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9년 추천 도서(19.3~20.2)

6월의 추천도서(2286) 덴마크 자유교육 - 송순재

1. 책 소개

 

감리교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하고가 교수 송순재가 편저한 『위대한 평민을 가르는 덴마크 자유교육』. 19세기 중엽 이후 지속적으로 발전해온 덴마크 자유교육의 역사와 현황에 대해 다룬다. 아이들이 자신의 길을 스스로 찾아나가도록 도와주는 덴마크 자유교육의 현장을 둘러본 탐방기와 보고서도 수록하고 있다.

출처 : 교보문고

 

2. 저자

 

편저자 송순재는 감리교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학과 교수. 고려대학교와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독일 튀빙엔대학에서 교육학, 철학, 신학을 공부했다. 한국기독교교육학회 회장 역임. 현재 한국인문사회과학회 부회장. 
저서/공저로는 『유럽의 아름다운 학교와 교육개혁운동』, 『위대한 교육사상가들(VII)』, 『교사, 대안의 길을 묻다』가 있고. 편저로는 『대학입시와 교육제도의 스펙트럼』이 있으며, 역서로는 『어떻게 아이들을 사랑해야 하는가』, 『프레네 교육학으로 학교 만들기』, 『느낌이 있는 학교건축』 등이 있다. 우리 교육의 참신한 변화를 꿈꾸면서 대안학교인 산돌학교, 산마을고등학교와 함께 일하고 있으며, 현장 교사들과 함께 ‘대화와 실천을 위한 교육사랑방’, ‘학교교육연구회’ 모임을 꾸리고 있다.

출처 : 교보문고

 

3. 목차

 

위대한 평민을 기르는 
덴마크 자유교육 

머리말_ 
무한경쟁 시대, 자유교육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 

1부 덴마크 자유교육의 역사와 현황 
덴마크의 자유교육 
1. 간추려 본 자유학교의 역사와 유형 
2. 자유교육운동에서 그룬트비와 콜의 역할 
1) 니콜레이 그룬트비 2) 크리스텐 콜 3) 그룬트비와 콜의 관계 
4) 덴마크 지유교육운동의 사상적 배경 
3. 자유학교의 전개 양상과 주요 특징 
1) 자유학교의 설립과 이후 자유교육의 전개 양상 2) 초창기 자유학교의 특징_ 
역사적, 교육학적 견지에서 3) 자유학교의 전개 양상, 교육 단계와 유형별 특징 

자유학교의 운영 원리와 실제 
1. 간추려 본 덴마크의 학부모운동 
1) 자유학교의 원리 
2. 부모의 권리 
3. 소수자의 권리 
4. 자유학교에서의 자유 
1) 이념적 자유 2) 교육적 자유 3) 재정적 자유 
4) 교사 임용의 자유 5) 학생 선발의 자유 
5. 그룬트비와 콜의 이념에 따른 자유학교들 
1) 학부모가 운영한다 2) 노래와 이야기를 강조한다 3) 기독교 전통이 살아 있다 
6. 다른 종류의 사립학교 
7. 네 학교 이야기 
1) 구덴나다렌스 자유학교 2) 오덴세 자유학교 3) 죈더 비움 자유학교 
4) 스티븐스 자유학교 

덴마크 자유교육의 법제화 과정과 쟁점 
1. 1950년대 이전 
2. 1950~2000년 사이 덴마크 사회의 발전 양상 
3. 공립기초학교, 폴케스콜레 제도의 발전사 및 현황 
1) 1937년 학교법 2) 1958년 학교법 3) 블루 가이드 4) 1975년 학교법 
5) 새로운 문제와 논쟁 6) 1993년 학교법 7) 2002년 11월 협약 
4. 자유학교가 덴마크 교육제도 전체에서 차지하는 위상 
1) 운동의 전개 양상 2) 일반 학교 유형에서 자유학교가 갖는 의미와 위치 
5. 덴마크의 김나지움 - 공립중등교육 II 단계 

