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소개
디지털문명과 인공지능의 발전은 지식의 저장과 전수라는 대학의 기존 기능에 일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장관과 포스텍 총장을 지낸 김도연 서울대 명예교수는 최근작 《젊은이를 위한 미래 엿보기》에서 21세기의 문명사적 변화와 도전을 정리하고 그에 따른 대학의 혁신을 촉구하였다. 이어서 이 책에서는 대학 혁신의 구체적 사례로서 2023년 개교한 태재대학교에 주목한다. 학생 개개인이 자신만의 전공을 설계해 나가는 ‘자기 주도 전공 설계’, 소규모 그룹 토론과 문제해결을 위주로 수업을 진행하는 ‘액티브 러닝’, 해외 주요 도시에서 생활하며 해당 지역의 현안을 이해하고 해결책을 모색해 보는 현장체험 ‘글로벌 현장학습’ 등의 새로운 교육방식을 통해 태재대학교는 단순한 지식 전달을 벗어나 미래 사회의 불확실성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복잡한 문제들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을 지향한다.
출처:본문중에서
2. 저자
저자: 김도연
현재 태재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과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일하고 있다. 프랑스 블레즈 파스칼 대학교에서 재료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1982년부터 2008년까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교수로 봉직했다. 재료미세조직 창의연구단장으로 활동하면서 과학기술훈장과 한국공학한림원이 수여하는 ‘젊은 공학인상’을 받았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학장, 교육과학기술부 장관과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2008년부터 2011년까지는 울산대학교 총장, 2015년부터 2019년까지는 포스텍 총장으로 일했다. 현재〈동아일보〉객원논설위원으로 ‘김도연 칼럼’을 연재하고 있으며,〈조선일보〉독자권익보호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저자: 민경찬
국가인재경영연구원 이사장
출처:본문중에서
3. 목차
머리말 - 디지털문명과 대학교육의 미래__김도연 4
Chapter 1 - 미래의 대학, 대학의 미래__민경찬 15
미래의 대학 18
대학의 미래 26
나가는 말 41
Chapter 2 - 보다 안전하고 건강한 미래, 그리고 인재 양성__김도연 45
21세기에 걸맞은 대학교육 47
대학 경쟁력 = 국가 경쟁력 57
미래를 책임질 글로벌 리더 양성 67
Chapter 3 - 태재의 교육과정: 전공지식 아닌 역량 중심 교육__강민수·이나연 73
왜 핵심역량 교육인가? 75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 설계 78
교육과정의 기본 틀 81
교육과정 이수체계 84
핵심역량 평가: 맞춤형 피드백을 통한 역량계발 88
교육과정 관리: 지속적인 혁신 추구 91
융합 및 자기설계 전공: 미래 사회에 최적화된 맞춤형 교육 94
Chapter 4 - 태재의 교육방법__곽지영·이지연 99
배경 및 필요성 101
태재 교육의 원칙과 철학 103
태재 교육의 특징 108
액티브 러닝 수업 모형과 데이터 기반 학습 플랫폼 117
Chapter 5 - 글로벌 환경에서의 학습: 생활 통합교육__양정미·김한열 133
기숙형 생활학습 136
기숙형 생활학습의 기대효과 147
글로벌 현장학습 150
Chapter 6 - 태재 학생성공__성영신·반순웅·성소현 173
성공으로 가는 여정 175
비교과 프로그램 179
글로벌 리더로 성장 195
Chapter 7 - 태재의 액티브 러닝__Stephen M. Kosslyn·Elizabeth P. Callaghan 197
들어가며 200
액티브 러닝의 원리 203
태재 액티브 러닝 221
마치며 226
출처:본문중에서
4. 출판사서평
디지털문명과 대학교육의 미래
서구 산업문명의 발전은 근대 대학교육 시스템의 성장과 맥을 같이해 왔다. 18세기 산업혁명으로 발생한 대규모 인력 수요는 근대 대학의 양적 성장과 학문적 발전을 견인했으며, 대학에서 효율적으로 지적 훈련을 받은 인력들은 다시 산업문명의 고속 성장에 기여했다. 20세기 대한민국의 고도성장에 있어서도 높은 대학진학률과 대학 시스템의 확립은 결정적 역할을 했다.
