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8년 추천 도서(18.3~19.2)

3월의 추천도서 (1848) 감각적 질서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1. 책 소개


노벨상 수상자이며 사회철학자인 하이에크의 책. 심리학적 분석을 철학적 문제 제기와 연결시켜 지식과 정신의 문제를 살폈다. 정신이란 무엇인가, 분류도구로서의 신경제, 정신질서의 구조, 우리의 정신이론의 적실성 등 14개 장으로 엮었다.

출처 : 교보문고


2. 저자



1899년 5월 8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출생하였다. 1927년 오스트리아 경기연구소(景氣硏究所) 소장이 되고, 1929년부터 빈대학교 강사를 겸임하다가 1931년 영국으로 옮겨, 런던대학교 교수가 되었고 1938년 영국시민권을 취득하였다. 1936년까지 화폐의 순수이론·경기순환의 제원인 등에 관한 J.M.케인스와의 대논쟁으로 그의 연구생활을 보내었고, 1950년부터 1962년까지 시카고대학교에서 연구생활을 하였다.  다시 유럽으로 돌아온 그는 그의 필생의 대작으로 불리는 《법, 입법, 자유》(1973~1979)를 완성하였다.


오스트리아 학파에 속하며, 《가격과 생산》(1931)에서 화폐적 경기론(貨幣的景氣論)과 중립적 화폐론(中立的貨幣論)을 전개하였고, 《자본의 순수이론》(1941)에서는 경제의 장기적 동향의 결정 요인으로서의 실물적 생산구조의 분석을 강조하였다. 사상적으로는 신자유주의(新自由主義)의 입장에서 사회주의의 경제계산불가능론(經濟計算不可能論)을 주장하였으며, 모든 계획경제에 반대하는 《예종(隸從)에의 길 The Road to Serfdom》(1944), 《자유의 구조》(1960)를 저술하였다. 1974년 스웨덴의 K.G.뮈르달과 함께 화폐와 경제변동의 연구가 인정되어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하였다.

출처 : 교보문고


3. 목차


001. 문제의 성격 
002. 정신질서의 형성에 관한 이론의 개관 
003. 분류도구로서의 신경계 
004. 지각과 행위 
005. 정신질서의 구조 
006. 의식과 그리고 개념적 사고 
007. 우리의 정신이론의 적실성 
008. 우리의 정신이론의 철학적 귀결 

출처 : 본문 중에서