덴마크의 공식 교육과 비공식 교육 
1. 초등교육과 중등교육Ⅰ 
1) 공립기초학교, 폴케스콜레 2) 사립학교와 자유학교 3) 자유중등학교 
2. 중등교육 II_청소년교육 
1) 중등교육 II의 네 가지 교육과정 2) 중등교육 II의 내용과 조직 
3. 고등교육_대학 
1) 고등교육기관의 유형 2) 덴마크 대학 입학 시스템 
3) 성인들의 여가를 위한 교육과 개방교육제도 
4. 공식 교육과 비공식 교육의 경계 

2부 덴마크 교육 현장을 둘러보다 

시민사회에 뿌리내린 자유교육 

1. 덴마크 교육 시스템과 그 배경 
1) 민중운동의 역사 속에서 태어난 교육 2) 헌법이 보장하는 부모의 권리 
3) 삶을 위한 학교 
2. 자유교육의 다양성을 키우는 다원적 네트워크 
1) 다양한 자유학교들 2) 자유학교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3) 부모 참여와 자유로운 학교 만들기 
3. 자유를 살리는 시스템 
1) 보조금 2) 자유학교의 교육평가 및 경영에 대한 감사 3) 이사회와 교장 
4) 교육부와 자유학교의 관계 5) 유연한 조직운동체 
4. 앞으로의 과제 
1) 자유는 어디까지 허용될까 2) 최근의 사회변화 
5. 끝내면서 : 소수파라는 것의 의미 

삶을 위한 교육 
1. 북(北) 린델서 자유학교 
2. 퓐 학습자료지원센터 
3. 베스테델 자유중등학교 
4. 자유교사대학 
5. 감회 

위대한 평민을 기르는 덴마크 교육 기행 
1. 덴마크 공립학교의 현황 
1) 칼 닐슨 스콜렌 2) 베스트퓐 김나지움 
2. 자유학교의 이모저모 
1) 린델서 자유학교 2) 그람스비어 자유중등학교 3) 올러럽 음악학교 
4) 뤼스링에 시민대학 5) 자유교사대학 6) 체육시민대학 

시민대학과 교사공동체 
1. 영국의 대안대학 
2. 덴마크의 시민대학 
3. 대안을 꿈꾸는 세계 교사들의 연대, 교사공동체 
1) 여행시민대학과 대안사범대학 2) 교사공동체에서 본 교사라는 존재 

학교 같지 않은 학교, 니 릴레스콜레 
1. 학교 같지 않은 학교 
2. 학교 풍경 
3. 아이들은 학교에서 무엇을 하나 
4. 이 학교가 잘되는 이유 

참고문헌

출처 : 본문 중에서

 

4. 책 속으로

 

덴마크 학부모들은 아이들을 공립학교나 국가 보조로 운영되는 다양한 형태의 사립학교를 자유롭게 선택해서 보낼 수 있다. 용기와 끈기가 있다면 새로운 학교를 설립할 수도 있다. 덴마크에는 이런 형태의 다양한 사립학교들이 있다. 학교의 색깔은 종교적, 정치적, 교육학적 스펙트럼에 따라 모두 다르다. 진보적 성향의 학교도 있고, 보수적 성향의 엘리트 양성 학교도 있다. 
…… 
19세기 중엽에 이르러 덴마크 민중들은 스스로의 문제를 자기 책임으로 해결해야겠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교육과 아이를 학교에 보내는 문제도 그들 스스로 해결해 보려 했다. 덴마크 사람들은 중앙정부나 지방정부의 관리들이 일을 시작할 때까지 기다리고만 있지 않았다. 정부나 관리가 움직이지 않으면 곧바로 주도권을 행사했다. 비록 때마다 재정적인 어려움이 따르고, 해결 방법도 잘 알지 못했지만 그렇게 했다. 이런 식으로 그들은 학교도 만들기 시작했다. 