그러나 21세기 들어 대학교육은 거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산업문명에서 디지털문명으로 문명사적 패러다임이 바뀌어 감에 따라서 기존의 규격화된 인재에 대한 수요가 줄고 개성과 다양성을 지닌 인재의 가치가 커지고 있는 데다가, 범용 인공지능의 발전은 지식의 저장과 전수라는 대학의 근본적 역할에 일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 기후변화, 인구감소 등의 전지구적 사회변화는 대학의 위기에 복잡성을 더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장관과 포스텍 총장을 지낸 김도연 서울대 명예교수는 최근 출간한 《젊은이를 위한 미래 엿보기》에서 이러한 문명사적 변화와 위기를 정리하고, 그에 따른 대학의 혁신을 촉구한 바 있다. 미네르바대학교, 올린공과대학교, 태재대학교 등 국내외 혁신대학들과 유데미(Udemy), 코세라(Coursera) 등의 대규모 온라인 공개 강좌(MOOC, Massive Online Open Contents)들이 그러한 변화의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이 책 《문명전환과 대학교육 - 태재의 길》에서 저자는 지난 2023년 혁신형 하이브리드 대학을 표방하고 개교한 태재대학교의 사례에 주목하였다. 다양한 교육 전문가들, 태재대 교수들과 함께 쓴 이 책에서 그는 디지털문명시대 혁신대학의 한 사례로서 태재대학교 교육의 원칙과 실천을 자세히 소개한다.
태재대학교의 도전
혁신형 하이브리드 대학을 표방하고 설립된 태재대학교에서는 디지털문명시대엘 걸맞은 새로운 교육을 만들어 나가는 중이다. 정해진 전공과정을 따라가는 대신 학생 개개인이 자신만의 전공을 설계해 나가는 ‘자기 주도 전공 설계’, 20명 이하의 소규모 그룹이 철저한 토론과 문제해결을 위주로 수업을 진행하는 ‘액티브 러닝’, 미국, 일본, 중국 등의 해외 주요 도시에서 생활하며 해당 지역의 현안을 이해하고 해결책을 모색해 보는 현장체험 ‘글로벌 현장학습’ 등 태재대학교의 교육 방식은 기존 대학의 그것과 완전히 차별화된다.
이러한 다양한 교육방식은 모든 학생이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자기주도 학습, 소통과 협업, 다양성과 공감, 글로벌 화합과 지속가능성’ 등 6대 핵심역량을 갖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단순히 오늘날의 지식을 기계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 개개인이 미래 사회의 불확실성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새로운 지식을 스스로 지속학습할 수 있는 역량을 갖고, 나아가 미래의 리더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태재대학교 교육의 근본 목표인 것이다.
미래 문명 전환의 방향과 속도를 예측하기란 불가능한 것과 마찬가지로, 대학 혁신의 방향에 정답이란 없다. 다만 태재대학교의 사례에 주목함으로써 미래 교육에 대한 담론과 도전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출처: 「 문명전환과 대학교육 」 출판사 태재대학교 출판문화원
'2025년 추천도서(25.3~) > 2025-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월의 추천도서 (4547) 교사와 학부모 사이에서 (3) | 2025.08.14 |
---|---|
8월의 추천도서 (4546) 미추홀, 제물포, 인천 1-2 (8) | 2025.08.13 |
8월의 추천도서 (4545) 너무 늦은 시간 (6) | 2025.08.12 |
8월의 추천도서 (4544) 노랑무늬영원 (5) | 2025.08.11 |
8월의 추천도서 (4543) 희망의 순례자들 (4) | 2025.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