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2월의 추천도서(339) 대학.중용 - 자사(子思) 외


 

 

책소개

 

대학(大學)의 도리는 밝은 덕을 밝히는 데 있고,
백성을 새롭게 하는 데 있으며,
지극히 선한 곳에 머무르는 데 있다.
중(中)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의지하지 않아서
지나치거나 모자람이 없는 것을 말하고,
용(庸)은 평범하고 일상적인 것이다.

▶ 유교 사상의 겉과 속, 시작과 끝이라 할 수 있는 『대학』과 『중용』을 한 권에 수록하여 유학의 철학적 이상과 실천적 방법론을 함께 공부할 수 있도록 했다.
▶ 『대학』과 『중용』의 체계를 완성시키고 이에 대한 해설을 집대성한 『대학장구』와 『중용장구』를 함께 옮겨 실어 원문을 정확하고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 새롭고 쉬운 한글 번역을 통해 누구나 쉽게 원문을 이해할 수 있게 했다.
▶ 장과 절로 나누어 번역과 해석을 함으로써 독자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했다.
▶ 사서를 완역한 철학자의 상세한 【작품해설】을 통해, 자사의 생애와 대학·중용의 핵심사상을 일목요연하게 짚어볼 수 있게 했다.

◈ 동양 고전의 핵심 『대학·중용』의 번역 완결판 출간!

펭귄클래식 코리아에서 발간한 『대학·중용』은 사서의 처음과 끝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학』과 『중용』을 한 권에 묶어 대학과 중용의 가장 공신력 있는 해설서인 주자의 『대학장구』와 『중용장구』를 완역해서 함께 펴낸 책이다. 지금까지 출간된 『대학』과 『중용』 번역서 및 해설서, 『대학장구』와 『중용장구』 번역서의 취약점들을 보완한 『대학·중용』 번역서의 완결판이다. 이 책이 주목할 만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문 번역의 딱딱함과 이해 불가능한 음독식 번역의 한계를 바로잡아, 이해할 수 있는 현대어로 쉽게 번역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한자가 없이 번역문만을 읽어도 이해하고 깨달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주력하였다.
▶대학과 중용을 읽는 기초인 『대학장구』와 『대학장구』의 형식을 따르도록 하였다. 사서를 읽는 데는 원칙이 있는데, 이것은 사서 풀이의 집대성이라고 칭해지는 주자의 『사서집주』를 읽는 것이다. 대학-논어-맹자-중용, 이 네 개의 경서는 오래전에, 여러 세대에 걸쳐 많은 사람들의 손에 의해 편집된 것이어서 그 체제나 해석에 오류나 실수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까지 아우르는 주자의 해설서는 사서를 읽는 기본인 것이다. 따라서 주자의 『사서집주』가 아니고서는 사서를 제대로 읽었다고 할 수 없는데, 펭귄클래식 판 『대학·중용』은 바로 『사서집주』 중 『대학장구』와 『중용장구』의 체제를 그대로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원문의 의미를 훼손하거나 오해의 여지가 있는 옮긴이의 풀이는 별도로 하지 않았다.
▶원서는 물론 해설서 『대학장구』와 『중용장구』의 번역 또한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펭귄클래식 판 『대학·중용』은 『논어』에 이어 아직 미출간된 『맹자』까지 사서를 모두 우리말로 옮기고, 평생 유학을 공부하고 그 사상을 실천하려 한 최영갑 유교철학 박사의 연구 성과를 총집대성한 일목요연하고 간결한 번역을 자랑한다. 이번 번역은 그 자체로 하나의 연구 성과이다. 이해할 수 있는 번역이라는 점과, 번역 자체가 내용에 대한 해설과 풀이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원문 해석과 현토는 선조 때 발간한 정보 『사서삼경언해』와 율곡 이이가 선조의 명으로 사서에 구결을 달고 언해한 『대학율곡선생언해』 및 『중용율곡선생언해』를 참조하였다. 율곡은 죽을 때까지 사서언해의 초고만 마치고 세상을 떠났으며, 그가 세상을 떠난 후 율곡의 언해가 바탕이 되어 관본 언해가 완성된다.
▶간결하고 일목요연한 편집을 자랑한다. 1) 원문의 한자를 처음에 배치 2) 원문의 음독을 바로 아래에 배치 3) 원문 번역을 다음에 배치 4) 그에 대한 주자의 해석(대학장구/중용장구 내용)을 마지막에 배치함으로써, 원문을 눈으로 읽고 입으로 읽으면서 바로 그 내용을 우리말로 번역하고 그 뜻이 무엇인지 알 수 있게 하는 짜임새 있는 체제를 갖추었다.

