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소개
위화도회군 후 한 편의 시를 남기고 자정自靖의 길을 택한 완풍대군 이원계, 선친의 유훈 인·효·충의 정신을 지키며 자신의 안위를 잊고 종통을 수호하려 했던 안소공 이양우, 황산대첩의 청년장수로서 건국원훈이 되어 조선왕조의 기반을 구축한 양도공 이천우, 쇠망해 가는 조국을 일으키고자 대한제국의 광무개혁을 주도하고, 막대한 사재를 기울여 전국에 수많은 교육기관을 세웠던, 고려대의 설립자 충숙공 이용익, 황제의 밀사로서 이역만리에서 국권 회복을 위해 애쓰다 분사한 열사 이준. 이 책은 이들의 생애와 삶의 정신 구명을 통해, 시공을 초월해 완풍대군 가문에 계승된 정명사상의 구현양상을 보여 주고 있다.
출처:본문중에서
2. 저자
저자 : 이창수
건국대학교 축산대학 졸업,
일본 동경대학교 대학원 농학박사.
미국 국립보건원(NIH) 연구원,
농진청 농업유전공학연구소 연구사,
건국대 글로컬캠퍼스 부총장 역임.
현 건국대 의료생명대학 교수.
저서 및 논문: 완풍보감(공저) 외 다수.
저자 : 이창헌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문학박사과정 수료.
서울 동작·인헌·서울고 교사,
교육부 검인정교과서 심의위원 역임.
동국대 강의(2004∼2019, 한문 분야).
저서: 국역 경당유고, 국역 송음당시고, 완풍대군 연구, 사매당행록, 만취당행록, 고교 문학(공저), 대학한문(공저), 완풍보감(공저), 고려시대 인물전승(공저), 조선조 한시작가론(공저) 외 다수.
논문: 하서 김인후의 시문학고, 죽오 효종론 등.
출처:본문중에서
3. 목차
출간에 부쳐 - 이현구
제1부 여말 완풍대군 이원계의 생애와 사상 - 이현중
1. 영원한 본성과 이원계의 삶
2. 영원한 본성과 정명正命사상
제2부 여말 선초 안소공 이양우와 양도공 이천우
〈1〉 효孝로 인仁을 다한 안소공 이양우 - 이창수
1. 왕실의 어른이자 공신이었던 이양우
2. 환조 적장손嫡長孫으로서의 종통 확립 의지
3. 인효충仁孝忠의 유훈을 봉행한 후손들
〈2〉 양도공 이천우의 생애와 정신 - 이창헌
1. 황산대첩과 청년장수 이천우
2. 조선 건국, 출장입상의 활동상
3. 행적과 일화에 나타난 위대한 정신
제3부 선말 대한제국의 충숙공 이용익과 열사 이준 - 이창수
〈1〉 개혁으로 새 국가를 건설하려 한 충숙공 이용익
1. 유교적 가르침을 통한 성장
2. 조선에서 대한으로, 새 국가건설의 선구자
3. 외세 침략 속의 주권 수호
〈2〉 조국의 주권회복을 위해 살신성인한 열사 이준
1. 관직의 길에 들어서다
2. 법관양성소 졸업의 최초 검사, 애국운동의 선봉에 서다
3. 황제의 마지막 평화특사, 헤이그에 잠들다
원고를 마무리하며 - 저자 일동
출처:본문중에서
4. 출판사서평
우리 완풍학술회는 새로운 서적의 출간을 통해, 『완풍보감』에서 살펴보았던 이원계와 그 아들들의 삶에 대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하여 여말 선초의 시대정신을 살펴보고, 이에 더하여 조선 말기에 활약했던 이원계 후손들의 삶을 고찰함으로써 ‘홍익인간’의 이념이 각 시대를 살다 간 한국인의 삶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이원계 가문의 삶의 정신인 ‘정명사상’이 후대에 계승된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격변의 시대에 즈음하여, 바람직한 나라, 바람직한 사회를 건설하기 위하여 오늘날의 우리가 어떤 자세를 지녀야 하는가를 책 속 인물들의 삶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위화도회군 후 한 편의 시를 남기고 자정自靖의 길을 택한 완풍대군 이원계, 선친의 유훈 인·효·충의 정신을 지키며 자신의 안위를 잊고 종통을 수호하려 했던 안소공 이양우, 황산대첩의 청년장수로서 건국원훈이 되어 조선왕조의 기반을 구축한 양도공 이천우, 쇠망해 가는 조국을 일으키고자 대한제국의 광무개혁을 주도하고, 막대한 사재를 기울여 전국에 수많은 교육기관을 세웠던, 고려대의 설립자 충숙공 이용익, 황제의 밀사로서 이역만리에서 국권 회복을 위해 애쓰다 분사한 열사 이준. 이 책은 이들의 생애와 삶의 정신 구명을 통해, 시공을 초월해 완풍대군 가문에 계승된 정명사상의 구현양상을 보여 주고 있다.
이 책을 기획한 지 3년 만에 마침내 출판을 하게 되어 기쁜 마음을 감출 수 없다. 집필자들은 자신들의 전공 분야에 대한 강의와 연구에 시간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흔쾌히 집필을 허락하였으며, 대상 인물들에 대한 추가 자료를 발굴하고 새로운 각도에서 연구한 성과를 이 책에 담았다.
부디 이 책이, 급변하는 시대상에 따른 가치관의 전도로 인해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는 우리들 모두에게 올바른 삶의 길을 인도하는 하나의 나침반 역할을 해 주기를 염원한다.
- ‘출간에 부쳐’ 중에서
출처: 「 정명사상을 실천한 완풍대군 이원계와 그 후손들 」 출판사 지식과감성
'2024년 추천도서(24.3~25.2) > 2024-07'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의 추천도서 (4152) 독립정신 2024년 7월호 (0) | 2024.07.15 |
---|---|
7월의 추천도서 (4151) 헤이그의 비밀 (0) | 2024.07.14 |
7월의 추천도서 (4149) 세상이라는 나의 고향 (0) | 2024.07.12 |
7월의 추천도서 (4148) 시인의 집 (0) | 2024.07.11 |
7월의 추천도서 (4147) 소중한 보물들 (1) | 2024.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