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소개
2. 저자
저자 : 하근찬 (河瑾燦, 1931~2007)
1931년 경북 영천에서 태어나 전주사범학교와 동아대학교 토목과를 중퇴했다. 1957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수난이대」가 당선되었다. 6.25를 전후로 전북 장수와 경북 영천에서 4년간의 교사생활, 1959년부터 서울에서 10여 년간의 잡지사 기자생활 후 전업 작가로 돌아섰다. 단편집으로 『수난이대』 『흰 종이수염』 『일본도』 『서울 개구리』 『화가 남궁 씨의 수염』과 중편집 『여제자』, 장편소설 『야호』 『달섬 이야기』 『월례소전』 『제복의 상처』 『사랑은 풍선처럼』 『산에 들에』 『작은 용』 『징깽맨이』 『검은 자화상』 『제국의 칼』 등이 있다. 한국문학상, 조연현문학상, 요산문학상, 유주현문학상을 수상했으며 1998년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2007년 11월 25일 타계, 충청북도 음성군 진달래공원에 안장되었다.
출처:본문중에서
3. 목차
발간사
수난이대
나룻배 이야기
홍소(哄笑)
분(糞)
왕릉과 주둔군
산울림
붉은 언덕
삼각의 집
족제비
부록 | 최초 발표 《한국일보》본 수난이대 267
부록 | 개작 『산울림』본 수난이대 285
해설 | 민중의 삶에 뿌리내린 치유의 미학-오창은 301
작가연보
출처:본문중에서
4. 책속으로
p.30 “아부지!”
부르는 소리가 들렸다. 만도는 깜짝 놀라며 얼른 뒤를 돌아보았다. 그 순간 만도의 두 눈은 무섭도록 크게 떠지고, 입은 딱 벌어졌다. 틀림없는 아들이었으나, 옛날과 같은 진수는 아니었다. 양쪽 겨드랑이에 지팡이를 끼고 서 있는데, 스쳐가는 바람결에 한쪽 바짓가랑이가 펄럭거리는 것이 아닌가. 만도는 눈앞이 노오래지는 것을 어쩌지 못했다. 한참 동안 그저 멍멍하기만 하다가, 코허리가 찡해지면서 두 눈에 뜨거운 것이 핑 도는 것이었다.
p.56 “요놈!”
……이렇게 아홉 장을 모조리 물에 띄워버렸다. 물살을 타고 아홉 장의 육군본부가 일렬종대로 동실동실 떠내려간다. 참 희한하다. 판수는 그만,
“왓핫핫하…….”
크게 웃음을 터뜨렸다. 통쾌하기 짝이 없는 것이다. 오십여 년이라는 세월을 살아 왔지만, 이런 통쾌한 맛은 단 한 번도 느껴 보지 못한 판수였다. 그래서 그는 입을 쩍쩍 벌리며 속이 후련하도록 웃어젖혔다.
P.159 “손 들어!”
고함을 질렀다. 손 노인은 두 팔을 벌렁 옆으로 벌리듯 들어올렸다. 그러자 적삼이 약간 위로 쳐들리며 주먹만 한 배꼽이 불쑥 얼굴을 내밀었다. 총을 든 두 사람의 긴장된 표정이 손 노인의 그 배꼽을 보자 약간 풀리는 것 같았다. 한 사람은 눈언저리에 분명 웃음기 같은 것을 띠기까지 했다. 손 노인은 두 팔을 벌렁 들어 올린 채 걸어 나갔다. 마치 큰대(大)자가 뚜벅뚜벅 걸어가는 것 같았다. 종덕이는 숨도 크게 쉬지 못하고 할아버지의 뒷모습을 지켜보고 있었다.
P.200 계집아이의 찢어지는 듯한 목소리였다. 물론 연이였다. 자리에서 일어나 창밖으로 얼굴을 돌리던 연이는 별안간 발작을 일으킨 것처럼 소리를 지르고는 두 손으로 얼굴을 가리고 그만 앞으로 풀썩 꺾어져 버렸다. 뜻밖의 일에 실내의 모든 사람들은 눈이 휘둥그레졌다. 그리고 교실 안은 발칵 뒤집히고 말았다. 유 선생과 교장, 교감은 정신없이 연이에게로 달려들었고, 서양 사람들은 왓즈 해픈, 왓즈 메라…… 하고 노란 눈, 파란 눈들을 대고 굴렁거렸다. 그 떠들썩한 가운데서도 카메라를 얼굴로 가져가는 고약한 친구도 있었다.