◈ 사서의 시작과 끝-【대학】【중용】

유가의 경전 가운데 사서(四書)를 읽을 때는 순서가 있다. 가장 먼저 『대학』을 읽고 『논어』, 『맹자』, 『중용』의 순서로 읽어야 한다는 말이다. 이러한 주장은 『대학』이 유학의 전체 줄거리를 볼 수 있게 해주고 『중용』이 형이상학적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본 책은 가장 먼저 읽어야 할 『대학』과 가장 나중에 읽어야 할 『중용』을 한데 묶어 놓았다. 명대 이후 제본의 편의를 위해 『대학』과 『중용』을 묶어서 편찬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오늘날도 이러한 경향이 많다.
『대학』은 사서(四書)의 하나로, 『예기(禮記)』 49편 가운데 42번째 편이었고, 『중용』 역시 사서의 하나로 『예기』 가운데 31번째 편이었다. 주자(朱子)는 『사서집주(四書集注)』의 하나로서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어 주석(註釋)을 가하고, 소학(小學)에 대응한 대학 교육의 목적과 방법을 분명히 함으로써 사서 중 하나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하였다.
후한(後漢)의 정현을 비롯한 많은 학자들이 주석서를 남겼으나, 이것들을 총정리한 것이 주자의 『중용장구』이다. 정호 · 정이는 『중용』을 공문(孔門)의 전수심법(傳授心法)이라고 중시하였고, 주자는 『중용장구』와 아울러 『중용혹문』을 지어 중용의 뜻을 천명하고 사서로 표장하였다. 현존하는 『중용』은 총 3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서 중에서 가장 나중에 읽어야 할 만큼 심오한 이치가 담겨져 있는 책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중용』은 성리학의 전래 이후 학자들 사이에서 필독의 도서로서 널리 읽혀졌다.

◈ 【대학·중용】의 사상

▶ 『대학』의 핵심 사상

『대학』은 유교철학 전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내용이 담겨 있기 때문에 사서 가운데 가장 먼저 읽어야 하는 책이다. 유교의 최종 목적지인 지선의 세계와 그곳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되어 있는데, 삼강령(三綱領)과 팔조목(八條目)이 바로 그것이다. 삼강령은 명명덕(明明德), 신민(新民), 지어지선(止於至善)이고, 팔조목은 격물(格物) · 치지(致知) · 성의(誠意) · 정심(正心) · 수신(修身) · 제가(齊家) · 치국(治國) · 평천하(平天下)를 말한다. 『대학』은 유교적인 실천철학(實踐哲學)의 방법론(方法論)을 제시한 것이며 덕치주의(德治主義)의 개론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서로 표리(表裏) 관계에 있는 『중용』이 천도(天道)를 논한 것이라면, 이 책은 인사(人事)를 논한 것이 특징이다.

▶ 『중용』의 핵심 사상

『중용』은 사서(四書) 가운데 가장 마지막에 읽어야 한다. 그 이유는 유교의 철학적 내용이 집약되어 있기 때문이다. 『중용』의 핵심은 크게 중용과 성(誠)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사는 공자의 중용사상을 계승 발전시켜 ‘양단(兩端)을 잡아 중(中)을 사용하는[執兩用中]’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 “중이란 천하의 큰 근본이요, 화란 천하의 공통된 도이다. 중과 화를 이루면 천지가 제자리로 돌아가고 만물이 제대로 길러진다.”라고 하여 중과 화를 우주의 근본법칙으로 설정하고 이 법칙에 따른다면 만물이 제자리를 얻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천(天)에서 부여받은 성(性)을 말하여, 인도(人道)의 본원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도덕적인 성(誠)을 세계의 본체로 보고 만물이 여기에서 파생된다고 하여 “성실함이란 사물의 끝과 시작이니 성실하지 않으면 사물이 없는 것과 같다.”라고 하였다. 또 “성실한 것은 하늘의 도요, 성실하고자 하는 것은 사람의 도리”라고 하여 천도의 성(誠)이 사람에 있어서는 성(性)이 된다고 설명하면서 천인합일(天人合一)의 경지를 말하였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도덕 수양을 제시하여 신독(愼獨)·택선고집(擇善固執) 등을 통해 인간의 내면 수양이 성(誠)의 경지에 도달한다면 신(神)·천(天)과 통할 수 있다고 하였다.

