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 소개
빛은 어디로부터 오는가?
소설가로 변신한 사회학자 송호근, 작가 김사량의 삶 속으로 들어가다.
일제강점기, 도쿄제국대학 재학 중 집필한 소설 《빛 속으로》로 일본 아쿠타가와상 후보작에 오른 천재 작가 김사량. 일본어와 한국어를 넘나들며 하층민의 삶을 기록해 나간 그의 작품에는 박경리의 역사적 울혈, 백석의 토속적 감성, 김승옥의 근대적 감각의 원형이 도처에 발견된다. 그럼에도 분단 이후 이념 대결 과정에서 그는 완전히 잊힌 존재가 되어 버렸다. 이데올로기의 시대, 한국문학사는 북한 인민군 종군작가로 변신한 그를 결코 받아들일 수 없었다.
무엇이 그의 극적인 변신을 이끌었나? 그가 그토록 찾고자 했던 ‘빛’은 무엇인가?
그가 겪은 시대적 고통은 결국 분단 현실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거울이다.
출처 : 교보문고
2. 저자
저자 송호근은 한국의 대표적인 사회학자. 정치ㆍ경제ㆍ사회에 대한 정교한 분석과 필체로 국내외에 널리 알려진 학자이자 칼럼니스트이다. 1956년 경북 영주 출생으로, 초등학교 교사인 아버지를 따라 일찍 상경, 효창동 인근에서 유년기를 보내고 서울중ㆍ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재수를 해서 서울대 사회학과에 입학했는데 주로 인문학부 근처를 배회했다. 대학신문 학생기자를 하다가 4학년 때 대학문학상 평론부문을 수상했다. 제목은 “문학적 상상력의 사회학적 구조”, 문학과 사회학의 경계에 섰다. 신문기자를 지망했으나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광주 MBC 건물이 불타는 광경을 보고 고민하다가 미국 유학을 결심, 1989년 하버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춘천 한림대 재직 시 인근에 허름한 농가를 마련해 집필실로 쓰고 있다. 1994년부터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회학ㆍ사회비평 관련 저서 25권과 논문 다수를 저술했다. 가장 아끼는 책은 《인민의 탄생》, 《시민의 탄생》이고, 《나타샤와 자작나무》를 좋아한다. 문학적 성정을 다스려 소설 《강화도》를 썼다. 2017년 이병주 국제문학상을 수상했다.
출처 : 교보문고
3. 목차
작가의 말 5
고향만리
태항산채 15
전투 28
취조 38
노선분열 47
의무대원 홍숙영 53
자작나무 숲 62
의무동 71
진격명령 77
회상 82
종전 방송 89
축제 93
고향만리 98
장지민 동지 102
이별예감 110
혁명 풍문 115
숙영의 절규 122
김두봉 128
신다니 도시오 140
허정숙 145
작별 152
아버지를 찾아서
김봉현 기자 161
자유실천문인협의회 169
아버지의 기억 175
김달수 182
퍼즐 189
도쿄 시절 199
《제방》 동인 206
장마 216
중앙정보부 221
정욱제 227
이서현 부장 237
강채원 247
추적 253
다시, 빛 속으로
전화 269
부산행 275
전쟁 282
미처 못 한 말 296
비밀협약 308
하동으로 319
현준식 329
다시, 빛 속으로 336
마지막 편지 341
김사량 연보 351
참고문헌 356
출처 : 본문 중에서
4. 출판사 서평
경계에 선 작가 김사량
일제강점기 말의 작가 김사량(金史良, 1914~1950)은 26세에 쓴 소설 《빛 속으로》로 1940년 아쿠타가와상 후보작을 수상했다. 당시 심사위원이었던 1968년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는 김사량의 작품을 수상작으로 내정했지만, 그가 ‘반도인’이라는 이유로 후보작을 줄 수밖에 없었다. 이후 일본어와 한국어를 넘나들며 이루어진 그의 작품활동은 민족성, 토속성을 근간으로 했지만, 궁극적으로는 지역을 넘어선 근대적 보편성을 추구했다. 작가 황석영은 그의 작품을 읽고 “조선과 일본을 넘어선 동아시아의 당대 보편성 속으로 훌쩍 넘어가 버렸다. 식민지의 ‘우물 속을 벗어난’ 젊은 루쉰을 보는 느낌이었다”고 평한 바 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와 이후 이어진 해방공간이라는 시대적 혼란은 그의 문학을, 삶을 삼켜 버렸다. 일본 황군 위문단으로 북경에 파견된 그는 일제의 억압을 벗어나고자 연안의 태항산으로 탈출하였고, 그곳에서 조선의용군 선전대에 가담하였다. 광복 후 고향 평양으로 돌아가서는 북조선예술가총연맹 간부로, 6ㆍ25전쟁 종군작가로 활동해야만 했다. 이러한 격변 속에서 김사량의 글은 이데올로기적 도구가 되어 투박하게 변해 갔으며, 전쟁으로 목숨마저 잃어야 했다. 그리고 이후 이어진 체제대결 상황에서 그의 문학은 남ㆍ북 모두에서 삭제되었다.
