 세계의 새 왕좌
6. 애연가의 계보: 골초의 탄생
깊이 읽기 3. 용고뚜리, 철록어미
7. 금연론자의 계보: 금연을 실천한 명사들
8. 흡연의 이유: 아는 사람만 아는 담바고 ‘땡기는’ 순간
깊이 읽기 4. 담배를 잊지 못하는 곳 그 어딘가?
9. 남령초 책문: 애연가 정조의 흡연 권장
3부 명품과 취향
10. 조선의 명품: 테루아르의 맛 ‘진삼미’
11. 담뱃대 미학: 장죽의 품격, 곰방대의 다정함
12. 흡연도구와 공예예술: 궁극의 사치
13. 의학적 효용: 약초, 독초, 혹은 취미의 문제
깊이 읽기 5. 담배 먹고 자결하다
14. 코담배: 가루를 마시고 재채기를 하다
4부 담배와 모럴
15. 흡연논쟁: 담배는 불온하다
16. 미풍양속의 파괴자: 이성을 유혹하고 부모를 멀리하게 하는 요물
17. 이덕무의 흡연 예절: ‘식후 땡’에도 예의가 있어야지
깊이 읽기 6. 이옥과 이규경의 흡연 에티켓
18. 흡연 규범의 확립: ‘맞담배’와 교내 흡연을 불허하노라
19. 여성과 아동의 흡연: 장죽 문 아이, 부뚜막에 걸터앉은 계집종
20. 기생의 흡연: 기생의 손에는 왜 항상 담뱃대가 들려 있나
5부 담배와 경제
21. 17세기의 국제 담배 무역: 수지맞는 거래, 은밀한 협상
22. 동아시아 3국의 담배 교류: 조선의 일본 담배, 중국의 조선 담배
23. 생산과 판매: 곤궁한 선비가 끼니를 잇는 법
24. 거래와 유통: 담배 가게 아저씨는 부자라네
25. 담뱃값과 전매제: 출렁이는 담뱃값과 담배에 세금 매기기
6부 예술 속 담배
26. 춘향전과 담배 문학: 춘향이 옥수로 담배를 권하노니
27. 담배의 한평생: 가전 「남령전」의 세계
28. 끽연시와 노래: 오직 ‘너’뿐인 담배를 노래하다
29. 담배와 회화: 그림 속 담배
깊이 읽기 7. 호랑이 담배 먹던 시절
7부 구한말 흡연 문화의 격변
30. 위정척사파의 금연운동: 나라를 위해 담배를 끊다
31. 전통 흡연 문화의 소멸: 장죽의 슬픈 운명, 침투된 평등으로서의 권연
맺음말_ 담배 문화 연구가 이옥과 그들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출처 : 본문 중에서
'2019년 추천 도서(19.3~2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의 추천도서(2267) 당나라 뒷골목을 읊다 - 마오샤오원 (0) | 2019.05.16 |
---|---|
5월의 추천도서(2266) 인간의 위대한 스승들 - 제인구달 외 (0) | 2019.05.15 |
5월의 추천도서(2264) 담론의 탄생 - 이광주 (0) | 2019.05.13 |
5월의 추천도서(2263) 불 보살의 본적 - 이성법 (0) | 2019.05.12 |
5월의 추천도서(2262) 고요할수록 밝아지는 것들 - 혜민스님 (0) | 2019.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