 

저자소개

 

저자 - 자사
저자 자사(子思)(B.C. 483~402)의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사기(史記)』 「공자세가(孔子世家)」에 따르면, “공자는 아들 이(鯉)를 낳았고, 이의 자(字)는 백어(伯魚)이다. 백어는 나이 50세에 공자보다 먼저 죽었다. 백어는 아들 급(伋)을 낳았고, 급의 자(字)가 자사이다. 62세까지 살았다. 자사는 일찍이 송나라에서 고생을 했었고, 후에 『중용(中庸)』을 지었다.”라고 하였다. 자사의 아버지 공리에게는 두 부인이 있었는데 전처 외에 후처에게서 자사를 보았으나 성명은 전하지 않는다. 다만 『예기』 「단궁」편에 서씨(庶氏)의 어머니라고 언급되어 서씨 집안으로 재혼하고 아버지가 다른 동생이 있었던 것 정도만이 확인된다. 뒤에 위나라에서 자사의 생모가 사망하여 자사에게 부고를 전하자 그는 복을 입고 곡을 하였다. 이후 자사의 한 제자가 그를 찾아와 서씨의 어머니가 사망했는데, 왜 공씨가 곡을 하느냐 라고 항의하자, 그는 공식 석상에서는 곡하지 않고 별실을 만들고 곡을 하였다고 한다. 장년 시절에 위(衛)나라에서 벼슬하다가 후에 노나라로 돌아갔으며 목공(穆公)으로부터 빈사(賓師)의 예(禮)를 받았다. 증삼(曾參)에게서 수학하였으며, 그의 문인이 맹자(孟子)에게 학문을 전수함으로써 사맹학파(思孟學派)를 형성하였다. 이것에 대하여는 직접 맹자가 공급으로부터 학문을 배웠다는 등의 이설(異說)이 있으며, 또한 그의 대표적인 저작이라는 『중용』에 대해서도 이설이 많아 진한(秦漢) 때의 저작이라는 설도 있다. 그러나 『공자세가(孔子世家)』의 설을 견지한 주자 등 성리학자(性理學者)들은 공급의 저작으로 보았다.

저자 - 주희
저자 주희(朱熹, 1130~1200년)는 중국 남송(南宋)의 유학자로, 주자(朱子)라고 존칭되는 성리학의 집대성자이다. 맹자·공자 등의 학문에 전념하였으며 주돈이·정호·정이 등의 사상을 이어받아, ‘오경’의 진의를 밝히고 ‘주자학’을 창시하여 완성했다. 일생을 통해 끊임없이 저술과 교육에 힘써 수많은 저작과 제자들을 남겼고 특히 그의 ‘사서집주’는 동아시아의 과거제도와 사대부 교양의 필수 과목으로 존중되었다. 『대학장구(大學章句)』는 주자가 집필한 『사서집주(四書集注)』의 하나로서, 『대학』에 주석(註釋)을 가하고, 소학(小學)에 대응한 대학 교육의 목적과 방법을 분명히 함으로써 사서 중 하나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하였다. 후한(後漢)의 정현을 비롯한 많은 학자들이 『중용』에 대한 주석서를 남겼으나, 이것들을 총정리한 것이 주자의 『중용장구(中庸章句)』이다. 주자는 『중용혹문』과 아울러 『중용장구』를 지어 중용의 뜻을 천명하고 사서로 표장하였다.

역자 - 최영갑
역자 최영갑은 성균관대 유교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 겸임교수를 지내고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 수석 연구원, 한국문화유산정책활용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였고, 현재는 범국민예의생활실천운동본부 본부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공자와 맹자』, 『공자와 맹자의 도덕철학』, 『N세대를 위한 유교철학 에세이』(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논어』, 『순자』, 『성학집요』, 『성학십도』 등이 있다.

 

목차

 

옮긴이 서문

대학(大學)
대학장구서(大學章句序)
경(經)1장(章)
전1장
전2장
전3장
전4장
전5장
전6장
전7장
전8장
전9장
전10장

중용(中庸)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
제6장
제7장
제8장
제9장
제10장
제11장
제12장
제13장
제14장
제15장
제16장
제17장
제18장
제19장
제20장
제21장
제22장
제23장
제24장
제25장
제26장
제27장
제28장
제29장
제30장
제31장
제32장
제33장
작품해설

 

출처 : 리디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