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 소개
뉴욕 헤럴드 트리뷴 Newyork Herald Tribune 에 의해 '뉴턴, 다윈, 프로이트, 아인슈타인 그리고 파블로프 이후 가장 중요한 사상가'라는 평가를 받는 이 사람, 바로 커뮤니케이션 이론가 마셜 맥루한이다.
이 책은 <미디어의 이해 : 인간의 확장>와 더불어 맥루한의 가장 대표적인 저서로 손꼽히는 구텐베르크 은하계(The Gutenberg Galaxy)를 번역한 것으로서, 이 책은 1962년에 출간되어 이미 세계 12개국어로 번역되었다.
저자는 <미디어의 이해 : 인간의 확장>에서 미디어의 종류에 따라 인류의 역사를 1. 구두 커뮤니케이션 시대 2. 문자 또는 필사 시대 3. 구텐베르크 시대 4. 전자 시대로 나눈다. 이 책은 그 중에서도 바로 구텐베르크 시대에 대한 독창적인 통찰을 담고 있다. 구텐베르크의 인쇄기가 초래한 '감각의 편향성' 즉, 시각에의 과도한 의존이 필연적으로 세계에 대한 인간의 인식을 왜곡시킨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맥루한의 글쓰기를 가리켜 흔히 이야기되는 것처럼 이 책 또한 '모자이크'적이며, '입체적'이고 '추상적'이다. 이 책은 각각의 큰 주제 아래 "표음문자인 알파벳 기술의 내재화(內在化)는 인간을 귀(耳)라는 마법의 세계에서 중립적인 시각의 세계로 옮겨 놓았다", "정신분열증은 문자 사용의 필연적인 결과일 수 있다" 등과 같은 긴 문장을 제목으로 하는 107개의 글로 이루어져 있다.
맥루한은 이처럼 글자의 자모 안에 유폐되었던 인간의 감각이 전자 시대의 여러 기술에 의해 통감각(sensus communis)을 회복할 것이라고 한다. 인터넷이란 상상조차 하지 못했던 40년 전에 이러한 맥루한의 주장은 마치 예언처럼 오늘날 정확히 맞아떨어지고 있다.
출처 : 교보문고
2. 저자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르네상스 영문학을 수학하고 엘리자베스 시대의 풍자시인 “토머스 내시(Thomas Nashe)의 수사법”(1942)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어섬프션대학교(현 윈저대학교)와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성 마이클 칼리지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토론토대학교에 신설된 ‘문화 및 기술연구소(Center for Culture and Technology)’의 소장으로도 활동했다. 미국 뉴욕 포드햄대학교의 알베르트 슈바이처 체어(Albert Schweitzer Chair)의 명예 교수직을 맡았으며, 사회 커뮤니케이션 문제 담당 교황고문에 임명되기도 했다.
영문학자로 출발한 매클루언은 커뮤니케이션 이론가, 전자시대에 대한 문명비평가 또는 현대 사상가로 알려졌다. 그는 시와 수사, 변증의 흥망성쇠를 통해 지난 2000년에 걸친 커뮤니케이션을 비판적으로 검토해왔다.
그는 『기계 신부: 산업 인간에 관한 이야기』(1951), 『구텐베르크 은하계: 문자 인간의 형성』(1962),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1964), 『지구촌: 21세기 인류의 삶과 미디어의 변화』(공저, 1988)를 포함하여 스무 권이 넘는 책을 썼다. 그의 책은 18개 언어로 번역되었다.
출처 : 교보문고
3. 목차
역자 서문 ...9
머리말 ...13
구텐베르크 은하계 ...29
재편된 은하계 ...503
참고문헌 ...530
맥루한의 사상과 철학/임상원 ...546
출처 : 본문 중에서
4. 책 속으로
우리는 엘리자베스 시대 사람들을 중세인으로 본다. 우리의 후손들은 우리를 어떻게 볼까?
"150년 동안의 활동을 통해 그들이 만들어놓은 중요하고 새로운 요소들의 의미를 충분히 꺠닫지 못한 르네상스인."
전자 시대에 우리는 인간의 상호의존이나 표현에 있어서 새로운 형상과 구조와 대면하고 있다. 이들 새로운 형상과 구조는 "구어적"이다. (...) 인지 형식의 변화는 항상 낡은 인지 형식의 고집 때문에 지연되곤 한다. 우리의 눈에는 엘리자베스 시대 사람들이 중세의 사람들로 보인다. 중세인은 그들 스스로를 고전적인 사람으로 생각했고, 이것은 우리가 우리 스스로를 현대인으로 생각하는 것과 똑같은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의 후손에게 문자 그대로 지난 150년 동안의 활동을 통해 우리가 만들어놓은 중요하고 새로운 요소들의 의미를 충분히 깨닫지 못한 르네상스인으로 보일 것이다. 17
이제 전기 시대가 되어 우리의 기술적 도구 속에 함축되어 있는 공존의 즉시성은 인류 역사에 있어서 진정 새로운 전환점을 낳았다. (...) 하나의 경험적 장 (...) 집합적인 의식 (...) 감각간의 상호작용 (...) 기술이 바퀴나 알파벳 또는 화폐처럼 속도가 느린 것인 한 그들이 분리된 것이고 폐쇄적인 체계라는 사실은 사회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수용될 만하다. 이 시대는 필수적으로 인간의 확장된 감각이 집합적으로 상호작용한다. 21
출처 : 본문 중에서
'2018년 추천 도서(18.3~19.2)'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월의 추천도서(1995) 국가의 사기 - 우석훈 (0) | 2018.08.17 |
---|---|
8월의 추천도서(1994) 국가란 무엇인가 - 유시민 (0) | 2018.08.16 |
8월의 추천도서(1992) 구원 - 자크 스트라우스 (0) | 2018.08.14 |
8월의 추천도서(1991) 구양수 사선 - 구양수 (0) | 2018.08.13 |
8월의 추천도서(1990) 구별짓기 下 - 피에르 부르디외 (0) | 2018.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