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12월의 추천도서(277) 논어의 발견 - 이수태 책소개 『논어의 발견』. 「논어」평설서이자 「논어」해석의 새로운 관점을 차분하게 풀어 놓은 책이다. 전통적 해석의 얽매여 온 기존의 학자들과 달리 논어를 자신만의 독특한 시각으로 해석하여 논어 해석의 새 지평을 열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전통적 해석이 잘못됐다고 판단되는 75장을 세심하게 다룬다. 이제까지 논어는 일반적으로 주희의 '논어집주(論語集註)'와 동의어로 받아들여질 정도로 주희의 해석에 절대적으로 의존해왔다. 그러나 저자는 주희의 해석이 덧붙여진 공자론이 아닌 공자의 목소리 그대로를 충실하게 담았다. 진지하면서도 꼼꼼하게 논어를 해석하고 있다. 이 책은 총 6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 ‘제자론’과 ‘사상론’은 자공, 자로, 안연과의 대화를 통해 공자의 사유체계를 풀어내고 있다. 저자는 논어.. 더보기
12월의 추천도서(276) 행복한 책 읽기 - 김현 책소개 이 책에 실린 글들은 김현이 작고하기 전 4년 동안 쓴 일기로,그가 읽은 책, 본 영화, 느낀 이야기 들을 아름답고 섬세한 단상으로 기록함으로써, 그의 사유의 비밀,왕성한 책읽기 작업, 문화와 삶,그리고 그 자신이 예감한 죽음에 대한 뛰어난 성찰들이 수록되어 있다. [YES24 제공] 저자소개 김현 본명은 김광남으로 전라남도 진도에서 태어났다. 1964년 서울대학교 불문과, 1967년 동 대학원 불문과를 졸업하였다. 1971년 서울대학교 전임강사가 된 뒤 1990년까지 불문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대학 재학 시절인 1962년에 평론 「나르시스의 시론(詩論)」을 『자유문학』에 발표하여 문단에 데뷔하였으며, 이후 여러 문예지와 잡지에 평론을 발표하였다. 프랑스의 현대문학과 사상, 특히 실존주의 사상의 .. 더보기
11월의 추천도서(275) 논어(論語) - 공자(孔子) 책소개 시대를 뛰어넘는 삶의 지혜를 전하는 동양철학의 고전 를 번역한 책. 는 공자와 그 제자들이 세상을 사는 이치나 교육, 문화, 정치 등에 관해 논의한 이야기들을 모은 책이다. 공자의 혼잣말, 제자의 물음에 공자가 대답한 것, 제자들끼리 나눈 이야기, 당대의 정치가들이나 평범한 마을사람들과 나눈 이야기 등 다양한 내용이 담겨 있다. 에는 공자의 풍모와 성격이 곳곳에 배어 있을 뿐만 아니라, 당시에 공자와 제자들이 이야기하던 분위기와 말투가 그대로 살아 있다. 이 번역본에서는 다양한 주를 곁들여 의 뜻과 교훈을 생생하게 전해주고, 쉬운 우리말을 통해 원전 그대로의 의미와 분위기를 되살리고자 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소개 공자(孔子) |||공자(孔子)는 춘추시대 말기인 B.C.551년, 현재 .. 더보기
11월의 추천도서(274) 법의 정신 - 몽테스키외 책소개 프랑스의 대표적인 계몽사상가 몽테스키외의 을 소개하는『고전으로 미래를 읽는다』제9권. 은 20여 년에 걸친 방대한 역사적 연구를 바탕으로 몽테스키외가 1748년에 펴낸 역작으로, 2년 동안 22판을 거듭할 만큼 큰 성공을 거둔 그의 대표적 작품이다. 몽테스키외는 법은 물적, 정신적, 사회적 현실과 관련 있는 것으로, 경험과학적으로 이해하였다. 에서는 집행권, 입법권, 사법권의 상호통제의 정교한 체계를 주장한다. 또한 각 민족의 정체, 풍습, 풍토 등에 적합한 법의 탐구를 시도하고 있다.[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소개 몽테스키외 프랑스의 사상가(계몽사상의 대표자 중 한 사람). 1689년 보르도 시 근교의 샤토 라 브레드에서 귀족의 아들로 출생했다. 11세 때 파리에서 북동쪽으로 12킬로미터 떨어.. 더보기
11월의 추천도서(273) 논리학체계(System of Logic) - 존 스튜어트 밀 논리학체계(System of Logic) - 존 스튜어트 밀 책소개 영국의 경제학자 J.S.밀(1806∼73)의 대표적 저서. 2권. 1843년 간행. 귀납논리학(歸納論理學)의 체계화를 목적으로 하여 쓴 책이다. 전통적 방법론으로 연역법에 대하여 귀납적 추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귀납법을 자연과학·심리학·사회학의 방법론으로 삼으려고 하였으나 그 타당성 여부에 대한 명증성(明證性)이 결여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저서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의미론상으로 말(word)과 관행적 내포(慣行的內包:connotation)와 객관적 외연(客觀的外延:denotation)을 구별한 점이다. 저자소개 존 스튜어트 밀 (1806 ~ 1873) 19세기 영국의 철학자이자 경제학자. 벤담의 양적 공리주의와 구분되는 질적 공리주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