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년 추천도서(22.3~23.2)/2022-3

3월의 추천도서 (3301) 미국인 이야기1, 2, 3 1. 책소개 『미국인 이야기』 1~3은 옥스퍼드 미국사의 첫 책인 〈The Glorious Cause: The American Revolution 1763~1789〉를 3권으로 분권해서 펴냈다. 옥스퍼드 미국사 시리즈는 미국의 정치, 사회, 문화 역사를 알기 쉽게 이야기체로 소개하는 시리즈로, 미국 독립 전쟁부터 현대 미국까지 미국 역사 전반을 다룬다. 현재까지 출간된 12권의 시리즈 중 3권이 퓰리처상을 수상했으며 2권이 최종후보작에 선정됐다. 옥스퍼드 미국사 시리즈의 첫 책인 〈The Glorious Cause: The American Revolution 1763~1789〉는 제국의 변방에서 신대륙의 주인으로 두 번 태어난 미국인의 탄생과 건국까지 파란만장한 일대기를 다룬다. 미국 혁명은 영국의 강압.. 더보기
3월의 추천도서 (3300) 수면의 과학 1. 책소개 어두운 밤, 어딘가로 달아난 잠을 붙잡고 싶은 당신을 위한 잠의 책! ‘잠을 잔다’라는 본능은 인간이 잠을 자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기 때문에 당연한 현상이다. 밤에 잠을 잘 못 잤을 때, 피곤할 때, 견딜 수 없는 스트레스를 받을 때 인간은 잠을 찾고, 자고 싶어 한다. 수면 전문가인 저자가 이 책에서 전하는 메시지는 간단하다. 인간은 잠을 자도록 되어 있으며, 제대로 자야 한다는 것이다! 수면에 장애를 겪는 수많은 환자를 다뤘던 저자는,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해 환자들에게 권했던 혹은 처방했던 다양한 방법과 전략을 이 책에서 상세하게 풀어놓는다. 또 잠을 자려는 인간의 본능을 방해하는 사회학적, 생리학적, 신경학적, 심리적 요인들을 조사하고 대응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이 책을 통해 하룻밤에.. 더보기
3월의 추천도서 (3299) 불편한 편의점 1. 책소개 ※ 인터넷 한정 특별판: 매장 구매, 바로드림 구매 시에는 기존 일반판 표지와 랜덤으로 제공됩니다. 원 플러스 원의 기쁨, 삼각김밥 모양의 슬픔, 만 원에 네 번의 폭소가 터지는 곳! 힘겨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다가온 조금 특별한 편의점 이야기 『불편한 편의점』 15만부 기념 한정판 윈터 에디션 출간! 2021년 4월에 출간되어 15만이 넘는 독자의 뜨거운 사랑을 받고 있는 소설! 청파동 골목의 작은 편의점에서 펼쳐지는 마법 같은 이야기 『불편한 편의점』이 윈터 에디션을 선보입니다. 눈 내리는 밤, 크리스마스 조명을 밝힌 편의점이 등대처럼 든든하게 골목을 지키고 있네요. 전면에 홀로그램 박을 입혀 신비롭게 반짝이는 표지가 특별함을 더합니다. 책 속에는 김호연 작가의 친필 서명도 인쇄되.. 더보기
3월의 추천도서 (3298) 한 번쯤은 나를 위해 1. 책소개 노년을 즐기는 두 가지 자세, ‘과거를 자랑하지 말 것’ ‘학생으로 남을 것’ 40여 년의 직장생활. 회사와 가족을 위해 무소처럼 달려온 세월을 뒤로하고 제2의 인생을 살고 있는 전(前) 포스코차이나 김동진 사장의 에세이, 『한 번쯤은 나를 위해』가 21세기북스에서 출간됐다. 중국 경제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중국 거주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영구 거주권을 얻었고, 한국 철강업계의 대표적인 중국통으로 손꼽히는 김동진 저자는 평사원으로 시작해 최고의 자리까지 이른, 가히 성공한 인물이다. 하지만 그는 퇴직 이후, 지난날에 미련을 두지 않고 새로 태어났다는 생각으로 겸손하게 자신의 인생을 마주하기로 다짐했다. ‘과거를 자랑하지 말 것’, ‘꾸준히 학생으로 남을 것’. 이 두 가지를 노년을 .. 더보기
3월의 추천도서 (3297) 일하다 마음을 다치다 1. 책소개 일터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와 노동자 정신건강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업무상 정신질환과 산업재해를 추적, 연구해온 의료, 법률, 노동 전문가들이 극단적 사례나 질병과 치료에 집중됐던 그간의 방식에서 벗어나 원인과 일터에 주목해 구체적이고 쉬운 말로 노동자 정신건강을 다뤘다. 직무 스트레스의 모형과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 자살 통계 분석, 정신질환과 자살의 산업재해 보상 절차, 직장 내 정신건강 증진 활동 방안 등을 서술했다. 결국 노동자 정신건강은 일하기 좋은 일터를 만드는 데 달려 있다는 결론으로 나아간다. 스트레스와 높은 자살률에 시달리면서도 우리 사회는 정신질환에 관한 이야기를 꺼리고, 일 때문에 얻는 스트레스는 당연한 것이자 각자 극복해야 할 것으로 여긴다. 감정노동,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