빛은 어디로부터 오는가?
“분단 이후 무엇이 김사량의 글을 그토록 변하게 만들었는가? 혼란스러운 시대상황 속에서 그가 찾아 헤맨 ‘빛’은 무엇이었는가?” 송호근 작가는 자신이 오랫동안 품어 온, 그리고 김사량 문학 연구자들이 해석하지 못한 이러한 의문에 스스로 답하고자 주어진 자료와 사회학적 상상력을 토대로 “상상의 집을 지어 올”렸다. 문학이라는 형식을 빌려 역사적인 연구를 통해서는 접근할 수 없었던 김사량의 삶, 그리고 그가 추구한 ‘빛’에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한 것이다. 그는 전작 《강화도》로 소설에 입문하게 된 계기에 대하여 “객관의 세계를 떠나 소설적 상상력을 통해 지금 현실을 보여 주고 싶었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하여 송호근 작가는 김사량으로 대표되는 당대 사람들의 정신과 육체가 체제와 이데올로기로 인하여 얼마나 망가졌는지를 생생하게 묘사한다. 사회학 연구로는 묘사할 수 없었던 시대적 아픔을 소설이라는 형식을 통하여 보다 실감나게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빛은 이데올로기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인간의 삶을 야만으로 몰고 가는 모든 억압의 가면을 벗기는 행위가 빛이다.” 소설 속 화자를 통해 송호근 교수가 말하는 ‘빛’의 의미이다.
아버지를 찾아서
기록된 바 없는 분단 이후 김사량의 삶을 찾아 나가는 소설 속 주체는 그의 아들이다. 김사량 본인이나 제3자가 아닌 아들의 시선을 통해 그를 발견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사실 김사량의 아들로 대표되는 전후 세대는 ‘아버지가 없는 세대’, 즉 정신적 중추가 없는 세대이다. 일제강점기를 거쳐 온 아버지 세대의 굴종을 부정해야 했고, 6ㆍ25전쟁에 휘말렸던 전쟁 세대의 정신적 빈곤을 거부해야 했다. 누구로 돌아가야 하는가? 누구를 정신의 버팀목으로 설정해야 하는가? 이는 20세기 한국의 정신사적 문제의 핵심이라는 것이 송호근 작가의 진단이다. 결국 아들이 김사량을 찾아 나가는 과정은 김사량이 겪은 고통을 추체험하고 이해하는 작업임과 동시에 대한민국을 성장시켜 온 전후 세대의 정신적 혼란을 진단하고 치유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그리고 소설을 통해 다시 오늘의 세대 또한 전후 세대의 아픔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나남
'2019년 추천 도서(19.3~2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의 추천도서(2255) 닥터스 1,2 - 에릭 시걸 (0) | 2019.05.04 |
---|---|
5월의 추천도서(2254) 다하우에서 온 편지 - 앤 부스 (0) | 2019.05.03 |
5월의 추천도서(2252) 다산시선 - 정약용 (0) | 2019.05.01 |
4월의 추천도서(2251) 다산선생 지식경영법 - 정민 (0) | 2019.04.30 |
4월의 추천도서(2250) 다빈치의 비밀노트 - 마리오 타데이 (0) | 2019.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