- 「자유학교의 운영 원리와 실제」, 59~60p

출처 : 본문 중에서

 

5. 출판사 서평

 

아이들에게는 더 많은 학교교육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더 많은 삶이 필요하다! 
모두가 자기 길을 찾도록 도와주는 교육, 덴마크 자유교육에서 배운다!
 

“어른들은 빚쟁이처럼 아이들에게 과제를 요구해서는 안 된다. 아이들은 과제를 해내야 할 빚진 자가 아니다. 아이들은 학교가 끝나면 당연히 집에서 쉴 권리가 있다. 통제가 필요하고, 숙제가 필요하고, 시험이 필요하다는 것은 어른들의 발상이지 아이들에겐 그렇지 않다.” 

1부는 덴마크의 교육제도 전반과 자유교육을 개략적으로 소개하기 위한 이론으로, 덴마크 자유교육에 관한 편저자의 글과 덴마크자유학교협회에서 발간한 소책자 및 칼 크리스티안 에기디우스(Karl Kristian Ægidius) 교수의 글 두 편을 실었다. 
2부는 다양한 현장을 둘러 본 탐방기와 보고서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국내외 여러 저자들의 글 다섯 편을 실었다. 주제에 좀더 쉽게 다가가기 위해 생동감이 있는 2부 탐방기를 먼저 읽고 1부를 읽는 것이 좋을지 모르겠다. 
이 책과 함께 그룬트비의 글 몇 편을 묶어 해설을 단 우리말 단행본이 곧 출간될 예정이며, 콜이 남긴 단 하나의 저작 『Thoughts on the Primary School』과 그의 사상과 실천을 해석한 몇 편의 글을 함께 엮은 책이 우리말로 번역 출간될 예정이다. 
대안교육연대 주최로 지난 11월 12~15일에 서울과 부산에서 열린 <덴마크 자유교육 국제심포지엄(공교육 안팎을 어우르는 배움의 권리 보장. 덴마크 자유의 역사를 통해서 배운다)>을 계기로 시리즈로 펴내게 되었다. 

◆덴마크 자유학교에서의 '자유'란? 
이념적 자유_ 부모는 아이의 교육에 전적인 책임과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아이들에게 학교를 다닐 것을 요구할 수 없다. 학부모는 아이들을 집에서 스스로 가르칠 수 있는 권리가 있고, 자신들만의 학교를 세울 수 있다. 교육과정은 부모들의 생각과 이념에 따라 이루어진다. 

교육적 자유_ 수업은 프로젝트법에 따라 이루어진다. 한 학기 내내 똑같은 시간표도 없다. 국가는 수업이 법적 규정에 따라 잘 이루어지는지만 감독한다. 이 일은 감독관이 맡는데, 이조차 학부모가 선택하고 국가는 인준하는 정도이다. 

재정적 자유_ 부모가 아이를 자유학교에 보내는데 재정 문제가 결정적 요인이 되지 않기를 
바라기 때문에, 학부모의 재정 부담 수준을 아주 낮게 책정한다. 특별한 경우, 학비를 내지 않고도 학교에 다닐 수 있다. 그럴 경우 학비는 국가가 지급하는 특수 장학금으로 충당한다. 

교사 임용의 자유_ 국가권력은 교사교육에 관해서도 간섭할 수 없다. 자유학교 교사들은 교육학 수업을 전혀 받지 않을 수도 있다. 아울러 자유학교에 임용된 교사가 면직될 경우 공립학교 교사와 같이 재정상 보호를 받을 수 있다. 

학생 선발의 자유_ 자유학교는 학생 선발과 퇴학을 자치적으로 결정한다. 대부분의 자유학교는 학생들이 학교에 지원하는 순서에 따라 선발한다. 학부모들이 아이를 보내는 학교의 이념에 동의하고 있다고 암묵적으로 간주한다.

출처 : 민들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