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 소개
자본주의의 역동성을 고발한 현대의 고전!
2. 저자
저자 삐에르 부르디외는 1930년 프랑스 남부 딩겐에서 태어났다. 파리고등사범학교에 입학, 철학 교수 자격을 취득하여 고등학교에서 교편을 잡던 중 1958년 알제리 전쟁에 징집되었으며, 전후에는 알제 대학에서 조교로 근무하였다. 그 뒤 파리 대학에서 레몽 아롱의 조교 생활을 했고, 릴 대학 강사를 거쳐 1964년 30대 초반에 사회과학고등연구원의 교수이자 연구주임으로 취임한 뒤 교육문화사회센터(1969년에 유럽사회학센터로 개칭)를 창설해 소장 연구자들과 공동 연구를 추진했다. 1975년 학술연구 잡지인 『사회과학 연구 논집』을 창간, 편집장으로 재직하면서 정치, 경제, 종교, 교육, 예술, 문학, 민족, 언어, 취향, 스포츠에 이르는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었다. 1981년에는 콜레주 드 프랑스의 사회학 강좌교수에 임명되었고, 2002년 타계하였다.
출처 : 교보문고
3. 목차
제3부 계급의 취향과 생활양식
제5장 차별화의 감각 - 지배계급
제6장 문화적 선의(善意) - 중간계급
제7장 필요한 것의 선택 - 민중계급
제8장 문화와 정치
결론: 계급과 분류
후기: '순수'비평에 대한 '통속적'비판을 위하여
부록
옮긴이 후기
사진출전
찾아보기
출처 : 본문 중에서
4. 책 속으로
경제자본과 문화자본, 혹은 더 정확하게 말해서 문화자본의 보증된 형태인 학력자본과 경제자본과의 괴리는 의심할 여지없이 교수층이 사회 질서에 이의를 제기하는 경향을 이루는 기초들 중 하나인데, 그 사회 질서는 교수들의 존재를 승인했던 학력체계의 원리들과는 다른 분류원리를 승인하기 때문에 그들의 업적을 완전히 승인하지 못한다. (p.479 중에서)
6장 문화적 선의- 중간 계급 중 : 문화적 실천과 의견에 대한 앙케트 조사들이 일종의 학교시험의 형태를 띤다는 것은 우연한 일이 아니다. 그런데 그 시험에서 조사대상자들은 언제나 규범에 비추어 판정된다고 스스로 느끼며, 자신들의 학력 면에서의 공인정도에 따라 위계화된 응답을 얻게 되고 내용과 양태 면에서 그들의 학력자격에 언제나 밀접히 대응하는 선호를 나타낸다. 600
어떤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 어떤 종류의 '브랜드'나 상점이 의미하는 '질의 보증'을 신용함으로써 그 제품의 질에 대해 안심하는 것처럼 정통적 투자감각은 출판사,영화감독, 극장이나 음악당의 이름같이 많은 경우 외부적 지표로 무장되는데 이 투자감각은 '선발된'문화소비를 발견하게 해준다. 601
문화의 대량축적의 원리인 축적하려는 격심한 욕구는 극단으로 즉 부조리로 치닫는 재즈나 영화 애호자의 도착perverson에서 매우 분명하게 드러나는데, 이러한 도착은 교양화된 응시의 정통적 정의에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그리고 이러한 도착은 작품의 소비를(영화의 제작진과 타이틀,오케스트라의 편성,녹음날짜 등과 같은)작품에 대한 부대 지식의 소비로 대체한다.혹은 이러한 축적에의 욕구는 사회적으로 미미한 주제들에 대해 고갈되지 않은 지식을 수집하는 모든 이들의 획득하려는 집념에서도 볼 수 있다. 604
(고전작품과 문학상 수상작처럼)확실히 보증된 생산물 606
출처 : 본문 중에서
'2018년 추천 도서(18.3~19.2)'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월의 추천도서(1992) 구원 - 자크 스트라우스 (0) | 2018.08.14 |
---|---|
8월의 추천도서(1991) 구양수 사선 - 구양수 (0) | 2018.08.13 |
8월의 추천도서(1989) 구별짓기 上 - 피에르 부르디외 (0) | 2018.08.11 |
8월의 추천도서(1988) 구르는 천둥 - 더글라스 보이드 (0) | 2018.08.10 |
8월의 추천도서(1987) 구반포상가를 걸어가는 낙타 - 황지우 (0) | 2018.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