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년 추천도서(24.3~25.2)

6월의 추천도서 (4117) 캐스린 수녀의 우울증에서 살아남기 1. 책소개   「후회에서 벗어나기」 저자의 새로운 책. 우울증 진단과 기본적인 대처방안 그리고 다양한 영성적 접근이나 훈련들을 제시한다. 저자인 캐스린 수녀는 자신과 주변 지인들의 경험을 통해 우울증이 신앙 안에서 하느님께로 나아가는 새로운 계기가 됨을 알게 해준다.*핵심 독자 : 우울증을 앓는 이들과 이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 이, 우울증 환자, 사회복지사, 우울증 치료사, 신학생, 수도자, 사목자 *확산 독자 : 우울증에 대해 관심 있는 이, 가톨릭 신자, 개신교 신자, 개신교 신학생과 사목자, 의료 종사자  출처:본문중에서    2. 저자   저자 : 캐스린 J. 헤르메스 (Kathryn J. Hermes) 성바오로딸수도회 수녀로 보스턴 신학대학원에서 성서학을 전공하고, 미국 바오로딸출판사에서 ..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 (4116) 큐리어스 (CURIOUS) 1. 책소개    “인간은 호기심을 잃는 순간 늙는다”리처드 도킨스부터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스티븐 핑커까지천재 과학자 26인의 호기심 가득한 어린 시절 이야기 본격적인 AI 시대가 열리며, 일상생활에서 과학의 영향력과 역할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일상과 과학의 경계가 사라진 세상에서는 ‘과학자처럼 생각하고 질문하는 법’이 더욱 필요해진다. 과학자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에는 독특한 구석이 있다. 그들은 똑같은 사물도 다르게 본다. 호기심을 가지고, 열린 시각으로 바라보기 때문이다. 지금껏 발전해온 문명과 과학기술은 모두 호기심 덕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호기심은 ‘인류 발전의 필요조건’이라고도 불린다. 상식적이지만 틀에 박힌 생각 대신, 터무니없고 엉뚱한 생각이 세상을 바꾼다.우리는 사실 모..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 (4115) 바이마르에서 무슨 일이 1. 책소개 지금 한국 문학계와 학계의 심오한 화두이자 뜨거운 화제는 동학의 ‘개벽 사상’이다! 진보적 계간지 ‘창비’를 창간한 한국문학계의 거목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의 『서양의 개벽사상가 D.H. 로렌스』(창비), 철학자 도올 김용옥의 『수운의 동경대전』(통나무) 중견 문학평론가 임우기의 『유역문예론』(솔) 등등, 근래에 수운 동학 및 개벽 사상을 심층적으로 연찬한 이론서들이 연달아 출간된 사례 외에도, 수운의 ‘개벽사상’에 대한 각계 거장들의 큰 관심과 뜨거운 공부 열기는 문학사적으로 그 전례를 찾기 힘든 특별한 현상이다.오늘날 이러한 개벽의 열기와 그 뚜렷한 현상은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가.이 시대정신을 담은 정신사 또는 문화사적 질문에 대한 심오하고 명쾌한 답을 김민환의 장편소설 『등대』와 안삼환..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 (4114) 숙론(熟論) 1. 책소개    “누가 옳은가가 아니라 무엇이 옳은가를 찾으려는 것이다”통섭의 과학자 최재천 교수가 평생 품은 화두불통 사회를 소통 사회로 바꾸는 대화 혁명 우리 시대의 지성인 최재천 교수가 9년간 집필해 마침내 완성한 역작 《숙론》을 출간한다. 갈등과 분열을 거듭하는 시대에 우리는 어떻게 손잡을 수 있을까? 최재천 교수가 찾은 해법은 ‘숙론(熟論, Discourse)’이다. 숙론이란 상대를 궁지로 몰아넣는 말싸움이 아니라 서로의 생각이 왜 다른지 궁리하는 것, 어떤 문제에 대해 함께 숙고하고 충분히 의논해 좋은 결론에 다가가는 것이다.이 책은 우리 사회의 난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저자 자신이 직접 숙론을 이끌었던 사례를 담았다. 대학교수로서 줄기차게 시도했던 토론 수업, 생태학자로서 수족관에..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 (4113) 서울의 자서전 1. 책소개 조선에서 현대까지다시 쓴 서울의 자서전 짓고 무너지고 헐리고 재건하는 세월 속에서 살아남은 장소들50여 개의 풍경 속에 떠오르는 역사의 조각시간은 어떻게 공간이 되고, 공간은 어떻게 역사가 되는가권력을 가까이하지 않은 효령대군과 청권사허름한 장소에서 피어난 긍지, 자지동천과 비우당물속에 잠겼다 다시 떠오른 치욕의 삼전도비독과점과 정경유착을 끊어낸 광교 인근 시장정조의 눈물이 밴 효창동 고개역사의 아이러니가 깃든 궁들하늘과의 거리가 멀지 않았던 화려한 운현궁부암동의 석파정과 염리동의 아소정, 권력의 빛과 그늘  출처:본문중에서    2. 저자 저자 : 신병주 서울대 인문대학 국사학과 및 대학원을 졸업했다.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학예연구사를 거쳐 현재 건국대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