출처:본문중에서
5. 출판사서평
단편적으로 알려졌던 소설가 하근찬,
그의 문학세계를 새롭게 바라보다
한국 단편미학의 빛나는 작가 하근찬의 문학세계를 전체적으로 복원하기 위해 ‘하근찬 문학전집 간행위원회’에서 작가 탄생 90주년을 맞아 〈하근찬 문학 전집〉을 전 21권으로 간행한다. 한국전쟁 이후 한국소설의 백미로 꼽히는 하근찬의 소설 세계는 단편적으로만 알려져 있다. 하근찬의 등단작 「수난이대」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으로 이어져온 민중의 상처를 상징적으로 치유한 수작이기는 하나, 그의 문학세계는 「수난이대」로만 수렴되는 경향이 있다. 하근찬은 「수난이대」 이후에도 2002년까지 집필 활동을 하며 단편집 6권과 장편소설 12편을 창작했고 미완의 장편소설 3편을 남겼다. 45년 동안 문업(文業)을 이어온 큰 작가였다. ‘하근찬문학전집간행위원회’는 하근찬의 작품 총 21권을 간행함으로써, 초기의 하근찬 문학에 국한되지 않는 전체적 복원을 기획했다.
원본과 연보에 집중한 충실한 작업,
하근찬 문업을 조망하다
하근찬 문학세계의 체계적 정리, 원본에 충실한 편집, 발굴 작품 수록, 작가연보와 작품 연보에 대한 실증적 작업을 통해 하근찬 문학의 자료적 가치를 확보하고 연구사적 가치를 높여, 문학연구에서 겪을 수 있는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하근찬 문학전집은 ‘중단편 전집’과 ‘장편 전집’으로 구분되어 있다. ‘중단편전집’은 단행본 발표 순서인 『수난이대』, 『흰 종이수염』, 『일본도』, 『서울 개구리』, 『화가 남궁 씨의 수염』을 저본으로 삼았고, 단행본에 수록되지 않은 알려지지 않은 하근찬의 작품들도 발굴하여 별도로 엮어내어 전집의 자료적 가치를 높였다. ‘장편 전집’의 경우 하근찬 작가의 대표작인 『야호』, 『달섬 이야기』, 『월례소전』, 『산에 들에』뿐만 아니라, 미완으로 남아 있는 「직녀기」, 「산중 눈보라」, 「은장도 이야기」까지 간행하여 하근찬의 전체 문학세계를 조망할 수 있다.
하근찬 문학의 현재적 의미를 밝히는 젊은 연구자,
생명력을 불어넣는 새로운 해석을 내놓다
새롭게 탄생하는 〈하근찬 문학 전집〉은 젊은 세대들의 감각과 해석을 반영하여 그의 문학에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고자 했다. 하근찬의 작품세계가 펼쳐 보이고 있는 한국현대사의 진실한 풍경들도 젊은 세대들에 의해 읽히지 않으면 의미가 반감될 수밖에 없다. 하근찬 문학의 새로운 해석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젊은 연구자들의 충실하고 의미 있는 해설을 덧붙였다.
중단편전집 제1권 『수난이대』는 오창은 중앙대 교수가, 중단편전집 제2권 『흰 종이수염』은 이정숙 군산대 교수가, 중단편전집 제3권 『일본도』는 송주현 한신대 교수가, 장편전집 제9권 『야호』는 장수희 문학연구자가 해설 작업에 참여했다. 기존 연구 성과에 현대적 관점을 더한 충실한 해설로서, 하근찬 문학의 현재적 의미를 밝히고 있다.
출처: 「하근찬 전집 1: 수난이대」 출판사 산지니
'2023년 추천도서(23.3~24.2) > 2023-5'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의 추천도서 (3731) 철에서 삶을 본다 (0) | 2023.05.20 |
---|---|
5월의 추천도서 (3730) 봄은 언제나 찾아온다 (0) | 2023.05.19 |
5월의 추천도서 (3728) 차이에서 배워라 (0) | 2023.05.17 |
5월의 추천도서 (3727) 민족의 장군 홍범도 (0) | 2023.05.16 |
5월의 추천도서 (3726) 감정 문해력 수업 (0) | 2023.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